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필사본 음식조리서의 용어색인DB구축 상세보기
 
백일주 / (일쥬)
의미 부류명 음식명 > 술 > 증류주
대역문 한 제(劑)가 쌀 서 말이다
정월 초승에 찹쌀 한 되를 가루를 내어 물 한 되 부어 범벅을 개어서 식힌다
국말-누룩가루다-과 함께 밀가루 한 되를 버무려 찬 곳에 둔다
이월 초승에 백미 한 말 닷 되를 깨끗이 풀어 가루를 내어 무리떡을 찐다
(무리떡을) 탕수(湯水) 네 그릇 반과 냉수 네 그릇 반, 합하여 아홉 그릇을 그 떡에 부어 서늘하게 식혀 하룻밤 재운다
먼저 한 술밑에 한데 부어 그 떡을 망울이 없이 풀 때, (망울이) 풀어지지 않거든 칼로 저미어 가며 푼다
(항아리에) 꽤 느른하게 쳐 넣어 단단히 싸매어 두었다가 삼월 초승에 백미 한 말 닷 되를 깨끗하게 씻어 하룻밤 재운다
지에밥을 (잘) 익게 쪄서 큰 그릇에 퍼 놓고 식힌다
탕수 네 그릇 반, 냉수 네 그릇 반을 모두 술밑에 한데 버무려 고루고루 섞어라
(항아리에 버무린 것을) 많이 쳐 넣고 항아리 아가리를 단단히 봉해 두었다가 사월 초열흘쯤 열어 보면 말갛게 삭아 위에 옷이 입혔을 것이다
가운데를 헤쳐야 (술이) 맑은 줄을 안다
그 전에 조금이라도 날물기가 어리면 (술이) 그릇된다
(술이) 막 익을 때 (술기운이) 솟아올라 항아리 속에 테가 떨어진다
행주로 (그 테를) 조금 씻어야 군내가 나지 않는다
사월 초열흘쯤부터 시작하여 웃국을 다 뜬 후에 (채반 등을 써서) 드리워 놓고 쓴다
원문  졔가  서 말인
뎡월 초의 졈미 일 승을 작말여 믈  되 부어 범벅 야 식여
국말 누록로라  되 진말  되 버므려   두엇다가
이월 초의 미 일 두 오 승을 뎡히 플허 작말여 므리 
탕슈 네 식긔 반 슈 네 식긔 반 합여 아홉 식긔 그 의 부어 셔게 식여 로밤 와
문져  술미  부어 그 을 울 업시 플  아니 플니거든 칼노 졈여 가며 프러
세니 론게 쳐 너허 이 싸야 두엇다가 삼월 초 미 말 닷 되 셰야 로밤 와
지에 닉게  큰 그 퍼 노코 식여
탕슈 네 식긔 반 슈 네 식긔 반 모도 술밋  버므려 고로고로 석거
무수히 쳐 너코 부리 이 봉야 두엇다가 월 슌간 여러 보면 가케 삭아 우희 오시 닙혀실 거시니
가온 헤쳐야 은 줄을 아니
그 젼 죠곰이 긔운 어리면 그 되고
막 닉을  북희여 항 속 테가 지니
로 조금 씨셔야 군 아니 나고
월 슌간부터 시작야 웃국 다  후 드리워 쓰니라
조리서 서지정보
음식 조리서명 우음제방(禹飮諸方)
저자 미상
저술연대 19X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