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 연구자
성명 김유범
소속 고려대학교 국어교육과
연구논저

저서

⦁ 『譯註 飜譯老乞大』(태학사/1995)(공저) ⦁ 『중세국어 문법형태소의 형태론과 음운론』(월인/2007) ⦁ 『국어 문법형태소의 역사적 이해』(박이정/2007) ⦁ 『(개정판) 대한민국 대표한자』(넥서스ACADEMY/2008)(공저) ⦁ 『(개정판) 한국어와 한국어교육』(한국문화사/2010)(공저) ⦁ 『새로운 국어사 연구론』(경진/2010)(공저) ⦁ 『역주 청어노걸대신석』(박문사/2012)(공저) ⦁ 『추억, 새로운 꿈을 품다』(월인/2015) ⦁ 『정선 지역어』(월인/2016)(공저)

논문

⦁ 언해본 『삼강행실도』의 텍스트에 나타난 문법적 특징의 활용 가치 분석(1), (2), (3): 《효자도》, 《충신도》, 《열녀도》를 대상으로(2007, 2008, 2015) ⦁ 언해태산집요』의 국어학적 특징에 대하여(2009) ⦁ 고대 이집트의 히에로글리프를 통해 본 한국의 차자표기법(2010) ⦁ 통사성과 합성어의 유형 변화(2011) ⦁ 행실도류의 역주 방법론 연구(2011) ⦁ 문자 표기의 형태론적 장치에 대하여(2012) ⦁ 중세국어 교육 내용의 선정(2013) ⦁ 한글 고문서 「宣祖國文諭書」에 대하여(2014) ⦁ 중세국어 문법 연구의 현황과 전망(2016) ⦁ 지역어의 시간적 변화를 통해 본 언어 변화의 실제와 양상(2016) 외 50여 편

공동 연구자
성명 최동권
소속 상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연구논저

저서

⦁ (역주) 청어노걸대신석, 박문사(2012) ⦁ (언두리[神]가 들려주는) 끝나지 않는 이야기, 박문사(2012) ⦁ 만주 팔기 증수(曾壽)의 일기, 박문사(2012) ⦁ (역주) 몽어노걸대, 피오디월드(2009) ⦁ 한국어, 만주어, 몽골어 내포문 비교연구, 한국학술정보(2008) ⦁ 만문 삼국지, 한국학술정부(2008) ⦁ 구만주당, 보고사(2007)

논문

⦁ 만주어 접속문 연구(2013) ⦁ 몽골어 접속문 연구(2012) ⦁ Gunjin Sum(公主廟) 비문 연구(2011) ⦁ 대용어 비교연구 - 한국어 ‘것’, 몽골어 yum, 만주어 -ngge -(2009) ⦁ 몽골어 동작상 어미 연구(2008) ⦁ 몽골국의 제 언어와 민족(2008) ⦁ 청태조 무황제실록과 구만주당 사료 비교연구(2007) ⦁ 국어, 몽골어, 만주어 인용문 비교연구(2006) ⦁ 경녕사 비문 연구(2006) ⦁ 조선세종 '훈민정음'과 원 세조의 파사파문자(2005) 외 다수

성명 이형대
소속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연구논저

저서

⦁ 신영명, 우응순 외, 『조선중기 시가와 자연』, 태학사, 2002.04. ⦁ 이형대,『한국 고전시가와 인물형상의 동아시아적 변전』, 소명출판, 2002.08. ⦁ 정출헌, 조현설, 이형대, 박영민,『고전문학과 여성주의적 시각』, 소명출판, 2003.03. ⦁ 이형대, 이상원, 이성호, 박종우 역,『국역 고산유고』, 소명출판, 2004.10. ⦁ 최덕수, 이형대, 이용현, 한예원,『한국학 정보처리를 위한 다국어 시소러스 연구』,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4.10. ⦁ 신익철, 이형대, 조융희, 노영미 역, 『어우야담』, 돌베개, 2006.11

논문

⦁ 「漁父歌의 變轉과 <화방재사>의 세계인식」, 『민족문화연구』32호,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1999. ⦁ 「향가와 고려가요의 정서표출 양상」,『한성어문학』18호, 한성대학교 국어국문학괴, 1999.05. ⦁ 「어부가의 변전과 <화방재사>의 세계인식」,『민족문화연구』32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1999.06. ⦁ 「사설시조와 성적 욕망의 지층들」,『민족문학사연구』17호, 민족문학사학회, 2000.12 ⦁ 『한국 고전시가와 인물형상의 동아시아적 변전』, 소명출판, 2002.08. ⦁ 「18세기 전반의 농민현실과 ‘임계탄’」,『민족문화연구』 22권,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3.06. ⦁ 「17, 18세기 기행가사와 풍경의 미학」,『민족문화연구』40호,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2004. ⦁ 「선소리 산타령을 통해 본 잡가의 텍스트 변이와 미적 특질」,『한국시가연구』19권, 2005.11. 외 다수

성명 김양진
소속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연구논저

저서

⦁ 도수희․김양진 외. 2015. 『알타이어 속의 한국어, 한국어 속의 알타이어』 역락. ⦁ 김동소․김양진 외 공편. 2007. 「한국어와 일본어의 비교어휘」. 제이앤씨.(2007.12.23) 菊倍版. ⦁ 김동소․김양진 외 공편. 2008. 「한국어와 알타이어의 비교어휘」. 제이앤씨.(2008.8.25). 486면. 菊倍版. ⦁ 최동권․김양진 외 역주. 2012. 「만주 팔기 증수의 일기」(2012.5.21.). 박문사. ⦁ 최동권․김양진 외 역주. 2012. 「역주 청어노걸대신석」. 박문사.(2012.5.31.) ⦁ 최동권․김양진 외 공역. 2012. 「언두리[神]가 들려주는 끝나지 않는 이야기」. 박문사(2012.6.29.)

논문

⦁ 김양진․신상현. 2015. "조선 지식인들의 淸代 滿洲語 수용 연구", 한국실학연구 30호.(12월30일) 韓國實學學會. pp.381-440. ⦁ 김양진․이희영. 2015. "20세기 초, 미국으로 보내진 언문 편지 몇 통", 국제어문 65(6월30일), 국제어문학회, pp.75-108. ⦁ 단명결․김양진. 2015. "한자어 인간성 분류사의 통시적 비교 연구", 중국언어연구 58.(6월30일) 한국중국언어학회. pp.227-264. ⦁ 여채려․김양진. 2015ㄱ. "한자어 단어구성에서의 두음법칙과 경음화", 어문논집 73.(4월30일) 민족어문학회. pp.157-181. ⦁ 여채려․김양진. 2015ㄴ. "서남아시아로부터 동북아시아로의 어휘 전파 -'야홀[鴉鶻]', '날[刺]', '마니주(馬泥珠)'를 중심으로-", 동양학 61집.(2015.10.31.)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pp.1-18. ⦁ 김양진, 2016ㄱ. "'象形'과 '訓民正音'", 우리말연구 46집(2016.7.31.) 우리말학회. pp.143-178. ⦁ 김양진, 2016ㄴ. "만주어 조어법 연구-󰡔御製淸文鑑󰡕의 어휘를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 73(11월30일),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pp.9-30. ⦁ 김양진, 2017ㄱ. "한국어의 형태와 형태소", 국어학 81, 국어학회.(2017.3.31.) pp.227-261. ⦁ 김양진. 2017ㄴ. "민족어문학과 국어학: 영역과 경계를 중심으로", 어문논집 79, 민족어문학회.(2017.4.30.) pp.89-113. ⦁ Men Sokkeang․김양진, 2017. "'(-어)하다'와 '(-어)지다'의 접어성 연구", 우리어문연구 58, 우리어문학회.(2017.5.31.) pp.233-258. 외 다수

성명 강인욱
소속 경희대학교 사학과
연구논저

저서

⦁ 『알타이 초원의 기마인』 주류성, 2016 (역저) ⦁ 『유라시아 역사 기행』 민음사, 2016 ⦁ 『춤추는 발해인』, 주류성, 2009. ⦁ 『고고학으로 본 옥저문화』, 동북아역사재단, 2008. (공저) ⦁ 『시베리아의 선사고고학』,2003. (공저) ⦁ 『고고학으로 본 시베리아의 예술세계』, 주류성, 2003. (역저) ⦁ 『박물관 소장 두만강 유역 선사시대 유물 연구 : 연길 소영자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물관, 2009. (공저)

논문

⦁ 「벨레스서로 본 러시아의 위서와 유라시아의 역사분쟁」 『역사비평』 117호(2017) ⦁ 「Multidisplinary Studies on th medieval mummies of Joseon Dynasty, Korea」 (Novosibisk 2017) ⦁ 「기원전 9~3세기 요서지역의 고고학문화와 산융 동호」 『백산학보』 106호(2016)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로프노르 출토품과 선사시대 실크로드 동서문명의 교류」(국립중앙박물관, 2016) ⦁ 「17~20세기 러시아 만주학 연구의 시작과 전개과정」 (『민족문화연구』 2016) ⦁ 「論斯基泰-西伯利亚文化的起源- 以俄羅斯圖瓦阿爾贊-1号大墓爲中心」『北方民族考古』(2016) ⦁ 「흉노유적 출토 명문자료에 대한 일고찰」, 『한국상고사학보』75집 (2012) ⦁ 「리지린의 『고조선 연구』와 조중고고발굴대 -顧頡剛의 자료를 중심으로-」『선사와 고대』(2015) ⦁ 「고조선의 모피무역과 명도전」, 『한국고대사학보』64집 (2011) ⦁ 「동북아시아적 관점에서 본 북한 청동기시대의 형성과 전개」, 『동북아역사논총』33호 (2011) ⦁ 「Распространение звериного стиля в I тыс.до н.э.на территории провинции Лаонин и корейского полуострова в связи с культурой бронзовых скрипковидных кинжалов」, 『Terra Schytica』(2011) ⦁ 「기원전 4 ~ 서기 1세기의 고고학자료로 본 흉노와 동아시아」, 『중앙아시아연구』 (2010) 외 다수

전임 연구원
성명 신상현
소속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연구논저

저서

⦁ 『역주 청어노걸대』(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만주학총서 1)(공동), 박문사, 2012. ⦁ 『만주 팔기 증수의 일기』(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만주학총서 2)(공동), 박문사, 2012. ⦁ 『언두리[神]가 들려주는 끝나지 않는 이야기󰡕(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만주학총서 3)(공동), 박문사, 2012. ⦁ 『한국학 사전 편찬 방법론의 모색』(공동), 지식과교양, 2013. ⦁ 『유니코드 한자정보사전』(공동),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3. ⦁ 『인문 융합형 사전편찬 전문가 교육 프로그램 개발』(공동), 한국문화사, 2016.09.28

논문

⦁ 「敬菴 金魯洙의 『字學考』에 대한 연구」, 『漢文古典硏究』 제24집, 한국한문고전학회, 2012.6 ⦁ 「滿文資料 ≪만주팔기 曾壽의 일기≫ 硏究」, 『중국학논총』 제44집, 중국학연구소, 2014.05. ⦁ 「<御製淸文鑑> 『天部』 校勘 및 譯註 硏究」, 『인문학연구』 제25집,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4.06.(공동) ⦁ 「조선 지식인들의 淸代 滿洲語 수용 연구」, 『한국실학연구』 30, 한국실학학회, 2015.(공동) ⦁ 「御製淸文鑑 「時令部」 校勘 및 譯註 硏究(3)」, 『인문학연구』29집,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6.06.30.(공동) ⦁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구축 방안 연구」, 『민족문화연구』75,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7.05.(공동) ⦁ 「『同文類解󰡕 語錄解 譯註」, 『인문학연구』 35,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7.12.(공동) 외 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