데이터베이스 소개

본 연구는 다문화 구성원들의 에스노그래피(Ethnography)를 활용한 생활세계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과 다문화사회를 위한 사회통합 총서를 발간하는 데 목적이 있다. DB의 자료의 기초는 2017년 9월부터 2020년 10월까지 심층면담을 통하여 수집되었다. 각 연차별로 도출된 연구결과인 생활세계 디지털 아카이브는 국가별 유형별 영역별로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조사자료의 파일명 부여방식은 ‘국적별번호_이주유형분류코드_영역별분류코드_조사년월일_영문이니셜(연구참여자)_일련번호’로 분류 코드에 따라 표기한다. 이렇게 구축된 DB는 주류사회로부터 각종 사회제도에서 소외되고 타자화되어 있는 결혼이민자를 비롯한 다문화 구성원들의 근원적인 삶과 고통을 이해하고, 더 나아가 이들 역시 한국 사회의 일원으로서 공존할 수 있는 미래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확립하여 사회통합 실천에 기반이 될 수 것이다. 또한 이 DB는에스노그래피를 활용한 생활세계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및 사회통합 총서를 위해 보다 생생한 생활세계에 대한 입체적인 자료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기대효과/활용방안

첫째, 본 연구는 다문화사회의 사회통합을 위한 연구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할 수 있는 학문적 기대효과를 제시할 수 있다. 그동안 산재되어 있던 각 국가별 사회통합정책의 동향을 총서에 담아내어 연구자들에게 국내·외 사회통합정책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현장에서의 다문화 구성원들의 실제적 니즈(needs)를 정확히 파악하여 한국 사회에 거주하는 다문화 구성원의 문제에 대한 담론을 확산시키며 관련 이슈를 재생산함으로써 학술적 결과를 활용할 수 있는 지평을 넓힐 것이다. 둘째, 에스노그래피는 다문화 구성원들과의 문화공존과 사회통합을 위하여 그들이 속한 문화공유 집단이 갖고 있는 가치, 행동, 신념, 언어 등 학습된 문화적 패턴을 기술 해석하고, 그들의 국가별, 사회문화적 특성을 고려한 생활세계 속의 삶의 이야기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연구방법이다. 즉,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여 각 국가별, 유형별, 영역별 실제 현장 조사를 통해 보다 다양한 내용을 추출해 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지향하고자 하는 합의에 의한 사회통합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적합한 방식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다문화 구성원들의 경험을 기초로 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물은 인권법 및 정책 개발, 언어교육 프로그램, 건강 및 의료, 복지 및 상담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또한 연구결과물에는 각 국가별 고유한 문화와 인식체계가 고스란히 녹아있기 때문에 그들의 문화적 다양성을 이해할 수 있는 토대가 될 것이다. 다시 말하면, 본 연구는 사회, 문화, 정치, 여성, 복지, 교육 등 한국 사회 전반에 걸쳐서 문화적 공존을 위해 새로운 정책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영역에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한 실제적 자료로서 폭넓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다문화 구성원들의 생활세계 디지털 아카이브와 사회통합 총서는 다문화 구성원들이 어떠한 사고방식을 가지고 어떻게 행동하며, 어떠한 생활세계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그리고 이러한 자료는 다문화 구성원을 비롯한 국내외 연구자와 현장 전문가들의 교류 활성화, 지역 내 공공기관과의 긴밀한 협력으로 복지 및 서비스 제공, 정책 수립 등 사회통합 구현을 위한 거버넌스 구축에 활용될 것이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그들의 삶의 입장에서 기술되었기 때문에 다양한 나라의 문화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또한 현지조사에서만 얻을 수 있는 실제 상황이 잘 녹여져 기록되었기 때문에 교육기관 및 공공기관의 교육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 연구된 사회통합의 문제점을 융합적으로 분석하여 지속가능발전교육의 당위성을 역설함으로써 사회통합 논의와 다문화 구성원에 대한 새로운 지평을 열어줄 수 있는 주요 교육 자료가 될 것이다. 여섯째, 본 연구 결과물은 각 대학의 학제간 융합과정이나 이주 및 다문화(교육) 관련 수업 교재로 활용할 수 있다. 다문화 구성원들의 생활세계가 담긴 사회통합 총서는 인류 보편적 정서를 다루면서도 각 국가별 민족별 정체성을 담고 있기 때문에 상호문화교육에 매우 적합한 교재가 될 수 있다. 이 사회통합 총서 자료를 활용한 문화교육과 사회통합교육을 통해 이주자는 주체성과 주도성을 가진 한국 사회 구성원으로서 성장해 나가고, 정주자는 이주자의 다름을 이해하고 동등한 한국사회 구성원으로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성숙한 시민의식을 키워나갈 수 있다. 또한 초·중·고 교사를 위한 다문화교육 교재, 다문화교육 교사 양성 교재, 다문화 교과 교재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그 가치를 발현하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연구결과물은 다양한 교육 현장에서 교육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사업명 : 인문사회연구분야 토대기초연구지원
연구과제명 : 글로벌 시대 에스노그래피를 활용한 다문화가정 구성원의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및 지속가능한 다문화사회를 위한 사회통합에 관한 연구 [ 기초학문자료센터 ]
연구책임자 : 김영순
연구수행기관 : 인하대학교
연구기간 : 3 년 2 월 (2017년 09월 01일 - 2020년 10월 3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