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필사본 음식조리서의 용어색인DB구축 상세보기
 
녹파주(綠波酒) / (녹파쥬)
의미 부류명 음식명 > 술 > 발효주
대역문 서 말을 빚으려 하면 흰쌀 한 말 희게 쓿어 깨끗하게 씻어 하룻밤 재워 가루를 내어 물 서 말에 풀을 쑤어 서늘하게 식혀 누룩가루 두 되와 밀가루 칠 홉을 섞어 넣는다
사흘 만에 찹쌀 두 말을 깨끗하게 씻어 익게 쪄 차게 식혀 그 술밑에 버무려 항아리에다가덧트라
소주를 고을 적에 물 한 바가지를 먼저 부어 끓이고 두루 저어 온 솥에 묻힌 후 그제야 삼해주를 바가지로 퍼서 붓고 저어 부글부글 끓여 거품이 일거든 고루고루 저어라
소줏고리를 걸고 위의 양푼으로 물을 부어 짐작하여 많이 끓여 소주가 많이 나오기 시작하거든 불을 빼고 두어 가지만 쪄서 (불을) 가늘게 한결같이 골고루 넣어 두면 소주도 많이 나고 맛이 좋다
물을 서너 번 갈기까지는 일절 맛을 보지 말고 술을 다 푸고 찌끼가 나거든 나중에 솥은 걸러서 고아라
고을 때에 칡덩굴과 감나무를 일절 금하라
소주가 나다가도 그치기도 하니 물을 자주 갈아야 한다
양푼물이 차가울수록 좋다
원문 서 말 비려 면 미  말 희게 쓸허 셰야 로밤 와 작말야 물 서 말의 풀 쑤어 서케 식여 국말 두 되 진말 칠 홉 석거 너헛다가
사흘 마 졈미 이 두 셰야 닉게  차게 식여 그 미 버무려 항의로 덧흐라
소쥬 고울 적 물  박 몬져 부어 히고 두루 저허 왼솟 무친 후 그제야 삼쥬 박을 퍼 부어 저허 불슉불슉 혀 겁품 일거든 고로고로 저허
고으리 걸고 우희 양푼의 물을 부어 짐쟉야 과히 혀 셩히 나기 시작거든 불을 물니고 두어 가지만 어 리 가치 고로 너허 두면 소쥬도 만히 나고 마시 됴흐니라
물 서너 번 갈기지 일졀 마 보지 말고 술 다 푸고 의 나거든 나종 솟 걸어 고으라
고을 적 츩덩굴과 감남글 일금라
소쥬 나다가도 그치니 물을 자조 나
양푼물이 도록 됴흐니라
조리서 서지정보
음식 조리서명 우음제방(禹飮諸方)
저자 미상
저술연대 19X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