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복식사전 DB 구축연구 상세보기

길상어문 吉祥語紋 Gilssang-eo-mun, Chinese character pattern

성별
시대
연령
성인,청소년,아동
신분
태그
길상문(吉祥文),문자문(文字紋),보문(寶紋),길상어문(吉祥語紋),동물문(動物紋),식물문(植物紋),팔길상문(八吉祥文)
길상(吉祥)의 뜻을 가진 문자를 장식적으로 도안한 무늬
Pattern of the Chinese characters that represent auspicious signs
길상어문은 다른 무늬에 비하여 훨씬 직설적인 소망을 담은 것으로 수(壽)․복(福)․부(富)․귀(貴)․강(康)․녕(寧)․희(喜) 등의 문자가 주로 사용된다. 우리나라에서 문자를 직물 무늬로 넣기 시작한 최초의 사례는 통일신라시대로 진덕왕 4년에 ‘오언태평송’을 지어 무늬로 직조하여 당에 보냈다고 한다. 그 후 고려시대와 조선전기까지의 유물에는 문자를 넣어 직조한 옷감이 아직 발견되지 않았고, 조선 중기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조선말기에는 직조에 사용된 것 못지않게 금박과 자수에서도 중요한 소재가 되었다. 길상어문은 수(壽)․복(福)과 같이 단독문자로 사용하거나 수여산(壽如山), 부여해(富如海), 수복강녕(壽福康寧), 이성지합(二姓之合)과 같이 복합문자로 사용하여 착용자의 간절한 바램을 표현하였다. 대부분의 길상어문은 해서체(楷書體)보다는 전서체(篆書體)로 도안화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