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복식사전 DB 구축연구 상세보기

리 履 Ri, Shoes

연령
성인
신분
태그
석(舃),리(履),혜(鞋),신,피리(皮履),무우리(無憂履),비두리,오피리(烏皮履),혁리(革履),화(靴),미투리,놋신,금동리(金銅履),능파리,백리(白履),백연포리(白練布履),오혁구리(烏革句履),오혁리(烏革履),토리(土履),피사리(皮絲履),황혁리(黃革履)
신목이 짧은 신의 총칭
Shoes
넓은 의미로는 신발을 총칭하며, 좁은 의미로는 신목이 짧은 신을 의미하기도 한다. 신발의 일반적 의미를 가지며, 혜(鞋)․비(扉)․구(屨)․극(屐)․석(舃)․갹답(蹻踏) 등 신목이 짧은 신이다. 형태는 목이 없는 오늘날의 고무신과 비슷하며, 재료로는 혁(革)·포백(布帛)․사(絲)․마초(麻草)․금속 등이 쓰였다. 종류로는 삼국시대의 오혁리(烏革履)․피리(皮履)․혁리(革履), 신라의 망혜(芒鞋)․마리(麻履)․피사리(皮絲履)․계라리(罽羅履)․우피리(牛皮履)․수라리(繡羅履)․금라리(錦羅履)와 고려시대의 오혁리(烏革履)․조리(早履)․오혁구리(烏革句履)․혁리(革履), 조선시대의 운혜(雲鞋)․당혜(唐鞋) 등이 있다. 고구려에는 ‘무용총 무용도’에 나타난 무용수들이 리(履)를 신고 있는 것을 볼 수 있고, 신목이 없고 앞의 코가 뾰족하며 바닥에 쇠못을 박은 스파이크식 금동리는 삼실총벽화의 무사의 신에서 볼 수 있다. 백제시대에는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왕과 왕비의 스파이크식 금동리가 있었으며, 이것들은 신 머리가 매우 높고 표면에 봉황문과 인동당초문이 조각되어 있다. 신 바닥에 못이 있어 평소에 신고 다닌 것인지 아닌지는 알 수 없다. 고분에서 발굴된 금동리의 모양은 모두 리(履)의 형태로 뒤꿈치는 각형으로 되어 약간 들려 있으며, 신발바닥의 표면에는 작은 영락(瓔珞)이 많이 붙어 있다. 이는 대부분 좌우가 동일한 모양이지만 좌우가 다른 모양도 있으며, 신의 운두에 조각이나 문양을 그린 것도 있다. 신분에 따라 리의 재료를 가죽이나 천으로 만들었는데 이는 조선시대의 갓신, 마른신과 비슷하다고 보며 마리(麻履:삼으로 엮은 신)는 미투리나 짚신과 같은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