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필사본 음식조리서의 용어색인DB구축 상세보기
 
두견주법 / (두견쥬법)
의미 부류명 음식명 > 술 > 발효주
대역문 두견주법
두견주를 빚으려면 정월 첫 해일에 흰쌀 두 말 반을 깨끗이 씻어 담갔다가 가루를 낸다
쌀을 되질한 되로 물 두 말 반을 팔팔 끓인다
소래기에 날물기 없이 가루를 담고 끓인 물을 고루고루 끼얹어 주걱으로 개어 밖에 놓는다
하룻밤 재워 얼음같이 식은 후에 가루누룩을 밤 내 삶아 쳐서 무수히 바래어 가루를 낸다
(누룩가루) 칠 홉, 밀가루 칠 홉을 넣어 고루고루 버무려서 꽤 친다
깨끗이 우려낸 항아리에 짚불 내를 쏘여 술 버무린 것을 단단히 넣는다
항아리를 빈 섬으로 둘러 불기가 없는 데 잘 둔다
삼월에 두견화가 무수히 필 때에 흰쌀 서 말, 찹쌀 서 말을 깨끗이 씻어 담갔다가 하룻밤 후 찬물에 씻어서 건져 잘 익게 꽤 쪄낸다
각각 그릇에 헤쳐서 놓고 한 김이 난 후에 찬찬히 눌러가며 시룻물을 밥 위에 자즐자즐하게 퍼 부어 뚜껑을 덮어 오래 둔다
술밥이 진밥 같으면 헤쳐 식히되 속속들이 온기가 없거든 메밥, 찰밥을 각각 그릇에 담고 술밑을 내어 버무린다
술밑이 부족하면 시룻물만 넣지 말고 더하는 물대로 물 여섯 말을 끓여 서늘하게 식혀서 술밑에 탄다
버무려 메밥 한 켜, 찰밥 한 켜, (진달래)꽃 한 켜씩 항아리에 단단히 눌러 가며 넣되 맨 위에 메밥 버무린 것을 덮는다
끓인 물을 남겼다가 술을 버무린 그릇을 부시어 붓는다
두견화 활짝 핀 것을 꽃술이 없게 깨끗이 다듬어서 술 한 제에 한 말이나 넣어라
너무 많아도 술빛이 붉어서 좋지 않으니 거기 가운데에 조금씩 펴 넣는다
삼칠일이 지난 후에 들어서 보고 (꽃이) 내려앉았으면 밤에 심지에 불을 켜서 독 속에 넣어 본다
덜 된 술은 불이 꺼지고 다 된 술은 불이 꺼지지 않는다
위를 엷게 걷어 가운데를 헤치면 청주가 솟아나고 개미와 꽃이 잔뜩 뜨고 향취가 향기로워 가히 사랑스럽다
사병과 질병은 술이 맛이 변하니 오지병에 도청하면 무거운 밥 낱과 [밥풀과 개미가 뜬 것이다] 흰 꽃이 펴져서 뜬다
일반적인 술이 밥을 잘 익게 쪄서 서늘하게 하여 빚으면 쉴 염려가 없고 누룩을 잘 바래어 하면 잡맛이없고 술 빛이 냉수 같다
술의 잡내가 나는 것은 그릇을 깨끗이 씻어 날물기를 없이 여러번 거르면 맛이 맑고 변하지 않는다
도화주 밑술도 정월에 해서 두고 덧술은 복숭아 꽃이 필 때 한다
밑술은 두 말 반의 멥쌀로 하고 덧술은 찹쌀과 흰쌀 각각 두 말, 가루누룩 한 되, 밀가루 한 되 든다
복숭아꽃 두 되를 덧할 때에 먼저 독 밑에 (복숭아꽃을) 넣고 버무려 넣되 다른 것은 다 두견주와 같다
원문 두견쥬법
두견쥬 랴면 졍월 첫 일의 미 두 말가오 세야 담가다가 작말여
쌀 되난 되로 물 두 말가옷 붓지게 혀
쇼라의 날물긔 업시 로를 담고 탕슈를 고로고로 여 언저 쥬걱으로 고 한 노하
로밤 거던 어름치 식은 후 로누록 밤  살마 쳐 무슈히 바여 말여
칠 홉 진말 칠 홉 너허 고로고로 버무려  쳐셔
졍히 울인 항의 집븐  쏘여 술 버무린 거살 이 너코
항을 공셕으로 둘너 화기 업  잘 두엇다가
삼월의 두견화 셩발 제 미 셔 말 졈미 서 말 셰여 담가다가 일야 후 찬물의 씨셔 건져 닉게닉게   여
각각 그르 헤치고  김 난 후 찬찬 눌너 가며 시로물을 밥 우 즐즐게 퍼 부어 두에 덥허 이윽이 두엇다가
슐밥이 지은 밥 거던 헤쳐 식이 슉슉드리 온긔 업거던 밥 밥을 각각 그르 담고 슐밋츨 여 버무려
슐밋치 부죡거던 시로물만 말고 덧 슈로 엿 말 물을 여 서늘게 식혀 슐밋 타며
버므려 메밥  케 밥  케   케식 항의 이 눌너 가며 너흐  우희 메밥 범므린 거살 덥니
힌 물 남겨다가 술 버무린 그르살 부싀여 붓고
두견화 쾌히 픤 거살 수울 업시 졍히졍히 다맛다가 슐  졔의  말이나 너흐라
너무 만도 슐이 불거 죠치 안이니 게 가은 쟉쟉 펴 너헛다가
삼칠이 지 후 들셔 보면 려 안거던 밤의 심지의 불 혀 독 속 너허 보면
데된 슐은 불이 지고 다 된 슐은 불이 안이 지니
우흘 녀래 거드면 가온를 헤치면 쳥쥬 용츌며 야미와 치 잠속 고 향 복욱야 가니라
병과 질병은 슐이 변미니 오지병의 도쳥면 무거온 밥낫과 밥풀 야미  거시라 흰 치 펴져 니라
범슐이 밥을 닉게닉게  셔여 비즈면 싈 념여 업고 누록을 잘 여 면 잡마시 업고 슐 비치 슈 고
슐의 잡 나기 그르 졍히졍히 씨셔 날물긔 업시 누슌 도쳥면 마시 쳥열고 변미 아닛나니라
도화쥬 밋도 졍월의 야 두고 덧 도화  
밋 두 말가옷 뫼쌀노 고 덧 졈미 미 각각 두 말 가로누록  되 진말  되 들고
도화 두 되 덧 적 몬져 독 밋 너코 버무려 너흐 다른 거산 다 두견쥬와 독도니라
조리서 서지정보
음식 조리서명 보감록(寶鑑錄)
저자 미상
저술연대 19X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