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필사본 음식조리서의 용어색인DB구축 상세보기
 
잡과실 / (잡과실)
의미 부류명 기타
대역문 잡과실
( )려 하는 밤을 먼저 소금국에 하룻밤을 재워 우려낸다
편하여 가루에 고루 섞어 껍질을 벗긴 팥이나 녹두나 청대콩을 두어 익도록 쪄서 먹는다
쑥털털이는 찹쌀가루 서 되에 쑥을 깨끗이 씻어 젖은 채로 쌀가루 두 되에 버무려 한데 농란히 찧는다
(그것을) 쪼개어 작게 만들어 끓는 물에 삶아 내어 한데 남은 가루에 떨어뜨려 버럭버럭 쳐 떡을 만들어 밤 소에 꿀을 쳐서 넣는다
또 끓는 물에 삶아 순꿀을 발라 잣가루나 깨소금이나 삶은 밤 가루를 묻힌다
두견, 장미, 국화전은 다 찹쌀로 꿀밤 소를 넣어 기름에 띄워 지진다
살구, 복숭아떡은 살구나 복숭아나 농란히 익은 것을 가려 씨를 바른다
(그것을) 시루에 담아 익게 쪄서 체에 거른다
(그것을) 멥쌀가루에 묻혀 말려서 기름종이 주머니에 넣어 둔다
겨울에 다시 가루로 만들어 껍질을 벗긴 팥이나 녹두를 넣고 쪄 먹으면 살구와 복숭아 기운이 입에 가득하다
대추와 밤을 넣어 먹으면 좋다
시루 찌는 법은 백미가 한 말이면 고명이 너 되다
팥 밑에 소금을 넣지 말고 쳐서 찌다가 김 가( ) 시루 안에 고루 불려 찌 면도 좋고 찹쌀 기운도 있고, 익지 않는 법이 없다
청면법은 녹말을 냉수에 묽은 풀만큼 타서 반 종지쯤을 놋양푼에 담아 끓는 물에 두른다
그러면 얇게 드리워 종이같이 되면 냉수에 들이쳐 넣었다가 건져 낸다
잘 드는 칼로 가늘게 쳐서 밤죽이나 오미자국에 꿀을 타 쓴다
세면은 녹말을 냉수에 탄다
바가지에 송곳으로 구멍을 어지러이 뚫고 끓는 물 위에 그것을 든다
녹말을 탄 것을 그 박 안에 들이부어 끓는 물에 흘러내려 익는 즉시 냉수에 담는다
털같이 가늘게 하려면 박을 높이 든다
갈분쉬면법도 그와 같으니, 녹말에 타서 쓴다
녹말에 행이 가까우면 섞여 실이 아니 된다
원문 잡과실
려  밤을 몬져 념탕의 로밤 와 우려
편여 가로의 고로 석거 거피 팟치나 녹도나 청콩이나 두어 익게  먹난이라
쓕굴이난 가로 셔 되예 쑥글 정이 씨서 저즌  가로 두 되의 범물여  농난이 어
작편여 난 물의 살마 여 되 나문 가로의 들옷덜여 빌억빌억 쳐  만그러 밤 소의 을 처서 녀코
 난 물의 살마 순을 발나 가로나 소금이나 슉뉼가로나 뭇치라
두견 장미 국화젼은 다 찹노 밤 소 너어 길름의 어 지지난이라
살구 복송화근 살구나 복송화나 녹난이 익근 거슬 갈의워 씨 발으고
실 다마 익게  쳬에 걸너
가로의 뭇쳐 말이워 유지 주먼이의 너어 두어가
겨울의 다시 작말야 거피 팟치나 녹두나 두어  먹으면 살구와 복송화 긔운이 입의 가득고
초 밤을 두어 먹그면 조흔이라
실우 난 법이 미  말이여든 고명 (너 되)나
팟 미테 소금을 넛치 말아 처 다가 김 가 실우 안의 고로 불여  면도 조코  긔운도 잇고 아이 익난 법이 업난이라
청면법은 농말을 수의 물근 풀만치 타 반 종즘을 논양푼 다마 난 물의 두로면
얄게 딜의어 종의 갓거든 수의 들읏 드려가 건저 여
드난 칼노 늘게 쳐 뉼듁이나 오미자국긔  타 쓰이라
쉬면은 농말을 슈의 타
박가디 송긋츠로 궁글 어즐어이 어  물 우의 들고
농말 탄 거슬 그 박 안의 들이오면  물의 흘너나려 익기 즉시 수의 담으되
털갓치 가게 할여면 박 놉피 들나
갈분쉬면법도 그와 갓흔이 농말의 타 쓰난이라
농말의 이 갓가오면 썩거 실이 아니 되이라
조리서 서지정보
음식 조리서명 역잡록(曆雜錄)
저자 미상
저술연대 183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