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필사본 음식조리서의 용어색인DB구축 상세보기
 
감향주 / (졔신증 감향쥬)
의미 부류명 음식명 > 술 > 발효주
대역문 감향주
찹쌀 너 되 정히 쓸어 씻어 담갔다가 가루로 만들어 깁체에 쳐라.
그 전에 누룩 특별히 좋은 것을 이슬 맞혀 여러 날 말려 곱게 갈아서 깁체에 곱게 쳐라.
(찹)쌀가루로 구멍떡을 만들어 (동동) 뜨도록 꽤 삶아 푼주 같은 데다 더운 김에 담고 누룩가루 한 되를 넣어 숟가락으로 꽈리가 일도록 저어 화합하여 두꺼운 종이로 단단히 붙이고 그릇을 덮어 더운 데 놓고 두껍게 덮어라.
사흘 만에 꿀같이 달거든 찹쌀 한 말 씻어 하룻밤 담갔다가 익게 쪄서 시루채 떠 놓고 그릇에 조금씩 떼어 내고 그 밑을 또 떠내어 고루고루 진 비빔만지 차차 버무린다.
알맞은 깨끗한 항아리에 버무리는 족족 넣되, 시루와 항아리를 다 내고 넣을 적마다 덮어 가면서 더운 김이 나지 않게 다 버무려 넣은 후, 손으로 눌러 탄탄히 봉하여 더운 데 덮어 놓았다가, 단 맛이 들거든 열 밤을 서늘한데 두어 삼 주 후 쓰면 달고 아름답다.
위에 푸른 곰팡이가 많이 썼을 것이니 죄다 걷어 없애고 쓰되, 매운 맛이 있게 하려면 멥쌀 반만 섞어 하여라.
원문 졔신증 감향쥬
졈미  승 졍히 허 셰야 갓다가 작말야 깁쳬예 쳐
그 젼의 누록 별노 죠흔 거 이 맛쳐 여러 날 마라 셰말야 깁체예 뇌야
늘 구무 라 도록  마 푼 흔  더운 긤의 고 국말  되 너허 술노 아리 닉도록 져어 화합야 둣거온 죠흐로  부치고 그로 덥허 더온  노코 둣거니 덥허
삼 일 만의 치 달거든   말 셰야 로밤 담갓다가 익게  시로 혀 노코 그로 젹젹 여 여 그 밋   여 고로고로 즌 부뵈음만치  버믈려
마즌 졍 항의 범므리 죡죡 너흐 시로와 항을 다 내고 너흘 젹마다 덥허 가면 더온 김 나디 아니케 다 범므려 너흔 후 숀으로 눌너 탄탄이 봉야 더운  덥허 (노)핫다가 단맛 들거든 즉 십야 서늘  두어 삼칠 후 면 달고 알다오나
우 푸른 곰팡이 마히 질 거시니 죄 거더 업시고 되 온 마시 잇게 랴면 뫼 반만 석거 라
조리서 서지정보
음식 조리서명 규합총셔 권지일
저자 (정양완 역주)
저술연대 18X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