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필사본 음식조리서의 용어색인DB구축 상세보기
 
강정방문 / (江丁 강졍방문)
의미 부류명 음식명 > 한과 > 엿강정류
대역문 강정방문
물기 없는 찹쌀을 희게 쓿어 담갔다가 건져 빻는다
가는 체로 쳐 반죽 물을 팔팔 끓여 좋은 술로 반죽한다
반죽을 맛보고 술맛이 있는 듯하게 쳐서 새알심 반죽처럼 한다
보자기를 솥뚜껑에 달고 솥에 물을 세 번만 갈아서 매우 찐다
큰 도마에 놓고 띠로 꽈리 일게 꽤 친다
(반죽이) 붙는 데는 술을 조금씩 발라 치기를 매 친다
제 가루로 분가루를 하여 편편한 데 놓고 알맞게 늘여 제 몸이 식거든 썬다
더운 방에 백지를 깔고 널어 자주 뒤집어서 마른 후에 맑은 술로 축였다가 제 몸이 눅진눅진하게 축거든 뜯어서 꼿꼿이 펴서 또 말려서 기름에 지진다
나무는 소나무가 좋고 기름은 식혀가며 하고 조절을 자주 한다
강정을 처음 기름에 넣고 불을 차차 때다가 (강정이) 일 때 많이 때고 꽤 솔거든 내어야 죽지 않는다
겨울에는 바람을 쐬면 속이 비고 반죽이 되면 기둥이 서고 연하지 않다
반죽이 질어도 기름이 배어 좋지 않으니 (강정을) 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여름에는 볕에 말려도 좋다
매화산자의 밥은 가장 좋은 찰벼를 잘 말려서 밤이슬을 사오 일 맞혀 술에 축여서 몸이 젖게 한다
하룻밤 지낸 후에 솥을 달궈 벼를 작작 넣어 수저로 저어가며 튀어 나거든 채반으로 덮는다
튄 후 까불어 겨를 없게 하고 소반 위에 펴서 모양이 반듯하고 고운 것으로 가려 담는다
흰 엿을 중탕하며 연사 바탕을 네모반듯하게 염접하여 위에 즙을 발라 매화 밥을 줄로 박고 가장자리에도 줄로 부친다
지치 좋은 것으로 기름을 끓여 사기그릇 에 밥이 고루고루 물이 들게 무쳐 줄로 박는다
밥을 박은 뒤에 지칫물을 들이면 밥이 떨어져 물을 아주 들여서 박은 것만 같지 못하다
백 개를 박으려면 찰 벼 두 말을 튀고, 매화 밥 가린 것이 서 되면 홍백이 넉넉하다
원문 江丁 강졍방문
물 읍난 찰을 희게 쓸어 담가다 건져 라
가는 쳬로 쳐셔 반쥭 물을 고부나게 혀 조흔 슐노 되
반쥭을 맛보아 슐맛 잇난 듯게 쳐 알심 반쥭만치 여
보에 솟에 다라 솟헤 물 셰 번만 가라 오 셔
큰 도마에 노코 모로 아리가 일게  쳐
붓난 는 슐을 조곰식 발나 치기을  셔
졔 가로로 분가로을 여 편편  노코 알마초 늘여 졔 몸이 식거든 쎠흐러
더운 방에 지 고 너러 로 뒤젹여 말은 후에 말근 슐노 축여다 졔 몸이 녹진녹진 츅거든 더 시 펴  말여 가지고 기름에 지지되
나무도 소나무가 조코 기름은 식혀 가며 고 조절을 조 여
강졍을 쳐음 기름에 너코 불을  이다가 일  과희 히고  솔거든 여야 쥭지 아니고
겨울에는 바람 쏘이면 속 비고 반쥭이 되여도 기둥이 셔고 연지 안니고
반쥭이 질어도 기름 여 조치 안니니 기 극난극난
여름은 볏 말녀도 조흐니라
화산 밥은 가 조흔 찰벼를 오 말니워 밤이실 사오 일 맛쳐 슐에 츅여 몸이 졋기 여
로밤 지 후 솟쳘 달으며 벼을  너허 슈져로 져허 가며 튀여 나거든 반으로 덥허
퉌 후 불너 겨 읍시 고 반 우희 펴 모양이 반듯고 골진 고은 것스로 갈희여 담고
흰 엿 즁탕며 연 바탕을 녜모반듯계 염졈여 우희 즙을 발으고 화밥을 쥴노 박고 모의도 쥴노 붓치라
지치 조흔 것스로 기름 혀 사완에 밥을 고로고로 물이 들게 뭇쳐 쥴노 박으되
박아 가지고 지치물 드리면 밥이 러져 물 아조 드려 박음만 갓지 못니라
 입 박으랴면 벼 두 말만 튀고 화 밥 갈흰 것 셔 되면 홍이 넉넉니라
조리서 서지정보
음식 조리서명 시의전서(是議全書)(下)
저자 미상
저술연대 18X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