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복식사전 DB 구축연구 상세보기

구군복 具軍服 Gu-gunbok, Military official’s uniform

성별
시대
연령
성인
신분
태그
병부주머니,전복(戰服),전립(戰笠),전대(戰帶),동달이[同多里],구군복(具軍服),벙거지
조선시대 문무관이 입었던 군복
Military official's uniform worn every day or for ceremonies
무관의 예복이나 장교복, 또는 상복이며, 문관의 경우도 무직(武織)을 띠고 임무를 수행하는 경우 반드시 구군복을 착용하도록 규정되었다. 구군복 차림새는 머리에 전립을 쓰고 동달이(전복속에 입는 주홍색 포, 붉은색의 좁은 소매와 곧은깃이 달렸다)와 전복을 입은 다음 광대(廣帶)와 전대(戰帶)를 띠고 병부(兵符)를 차고 화를 신는다. 수구에 팔찌를 끼고 환도를 들고 동개를 메고 손에 등채를 든다. 품계가 높은 무관이 쓰는 전립은 안올림벙거지라 하며 품질이 좋은 모(毛)제품으로 공작미 · 삭모(鷺毛)와 옥로(玉鷺) · 밀화영(密花纓)을 달았고, 하졸들이 쓰는 전립은 벙거지 또는 벙테기라 하며 돈모(豚毛)를 사용하여 만들고 장식도 없었다. 이 구군복은 무관 최고의 복식차림이었으며, 왕의 행차 때에는 대신 이하 시위(侍衛)하던 모든 신하들이 갖추어 입었다. 그러나 갑오경장 다음 해인 1895년에 을미개혁의 일환으로 서구식 신식군복에 의한 〈육군복장규칙〉이 반포됨으로써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