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복식사전 DB 구축연구 상세보기

황색 黃色. Hwang-saek, Yellow

성별
시대
연령
성인
신분
태그
금황색(金黃色),오방색(五方色),송화색(松花色),두록색(豆綠色),황색(黃色),황토색(黃土色),아황색(鵝黃色),유황색(硫黃色),자황색(柘黃色)
음향오행 중 중앙을 상징하는 색으로서 권력과 고귀함ㆍ풍요ㆍ관용과 인내ㆍ지혜를 상징하는 색
Yellow that symbolizesthe center of the world, power, dignity, prosperity, tolerance, and wisdom
황색은 천자(天子)의 색으로 통치권자인 임금만 사용할 수 있었으며, 인간의 믿음 신(信)과 조화를 대표하고 오장의 비장ㆍ오관의 몸ㆍ맛으로는 단맛을 상징한다. 고대 한국인의 색채관념에서 통일신라 이전까지 황색은 그다지 귀한색이 아니었으나, 중국의 영향으로 통일신라시대 이후 흥덕왕 복식금제(服飾禁制)에 자황(赭黃)이 진골녀(眞骨女) 이상부터 금지 색이 되면서 황색의 위치는 국가 최고 지위의 복색으로 승격하게 된다. 이 후 황색은 고려와 조선시대에 이르도록 그 등위가 가장 높은 색으로 간주되었으며, 조선시대에는 중국 황제의 색이라 하여 그에 대한 존경으로 왕가에서 서민에 이르기까지 황색의 착복을 금지하였다. 고려시대의 황색에는 다양한 색채명이 있으나 대부분이 왕의 복색으로 상(緗, 담황색)ㆍ자황(柘黃)ㆍ자황(赭黃)ㆍ치황(梔黃)ㆍ지황(芝黃)ㆍ황색(黃色) 등이 있다. 상색(緗色)과 자황색(柘黃色)은 천황색(淺黃色)조이고, 자황색(赭黃色)은 담황(淡黃)으로 붉은 색이 가미된 색이며, 홍황색(紅黃色) 역시 동일한 색조를 띤 것으로 사료된다. 조선시대의 황색은 송화색(松花色)ㆍ두록(豆綠)ㆍ금향색(金鄕色)ㆍ은행색(銀杏色)ㆍ타색(駝色)ㆍ홍황(紅黃)ㆍ명금(明金)ㆍ미황(微黃)ㆍ순황(純黃)ㆍ명황(明黃)ㆍ황(黃)ㆍ유황(柳黃)ㆍ토황(土黃)ㆍ금황색(金黃色)ㆍ담황색(淡黃色)ㆍ국록(鞠鹿) 등이 있다. 이 중에서 가장 많이 쓰인 황색상은 황색(황금색)ㆍ송화색ㆍ두록색이다. 황색을 만들 수 있는 염료는 그 종류가 다른 종류의 색보다 매우 다양하고 풍부하여 우리나라에서 쉽게 구할 수 있으며, 황백나무ㆍ회화나무ㆍ물푸레나무ㆍ검양ㆍ옻나무ㆍ소귀나무ㆍ치자 등과 정황에서 토홍까지 많은 종류의 염료로 많은 종류의 황색을 물들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