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필사본 음식조리서의 용어색인DB구축 상세보기
 
고기반찬 여러 가지 / (육품졔슈)
의미 부류명 음식명 > 찬품 > 찬품기타
대역문 고기반찬 여러 가지
죽어서 입 벌린 것이 지독하다.
소, 양, 돼지고기를 뽕나무로 삶거나 구어 먹으면 사람의 뱃속에 벌레가 생긴다.
집에서 기르는 대표적인 여섯 가지 짐승이 공연히 절로 죽거나 병들어 죽은 고기를 먹지 말고, 개가 발가락이 여섯이거나, 흰 개의 머리가 검거나, 검은 개의 머리가 흰 것은 지독하니 먹지 말라.
절로 죽되 머리를 땅에 박은 것은 사람이 먹으면 죽고, 짐승의 머리가 땅에 내려져도 흙이 묻지 않는 것은 사람이 먹으면 죽는다.
고기를 포 떠서 오래 말리되 마르지 않는 것은 사람이 먹으면 죽는다.
구워도 움직이지 않는 고기를 먹지 말라.
고기 가운데 진주 같은 점 있는 것은 먹지 말라.
막걸리 먹고 쇠고기 안주를 먹으면 촌백충 누고, 돼지고기와 고추와 생강을 같이 먹지 말라.
더운 고기국을 먹고 곧 냉수를 먹지 말라.
흰 개고기를 먹고 날 파를 먹으면 구규에서 피가 난다.
돼지고기를 물에 넣어 뜨는 것은 먹지 말라.
우유를 먹고 초와 신 것을 먹지 말라.
여름에 포육 말릴 적에 기름을 슬쩍 바르면 파리가 안 꾄다.
썩은 고기를 삶을 제 벼풀을 한 치 길이씩 꺾어 같이 넣어 삶으면 상한 맛이 다 풀에 들어간다.
호도 셋을 껍질에 구멍을 여러 개 뚫어 상한 고기와 (같이) 삶으면 상한 맛이 호도 속에 들어가기 때문에 호도 맛은 상한 고기 같고, 상한 고기는 제 맛으로 되돌아온다.
고기 삶을 때, 닥나무 열매[제실] 서넛을 같이 삶으면 쉬 무르고 맛이 향기롭다.
무릇 고기 구을 제, 참깨 꽃이나 들깨 꽃이나 말리어 가루로 만들어 그 위에 잠간 뿌리면 기름이 흘러 내리지 않는다.
산적도 이 법으로 구워야 좋다.
[쇠고기를 돼지고기와 같이 먹으면 촌백충 누고, 생강과 같이 먹으면 이를 상한다고 한다. 식경에 이르기를 쇠고기를 살구씨와 갈잎을 넣어 삶으면 쉬 무른다 한다.]
원문 육품졔슈
 입 버린 것 디독고
우 양 졔육을 남그로 거나 구어 먹으면 이 쇽의 튱고
뉵튝이 공연이 졀노 쥭거나 병드러 쥭은 고기를 먹디 말고 가 발가락 여섯시어나 흰  머리가 검거나 거믄  머리가 흰 거 디독니 먹디 말고
졀노 쥭오 머리을  박은 거 사이 먹으면 죽고 즘의 머리가  나려져도 딘토가 뭇디 아닌 거 이 먹으면 쥭고
포육을 오 말니여 말르디 안잇 거 이 먹으면 쥭고
구어도 움딕이디 아닛 고기를 먹디 말
고기 가온 쥰쥬 튼 졈 잇 거 먹디 말고
탁쥬을 먹고 고기 안쥬을 먹으면 쵼튱 누고 졔육과 고쵸 강을 가지로 먹지 말고
더온 고기탕을 먹고 즉시 슈를 먹디 말고
흰 고기을 먹고 파을 먹으면 그규의서 피 나고
졔육을 믈의 너허  거 먹지 말고
타락을 먹고 쵸와 싄 거 먹지 말나
녀의 쇠포육 말뇌올 젹 잠간 기을 발르면 리가 아니 고
석은 고기를 믈 졔 벼플을  치 기식 거 가지로 너허 므면 상 마시 다 플의 드이라
호도을 셰흘 겁질의 굼글 여러흘 러 상 고기와 므면 상 마시 호도 쇽의 드러 호도 마시 상 고기 고 고기 마 여상니라
고기 살믈 졔 닥나모 열졔실 서너흘 가지로 므면 슈이 믈르고 마시 상 긔향로오니라
므릇 고기 구을 졔 치나 (들)치나 말뇌야 작말야 그 우 잠간 흐면 기이 흘러 나리디 아니고
산젹도 이 법으로 구어야 됴흔니라
졔육과 가지로 먹으면 쵼튱 누고 강과 가지로 먹으면 니를 상다 니 식경의 왈 우육을 인과 갈닙을 너허 살므면 슈이 므른다 니라
조리서 서지정보
음식 조리서명 규합총셔 권지일
저자 (정양완 역주)
저술연대 18X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