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복식사전 DB 구축연구 상세보기

구류면구장복 九旒冕九章服 Gu-ryu-myeon-gujangbok, King's ceremonial attire

성별
시대
연령
성인
신분
태그
면복(冕服),면류관(冕旒冠),구류면구장복(九旒冕九章服)
고려 의종(毅宗) 조에 정한 왕의 제복(祭服). 조선왕조 때에 왕의 제복(祭服)과 법복(法服)
King's ceremonial attire worn during the Joseon dynasty(1392-1910); this dress system officially regulated during the reign of King Euijong in the Goryeo dynasty
고려시대에는 원구(圓丘), 사직(社稷), 대묘(大廟), 선농(先農)에 제사지낼 때 입는다. 조선시대에는 종묘, 사직에 제사 지낼 때나 초하루, 보름, 동지, 조회, 수책, 납비 때에 입었던 법복이다. 고려시대는 구류면(九旒冕), 현의(玄衣), 상(裳), 혁대, 백라중단(白羅中單), 대대(大帶), 백옥(白玉)쌍패, 소말(素襪), 적석(赤舃)으로 구성되며, 구류면은 9류(旒)로 각 류마다 주(朱)·백(白)·창(蒼)·황(黃)·흑(黑)색의 5가지색 옥을 12개 사용한다. 현색의(玄色衣)에 산(山),용(龍), 화충(華蟲), 화(火), 종이(宗彛) 5장문을 그리고 상에는 조(藻), 분미(粉米), 보(黼), 불(黻)을 수놓는다. 조선시대『국조오례의서례(國朝五禮儀序例)』에는 규, 면류관, 현색증의(玄色繒衣), 훈증상(纁繒裳), 대대(大帶), 백증중단(白繒中單), 패, 수(綬), 훈증폐슬(纁繒敝膝), 말(襪), 석(舃), 방심곡령(方心曲領)으로 구성된다. 현색의(玄色衣)에 5장을 그리고 상에 4장을 수놓는 것은 고려시대와 같다.
참고문헌 『國朝續五禮儀』
             『國朝五禮儀補序例』
             『高麗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