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필사본 음식조리서의 용어색인DB구축 상세보기
 
하일두강주법 / (夏日杜康酒法)
의미 부류명 음식명 > 술 > 발효주
대역문 酒方文抄
酒方文必以比方釀之
하일두강주법
白米 一斗 百洗 作末 造穴餠 熟烹行 冷 末匊 一升 和之 盛於適缸 粘米 一斗 百洗 熟蒸飯冷水 調合後 寒 調和於本酒 過七日後 用之
두강주는 하절기에 쓰는 술이다
흰쌀 한 말을 백 번이나 씻어서 가루로 빻아 구멍떡을 만든다
(이것을) 익게 삶아 차거든 가루누룩 한 되를 구멍떡에 섞는다
알맞은 항아리에 넣었다가 찹쌀 한 말을 백 번이나 씻어 익게 쪄 찬물에 섞어 밥이 차거든 밑술에 섞어 빚는다
칠일 만이면 충분히 먹는다.
원문 酒方文抄
酒方文必以比方釀之
夏日杜康酒法
白米 一斗 百洗 作末 造穴餠 熟烹行 冷 末匊 一升 和之 盛於適缸 粘米 一斗 百洗 熟蒸飯冷水 調合後 寒 調和於本酒 過七日後 用之
두강쥬 졀의 스 슐이어니와
미  말을  번이나 시서  아 구무 라
닉게 마 거든 누룩  되 구무의 섯거
마 항의 너헛다가   말을  번이나 시서 닉게  믈의 섯거 밥이 거든 밋술 섯거 비젓더가
일웻 만이면 능히 먹이라
조리서 서지정보
음식 조리서명 주방문초(酒方文鈔)
저자 미상
저술연대 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