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복식사전 DB 구축연구 상세보기

강색 絳色 Gang-saek, Dark red color

성별
시대
연령
기타
신분
태그
대홍의(大紅衣),홍색(紅色),다홍색(多紅色),진홍색[紅色],꼭두서니[茜草],강색(絳色),강사포(絳紗袍),공복(公服),곤룡포(袞龍袍)
짙은 붉은 색
Dark red color
『설문해자(說文解字)』에서 강(絳)은 ‘대적(大赤)’으로 정의되어 있다. 또한 『의례주소(儀禮注疏)』「사관례(士冠禮)」 훈상(纁裳)의 주(注)에 “훈상(纁裳)은 천강상(淺絳裳)이다. 무릇 강(絳)을 염색함에 있어서 한 번 물들인 것은 전(縓), 두 번 물들인 것은 정(赬), 세 번 물들인 것은 훈(纁)이라는데, 주(朱)는 네 번 물들인 것인가”라는 기록이 있다. 강(絳)을 대적(大赤)이라 하고 훈(纁)을 천강(淺絳)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강(絳)이 전(縓), 정(赬), 훈(纁) 등을 거쳐 나오는 색임을 볼 때, 강(絳)이 비교적 짙은 붉은 색을 의미했음을 알 수 있다. 고대 중국에서는 천(茜)으로 염색한 붉은 색을 강(絳)이라 칭하였으나, 후대에는 소목(蘇木) 등을 사용하여 강색(絳色)을 염색하였다. 『태종실록(太宗實錄)』에 의하면 조선시대의 강색 역시 소목(蘇木)으로 만들었다. 강(絳)은 대부분의 경우 강사포(絳紗袍)라는 표현을 통해 나타나는데, 곧 왕의 신분을 나타내는 색명이다. 강사포 이외의 경우, 강은 왕의 곤룡포(袞龍袍), 악공(樂工)의 공복(公服), 특별한 행사에서 조관(朝官)이나 특수인물의 의(衣)에서 나타나고 있다. 조선전기 『실록』에서 왕의 포(袍)를 홍라(紅羅)로 만든 기록과 조선후기 왕의 강사포에 사용된 직물을 보면, 『상방정례(尙方定例)』에 대홍(大紅) 직물로 만든 기록이 있고, 『발긔』에 다홍(多紅) 직물로 만든 기록이 있으며, 『영조실록(英祖實錄)』에는 진홍강사포(眞紅絳紗袍)의 기록이 있다. 따라서 강색은 곧 홍(紅), 대홍(大紅), 다홍(多紅), 진홍(眞紅)이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