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 연구자
성명 방병선
소속 고려대학교 문화스포츠대학 문화유산융합학부 고고미술사학
연구논저

저서

⦁ 방병선, 2016, 『도자기로 보는 조선왕실 문화』, 민속원. ⦁ 방병선 외(공저), 2015, 『한국 도자사전』, 경인문화사. ⦁ 방병선 외(공저), 2014, 『진경문화 : 찬란한 우리 문화의 꽃』, 현암사. ⦁ 방병선 외(공저), 2011, 『문화재대관-국보 도자기 및 기타』, 문화재청. ⦁ 방병선, 2012, 『중국도자사 연구』, 경인문화사. ⦁ 방병선 외(공저), 2010, 『한반도의 흙, 도자기로 태어나다』, 경인문화사. ⦁ 방병선, 2006, 『사람을 닮은 그릇, 도자기』, 보림출판사. ⦁ 방병선, 2005, 『왕조실록을 통해 본 조선도자사』, 고려대학교출판부. ⦁ 방병선 외(공저), 2005, 『한일 도자문화의 교류양상』, 경인문화사. ⦁ 방병선, 2002, 『순백으로 빚어낸 조선의 마음, 백자』, 돌베개. ⦁ 방병선 외(공저), 2002, 『추사와 그의 시대』, 돌베개. ⦁ 방병선 외(공저), 2000, 『토기·청자』, 예경. ⦁ 방병선, 2000, 『조선후기 백자 연구』, 일지사(문화관광부 선정 2000년 우수학술도서, 제 41회 백상문화출판상 예술부분 시상). ⦁ 방병선 외(공저), 1997, 『우리문화의 황금기 진경시대』, 돌베개.

논문

⦁ 방병선, 2017, 「청대 중서(中西) 도자 교류의 표상, 광채(廣彩)」, 『한국근현대미술사학』29,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 방병선, 2015, 「네덜란드공화국 유입 중국도자가 델프트 도기에 미친 영향」, 『강좌미술사』48,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방병선, 2014,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19세기 백자 橫手形茶罐의 祖形」, 『미술자료』85, 국립중앙박물관. ⦁ 방병선, 2014, 「1870년대 이후 分院 官窯 변천」, 『한국학연구』49,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방병선, 2013, 「고려 철화청자의 기원: 중국 장사요와 월주요 철화청자와의 비교연구」, 『한국학연구』45,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방병선, 2013, 「고려 청자의 중국 전래와 도자사적 영향」, 『講座美術史』40,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방병선, 2013, 「조선후기 백자에 나타난 호랑이 이미지와 표현 고찰 : 虎豹猫의 變奏」, 『美術史學硏究』279·280, 한국미술사학회. ⦁ 방병선, 2012, 「조반니 벨리니의 The Feast of the Gods에 등장하는 명대 청화백자 : 경덕진에서 이태리까지」, 『미술의 길, 문화의 여정』, 제22회 한국미술사교육학회 전국학술대회. ⦁ 방병선, 2011, 「명청대 덕화요 송자관음상 고찰」, 『講座美術史』37,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방병선, 2010, 「하재일기를 통해 본 조선 말기 분원」, 『講座美術史』34,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방병선, 2010, 「오대 북송 요주요 제작기술의 혁신과 전파」, 『講座美術史』35,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방병선, 2009, 「나말여초 청자 제작과 전통기술」, 『선사와 고대』30, 한국고대학회. ⦁ 방병선, 2009, 「17세기 중국 무역도자 연구-유럽과 동남아를 중심으로」, 『講座美術史』33,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방병선, 2009, 「17세기 인숙종기 백자」, 『講座美術史』33,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방병선, 2008, 「명말청초 중국 청화백자 연구」, 『講座美術史』30,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방병선, 2008, 「황제와 문인 경덕진」, 『美術史學』22, 한국미술사교육학회. ⦁ 방병선, 2007, 「조선후반기 도자의 대외교섭」, 『조선후기 미술의 대외교섭』, 한국미술사학회. ⦁ 방병선, 2007, 「이형록의 책가문방도 팔곡병에 나타난 중국도자」, 『강좌미술사』28,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방병선, 2007, 「일본 고려미술관 소장 19세기 조선백자 연구」, 『미술사학연구』253, 한국미술사학회, ⦁ 방병선, 2006, 「법전을 통해 본 조선시대 자기 생산과 관리」, 『항산안휘준교수정년퇴임기념논문집1』, 사회평론. ⦁ 방병선, 2006, 「명대 덕화요고」, 『강좌미술사』26,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방병선, 2006, 「나말여초 한중도자 교류」, 『한국사학보』23, 고려사학회. ⦁ 방병선, 2005, 「한국 도자 제작기술 연구」, 『講座美術史』23,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방병선, 2004, 「미술사 교육에 있어서 재료와 제작기법 」, 『미술사학』18, 한국미술사교육학회. ⦁ 방병선, 2004, 「미술작품 ‘무엇’으로 ‘어떻게’ 제작되었을까- 그 교육의 필요성과 방밥론」, 『미술사학-등재후보』, 한국미술사교육학회. ⦁ 방병선, 2004, 「조선 후기 사기장인 연구」, 『美術史學硏究』241, 한국미술사학회. ⦁ 방병선, 2003, 「조선 도자의 일본 전파와 이삼평」, 『百濟文化』32, 公州大學校 百濟文化硏究所. ⦁ 방병선, 2003, 「초정 박제가·윤암 이희경의 도자 인식」, 『미술사학연구』237·238, 한국미술사학회. ⦁ 방병선, 2002, 「조선 전기 한양의 도자:청화백자를 중심으로」, 『강좌미술사』19,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방병선, 2002, 「조선 초기 한성의 도자」, 『한국불교미술사학회 7회학술대회논문집』, 한국불교미술학회. ⦁ 방병선, 2002, 「15-18세기 조선백자에 나타난 회화성 연구」, 『국제도자학술대회논문집』, 臺灣國立歷史博物館. ⦁ 방병선, 2001, 「17-18세기 동아시아 도자교류사 연구」, 『미술사학연구』232, 한국미술사학회. ⦁ 방병선, 2001, 「개성 출토 고려청자 연구」, 『강좌미술사』17,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방병선, 2001, 「18세기 朝·淸 관요의 운영체제와 제작기술」, 『한국사학보』11, 고려사학회. ⦁ 방병선, 2001, 「조선 후기 자기 그릇의 의미」, 『세계엑스포학술대회논문집』, 세계도자기엑스포조직위원회. ⦁ 방병선, 2001, 「중국 어기창과 광주 분원」, 『광주 문원 학술대회논문집』, 경기도 박물관. ⦁ 방병선, 2000, 「조선 후기 백자에 나타난 산수문 연구」, 『고고미술사론』7, 충북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 방병선, 1999, 「고종 연간의 분원 민영화 과정」, 『역사와 현실』33, 한국역사연구회. ⦁ 방병선, 1998, 「雲龍文 분석을 통해서 본 조선후기 백자의 편년 체제」, 『미술사학연구』220, 한국미술사학회. ⦁ 방병선, 1998, 「祖先時代 後期白磁의 硏究」,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방병선, 1997, 「朝鮮後期 白磁의 製作技術 硏究」, 『美術史學硏究』214. ⦁ 방병선, 1994, 「효숙종시대의 도자」, 『강좌미술사』6, 한국미술사연구소. ⦁ 방병선, 1993, 「고려청자의 기술사적 고찰」, 『미술사학연구』198, 한국미술사학회. ⦁ 방병선, 1993, 「산본 청화백자 가마도편의 실험적 고찰」, 『군포 산본동 청화백자 요지 발굴보고서』3, 충북대학교 선사문화연구소, 한국도로공사. ⦁ 방병선, 1992, 「강진 청자 유약에 대한 실험적 고찰」, 『강진 청자요지 지표조사 보고서 강진의 창자요지』, 해강도자미술관, 전라남도 강진군.

공동 연구자
성명 김윤정
소속 고려대학교 문화스포츠대학 문화유산융합학부 고고미술사학
연구논저

저서

⦁ 김윤정 외(공저), 2015, 『한국 도자사전』, 경인문화사. ⦁ 김윤정 외(공저), 2015, 『송·원 자기와 고려청자』, 경인문화사. ⦁ 김윤정 외(공저), 2014, 『GORYEO CELADON』, National Museum of Korea. ⦁ 김윤정 외(공저), 2013, 『2012' 海上綢之路:中國古代瓷器輸出及文化影響國際學術硏究會論文集』, 浙江人民美術出版社. ⦁ 김윤정 외(공저), 2010, 『한국문화는 중국문화의 아류인가』, 소나무.

논문

⦁ 김윤정, 2017, 「12세기 고려청자에 보이는 송·금대 定窯 자기의 영향과 의미」, 『야외고고학』,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 김윤정, 2016, 「근대 미국의 고려청자 Collection 형성과 연구 성과의 의미」, 『석당논총』 제66집,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 김윤정, 2016, 「근대 미국에서 한국도자에 대한 인식변화와 그 배경」, 『미술사학』32, 한국미술사교육학회. ⦁ 김윤정, 2015, 「고려 14세기 상감청자의 신경향과 그 성리학적 의미」, 『한국학연구』 ,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김윤정, 2015, 「고려 중기 銘文靑磁의 유형과 성격」, 『역사와 담론』76, 호서사학회. ⦁ 김윤정, 2015, 「북송대(北宋代) 공자(貢瓷)에 대한 인식과 정요(定窯)와 여요(汝窯)의 성격」, 『中國史硏究』 98, 중국사학회. ⦁ 김윤정, 2015, 「15세기 조선과 명의 御用磁器 제작체제의 유사점과 차이점」, 『고문화』 85, 한국대학박물관협회, ⦁ 김윤정, 2014, 「조선 16세기 백자에 표기된 王室 관련 한글 명문의 종류와 의미」, 『한국학연구』51집,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김윤정, 2014, 「고려청자 문양의 詩·畵的 요소와 도상의 독창성」, 『미술사학』 28, 한국미술사교육학회. ⦁ 김윤정, 2013, 「고려말·조선초 사옹의 성격과 역할」, 『한국학연구』제45집,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김윤정, 2013, 「고려말~조선초 供上用 銘文靑瓷의 이행 과정과 제작 배경」, 『석당논총』,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 김윤정, 2013, 「고려시대 유적 출토 송대 청백자의 현황과 특징」, 『야외고고학』,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 김윤정, 2013, 「고려말·조선초 관사명매병의 조형적 특징과 제작 시기」, 『매병 그리고 준』,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문화재청. ⦁ 김윤정, 2012, 「高麗末 干支銘靑瓷의 제작 배경과 수취 체제연구」, 『미술사학연구』 275·276, 한국미술사학회. ⦁ 김윤정, 2012, The Influence of Taoism on Goryeo Celadon, “Journal of Korean Art &Archaeology” vol 6, National Museum of Korea. ⦁ 김윤정, 2011, 「朝鮮初 酒器의 조형 변화와 원인」, 『강좌미술사』37호,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김윤정, 2011, 「元代 瓷器에 보이는 고사인물문의 도상과 畵本」, 『동아시아미술문화』2호, 고려대학교 동아시아미술문화연구소. ⦁ 김윤정, 2010, 「고려말 道敎 관련 銘文靑磁의 성격과 제작 배경」, 『동아시아미술문화』 창간호, 고려대학교 동아시아미술문화연구소. ⦁ 김윤정, 2009, 「고려 12세기 靑磁有蓋筒形盞의 조형적 특징과 제작 양상 - 群山 飛雁島 해저 인양품을 중심으로 -」, 『해양문화재』2호,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 김윤정, 2009, 「高麗靑瓷的製作背景和造型特征」, 『當代韓國』總第61期, 北京 : 中國社會科學院韓國硏究中心. ⦁ 김윤정, 2009, 「자강도 희천시 서문동 교장 출토 유물의 성격과 편년」, 『도자문화』제2집, 경기도자박물관. ⦁ 김윤정, 2008, 「高麗末·朝鮮初 王室用 磁器의 제작 체계 연구」, 『미술사학연구』260, 한국미술사학회. ⦁ 김윤정, 2006, 「高麗後期 象嵌靑磁에 보이는 元代 磁器의 영향」, 『미술사학연구』249, 한국미술사학회.

성명 김효민
소속 고려대학교 글로벌비지니스대학 글로벌학부 중국학 전공
연구논저

저서

⦁ 김효민 역, 2015,『팔고문이란 무엇인가』, 글항아리. ⦁ 김효민 외(공저), 2012,『중국지리의 즐거움』, 차이나하우스. ⦁ 김효민 외(공역), 2011,「해동삼유록」, 국학자료원. ⦁ 김효민 역(공역), 2008,『의산문답』, 지만지. ⦁ 김효민 외(공저), 2004,『연행노정, 그 고난과 깨달음의 길』, 박이정. ⦁ 김효민 역, 2003,『중국과거문화사』, 동아시아.

논문

⦁ 김효민, 2017, 「《현역서상기(現譯西廂記)》의 개역(改譯)양상과 의미」, 『中國語文論叢』82, 중국어문연구회. ⦁ 김효민, 2017, 「양건식(梁建植)과 《서상기(西廂記)》 소고(小考)」, 『中國語文論叢』80, 중국어문연구회. ⦁ 김효민, 2016, 「국내 《西廂記》 수용의 몇 가지 특징에 대하여」, 󰡔중국소설논총󰡕48, 한국중국소설학회. ⦁ 김효민, 2016, 「민국시기 문언소설 《서상기연의(西廂記演義)》의 개편 양상과 의미」, 『中國學論叢』53,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 김효민, 2014, 「《西廂記演義》와 《演譯西廂記》 : 자료적 특징, 관계 및 비교를 중심으로」, 『中國小說論叢』44, 한국중국소설학회. ⦁ 김효민, 2013, 「『서상기(西廂記)』 어록해류(語錄解類)의 상호 관계 연구」, 『中國學報』68, 한국중국학회. ⦁ 김효민, 2013, 「‘이가원본'을 통해 본 조선후기 《서상기(西廂記)》한글번역의 수용과 변용」, 『中國語文學誌』40, 중국어문학회. ⦁ 김효민, 2013, 「조선후기 《西廂記》 감상사전 《艶夢漫釋》의 이본 현황 및 자료적 특징」,『중국학논총』42,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 김효민, 2012, 「수교 이후 한국의 번역소설 연구와 중국의 한국고전문학 연구, 그 동향과 과제」,『한중인문학회 학술대회』1, 한중인문학회. ⦁ 김효민, 2011, 「구한말 <서상기(西廂記)> 국문 개역본(改譯本)의 개역 양상 및 특징 -"존경각본"과 "규장각본"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84,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김효민, 2010, 「《홍루몽(紅樓夢)》과 과거문화(科擧文化)」, 『中國學論叢』30,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 김효민, 2010, 「朝鮮讀本 《西廂記》의 異本 실태 및 유통 양상」, 󰡔中國語文論叢󰡕46, 중국어문연구회. ⦁ 김효민, 2008, 「魯迅 소설 속의 舊지식인 문제에 대한 일고찰」, 『中國語文論叢』37, 중국어문연구회. ⦁ 김효민, 2008, 「科擧制度의 관점에서 본 韓中 소설 試論」, 『中國小說論叢』28, 한국중국소설학회. ⦁ 김효민, 2007, 「동아시아 "지식인-호랑이형" 서사 연구 : 소설을 중심으로」, 『中國語文論叢』35, 한국어문연구회. ⦁ 김효민, 2005, 「생명의 심상공간 – 무릉도원과 그 변주」, 『중국어문학논집』34, 중국어문학연구회. ⦁ 김효민, 2004, 「明淸小說에 나타난 科學文化」, 『中國小說論叢』19, 한국중국소설학회. ⦁ 김효민, 2004, 「사회·문화적 시각을 통해 본 明淸小說 作家」, 『중국문화연구』4, 중국문화연구학회. ⦁ 김효민, 2003, 「한·중 지식인 사회와 그 윤리 : 과거제도와 관련하여」, 『中國小說論叢』17, 한국중국소설학회. ⦁ 김효민, 2003, 「간론 비판과학문화적 명청소설」, 『中國語文論叢』25, 중국어문연구회. ⦁ 김효민, 1998, 「《수호전》 구조의 특징에 대한 고찰」, 『中國語文論叢』14, 중국어문연구회.

성명 김정희
소속 원광대학교 인문대학 역사문화학부 고고미술사학
연구논저

저서

⦁ 김정희 외(공저), 『회암사와 왕실문화』, 회암사지박물관, 2015. ⦁ 김정희 외(공저), 『조선의 역사를 지켜온 왕실여성』, 국립고궁박물관, 2014. ⦁ 김정희, 『찬란한 불교미술의 세계, 불화』, 돌베개, 2009. ⦁ 김정희, 『극락을 꿈꾸다』, 보림, 2008. ⦁ 김정희 외(공저), 『한국회화사용어집』, 2003.5. ⦁ 김정희, 『조선시대 지장시왕도 연구』, 一志社, 1996. ⦁ 김정희 외(공저),『朝鮮朝 佛畵의 硏究(2)-地獄系佛畵』, 1993. ⦁ 김정희,『신장상』, 대원사, 1989.

논문

⦁ 김정희, 2017, 「한국미술사, ‘비틀어보기’와 ‘다양성의 모색’」, 『역사학보』235, 역사학회. ⦁ 김정희, 2017, 「觀音과 達磨 : 운문사 대웅보전 관음보살·달마대사벽화 도상의 연원」, 『미술사학』34, 한국미술사교육학회. ⦁ 김정희, 2016, 「감로도 도상의 기원과 전개-연구현황과 쟁점을 중심으로」, 『강좌미술사』47,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김정희, 2016, 「佛國寺 大雄殿 《釋氏源流應化事蹟》 壁畵考」, 『열린정신 인문학연구』17, 인문학연구소. ⦁ 김정희, 2015, 「조선시대 王室佛事의 財源」, 『강좌미술사』45,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김정희, 2014, 「불교미술 속에 표현된 석가모니의 열반 -열반의 可視化와 理想化-」, 『강좌미술사』43,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김정희, 2013, 「雙楹塚 儀式行列圖 壁畵의 圖像과 性格」, 『강좌미술사』41,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김정희, 2013, 「조선후기 명부계 불화의 초본」, 『동아대박물관특별전도록』, 동아대박물관. ⦁ 김정희, 2013, 「한국의 千手觀音 信仰과 千手觀音圖」,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한국정토학회. ⦁ 김정희, 2012, 「고려불화의 발원자와 시주자」, 『강좌미술사』38,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김정희, 2011, 「범천 도상의 형성과 전개 –인도에서 중국까지-」, 『강좌미술사』36,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김정희, 2010, 「佛畵 속에 표현된 湖南的 感性 -義謙 佛畵의 圖像과 樣式을 중심으로」, 『호남문화연구』,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 김정희, 2010, 「불국사 대웅전 벽화고」, 『한국의 사찰벽화(대구광역시,경상북도)』, 문화재청, 성보문화재연구원. ⦁ 김정희, 2010, 「조선후기 화승 진영상」, 『강좌미술사』35,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김정희, 2010, 「The Patrons of Goryeo Buddhist Painting」,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art and Archaeology』, National Museum of Korea. ⦁ 김정희, 2010, 「지장보살과 명부신앙, 『삶, 그후』, 불교중앙박물관. ⦁ 김정희, 2009, 「조선 말기의 정토신앙과 아미타계 괘불화」, 『강좌미술사』33,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김정희, 2008, 「17세기 인숙종기의 불교회화」, 『강좌미술사』30,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김정희, 2008, 「조선말기 왕실발원불사와 수국사 불화」, 『강좌미술사』30,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김정희, 2008, 「대자재천도상고」, 『미술사, 자료와 해석』, 일지사. ⦁ 김정희, 2007, 「서울 봉은사(奉恩寺) 불화고(佛畵考)」, 『강좌미술사』28,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김정희, 2006, 「혜사(慧史) 문명대 교수 정년퇴임 기념 논문집 : 미술사의 작가와 유파 ; 불교회화 : 금호당 약효(若效)와 남방화소 계룡산파 -조선후기 화승연구 (3)」, 『강좌미술사』26,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김정희, 2006, 「松林寺 冥府殿 三藏菩薩像과 十王像 연구」, 『강좌미술사』27,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김정희, 2004, 「고려후기 전환기의 미술 특집 : 1306년 아미타여래도의 시주 "권복수"고」, 『강좌미술사』22,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김정희, 2003, 「三幕寺 冥府殿의 圖像 硏究」, 『강좌미술사』20,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김정희, 2003, 「大興寺 法身中圍會三十七尊圖考」, 『美術史學硏究』237·238, 한국미술사학회. ⦁ 김정희, 2002, 「1465年作 觀經16觀變相圖와 朝鮮初期 王室의 佛事」, 『강좌미술사』19,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김정희, 2002, 「朝鮮後期 畵僧 硏究(2) : 海雲堂 益贊」, 『강좌미술사』18,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김정희, 2001, 「文定王后의 中興佛事와 16世紀의 王室發願 佛畵」, 『美術史學硏究』231, 한국미술사학회. ⦁ 김정희, 2001, 「옥충주자(玉蟲廚子)본생도(本生圖)의 불교회화사적(佛敎繪畵史的) 고찰 : 옥충주자 회화와 삼국시대 회화」, 『강좌미술사』16,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김정희, 2001, 「高麗王室의 佛畵製作과 王室發願佛畵의 硏究」, 『강좌미술사』17,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김정희, 1999, 「송광사 명부전의 도상연구」, 『강좌미술사』13,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김정희, 1999, 「大足 寶頂山 石窟의 地獄變相 硏究」, 『美術史學硏究』224, 한국미술사학회. ⦁ 김정희, 1998, 「생사윤회도고(生死輪廻圖)」, 『강좌미술사』11,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김정희, 1997, 「한·중 지장도상의 비교고찰 : 두건지장을 중심으로」, 『강좌미술사』9,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김정희, 1994, 「효·숙종시대의 불교회화」, 『강좌미술사』6,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김정희, 1994, 「朝鮮時代 『佛說八關齋戒秘密求生淨土心要』의 十王版畫」, 『美術史學硏究』201, 한국미술사학회. ⦁ 김정희, 1992, 「조선전기의 지장보살도」, 『강좌미술사』4,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김정희, 1989, 「『 동국여지승람 』과 조선전기까지의 불화(佛畵)」, 『강좌미술사』2,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김정희, 1988, 「평택 심복사」, 『강좌미술사』1,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김정희, 1983, 「高麗末ㆍ朝鮮前期 地藏菩薩畵의 考察」, 『美術史學硏究』157, 한국미술사학회.

성명 이송란
소속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대학 미술사학
연구논저

저서

⦁ 이송란 외(공저), 2016, 『발해의 불교유물과 유적』, 학연. ⦁ 이송란 외(공저) 역, 2013, 『동서미술교섭사』, 미진사. ⦁ 이송란 외(공저), 2007, 『중앙아시아의 역사와 문화』, 솔. ⦁ 이송란 외(공저), 2006, 『미술사의 정립과 확산 2』, 사회평론. ⦁ 이송란, 2004, 『신라금속공예연구』 일지사.

논문

⦁ 이송란, 2016, 「송대 금은기의 사용 양상과 사회적 의미 : 사천 팽주교장 금은기를 중심으로」, 『미술사학』31, 한국미술사교육학회. ⦁ 이송란, 2016, 「南北朝時代 北朝 고분 출토 西方係 琉璃器-신라 고분 출토 서방계 유리기의 수용경로와 관련하여-」 『한국고대사탐구』22, 한국고대사탐구학회. ⦁ 이송란, 2016, 「의성 탑리 고분 Ⅰ곽 출토 금동관의 계통과 상징성」, 『한국고대사탐구』24, 한국고대사탐구학회. ⦁ 이송란, 2015, 「조선후기 은제화장용기와 화장문화」, 『미술사학』29, 한국미술사교육학회. ⦁ 이송란, 2015, 「보요기법과 누금세공기법으로 본 신라 금공예의 수용 과정」, 『고문화』86, 한국대학박물관협회. ⦁ 이송란, 2014, 「아프가니스탄 베그람 출토 유리용기와 포도주」, 『Journal of China Studies』16, 부산대학교 중국연구소. ⦁ 이송란, 2014, 「폼페이 출토 유리용기와 로마인의 화장문화」, 『인문과학연구논총』37, 명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이송란, 2012, 「아프가니스탄 틸라 테페의 사르마티아(Sarmathia)식 검집 패용 방시그이 전개 과정으로 본 동서교섭」, 『문화재』45, 국립문화재연구소. ⦁ 이송란, 2011, 「백제 미륵사지 서탑 유리제사리병과 고대 동아시아 유리 제작」, 『미술자료』80, 국립중앙박물관. ⦁ 이송란, 2010, 「中國法門寺地宮茶具와 통일 신라 茶文化」, 『先史와 古代』32, 한국고대학회. ⦁ 이송란, 2010, 「발해 상경성 출토 사리구의 구성과 특성」, 『東北亞歷史論叢』27, 동북아역사재단. ⦁ 이송란, 2009, 「미륵사지 金銅舍利外壺의 제작 기법과 문양 분석」, 『新羅史學報』16, 신라사학회. ⦁ 이송란, 2009, 「오르도스 '새머리 장식 사슴뿔' 모티프의 동점으로 본 평양 석암리 219호 <은제타출마도감장괴수문행엽>의 제작지」, 『미술자료』78, 국립중앙박물관. ⦁ 이송란, 2006, 「南越王國의 파르티아(Partia) 系 水適文銀盒과 前漢代 東西交涉」, 『東岳美術史學』7, 동악미술사학회. ⦁ 이송란, 2004, 「東晉의 南京仙鶴觀M6號墓 琉璃碗 연구 : 바닷길을 통한 서방 유리그릇의 수용과 확산 일례」, 『미술자료』70·71, 국립중앙박물관. ⦁ 이송란, 2004, 「신라 고분 공예품에 보이는 불교적 요소의 계보와 그 의미 - 황남대총과 식리총을 중심으로 -」, 『東岳美術史學』5, 동악미술사학회. ⦁ 이송란, 2003, 「皇南大塚 新羅冠의 技術的 系譜」, 『韓國古代史硏究』31, 한국고대사학회. ⦁ 이송란, 2002, 「中國 泉州 開元寺의 印度式 雙柱와 바닷길 貿易」, 『미술사연구』16, 미술사연구회. ⦁ 이송란, 2002, 「新羅의 말信仰과 馬具裝飾」, 『美術史論壇』15, 한국미술연구소. ⦁ 이송란, 2001, 「中國 古代 鏤金細工의 淵源과 展開」, 『미술사연구』15, 미술사연구회. ⦁ 이송란, 2000, 「古新羅 古墳出土 土偶裝飾土器에 보이는 南方的 要素」, 『考古歷史學志』16, 동아대학교 박물관.

성명 이은하
소속 한국문화재정책연구원 정책연구실장
연구논저

저서

⦁ 이은하(공저),「한국민속예술사전」 민화편, 국립민속박물관, 2016. ⦁ 이은하(공저),「한국 역대 서화가 사전」 , 국립문화재연구소, 2011.

논문

⦁ 이은하, 2014,「사천시첩의 체제와 회화사적 의미」,『미술사학연구』281, 한국미술사학회. ⦁ 이은하, 2013,「조선후기 화조화의 形寫性」,『한국학연구』45,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이은하, 2013,「궁중연회도병의 화조화 병풍그림과 민화 화조화」,『민화연구』창간호, 계명대학교 한국민화연구소. ⦁ 이은하, 2012,「拙軒 曺澤承(1841-1907) 초상화 고찰」,『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Vol.18 No.2, 한국한의학연구원. ⦁ 이은하, 2012,「조선중기의 수묵화조화」,『지식융합』 제3호, 동덕여자대학교 지식융합연구소. ⦁ 이은하, 2012,「17세기 宗親 이건과 이함의 화조화 연구」,『미술사학』26, 한국미술사교육학회. ⦁ 이은하, 2012,「한국인의 일생과 함께 한 생물」,『옛 그림 속 우리생물』, 국립생물자원관. ⦁ 이은하, 2011,「조선시대 화조화 연구」, 고려대학교 문화재학협동과정학과 박사학위논문. ⦁ 이은하, 2011,「성산이씨 묘 출토 자수 화조문 스란치마와 조선중기 화조화」,『이승에서의 마지막 치장』 경기명가기증 출토복식 명품전, 경기도박물관. ⦁ 이은하, 2010,「李奎報 題畵詩를 통한 고려 화조화의 일고찰」,『민족문화연구』53,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이은하, 2009, Characteristics of the Flower and Bird Paintings(花鳥畫) in Koryo Dynasty(高麗時代) of Korea- In the Light of Influences of the Chinese Flower and Bird Paintings(中國 花鳥畫), Harvard East Asia Society, Harvard Univ. ⦁ 이은하, 2006,「정선의 금강산도에 대하여」,『문헌과해석』36, 문헌과해석사. ⦁ 이은하, 2005,「관아재 조영석의 회화 연구」,『미술사학연구』245, 한국미술사학회. ⦁ 이은하, 2005,「무속화 전시의 효과적인 방안과 그 의의」,『박물관학보』8, 한국박물관협회. ⦁ 이은하, 2004,「이창효의 풍악록 - 심사정의 금강산 기행」,『문헌과해석』29, 문헌과해석사. ⦁ 이은하, 2003,「관아재 조영석의 생애와 회화 연구」, 고려대학교 문화재학협동과정학과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