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복식사전 DB 구축연구 상세보기

금관조복 金冠朝服 Geumgwanjobok, Official's ceremonial attire

성별
시대
연령
성인
신분
태그
조복(朝服),제복(祭服),금관(金冠),양관(梁冠),관복색(冠服色),금관조복(金冠朝服)
조선 백관의 조복(朝服)과 같은 명칭
Official’s ceremonial attire worn during the Joseon dynasty; a synonym for jobok
태종이 관복색(冠服色)을 설치하여 제복과 함께 만든 옷. 조복을 금관(金冠)과 함께 착용하여 금관조복(金冠朝服)이라고도 하였다. 『경국대전(經國大典)』에 의하면 금관조복은 문무백관(文武百官)들이 대사(大祀) ·경축일(慶祝日) ·원단(元旦) ·동지(冬至) 및 조칙(詔勅)을 반포할 때나 진표(進表)할 때에 착용하였던 예복(禮服)이다. 바지·저고리·중치막 위에 답호를 입고, 그 위에 백초중단(白綃中單) 또는 청초의(靑綃衣)를 입은 후, 적초의(赤綃衣), 적초상(赤綃裳), 적색 폐슬(蔽膝), 대대(大帶), 혁대(革大), 패옥(佩玉), 수(綬), 말(襪), 혜(鞋), 홀(笏), 양관(梁冠, 금관)을 착용하면 완성된다. 품계에 따라 관(冠)의 양수(梁數), 혁대(革帶)와 패옥(佩玉)의 소재와 색, 수(綬)의 무늬와 환(環)의 종류, 홀(笏)의 재료가 달랐다. 백초중단은 흰색 초(綃)로 만든 것으로 깃·도련·소매 끝에 청색 연(緣)을 둘렀으며 각 품이 동일하였다. 국말(國末)에 청초의(靑綃衣)로 바뀌었다. 적초의는 적색 초(綃)로 만들고, 깃·도련·소매 끝에 청색 연(緣)을 둘렀다. 적초상은 앞 3폭, 뒤 4폭으로 적색의 초(綃)로 만들고, 청색 연을 둘렀다. 폐슬은 상(裳)의 색과 같은 적(赤)색 초(綃)를 사용하였고 같은 색으로 선(襈)을 둘렀다. 대대(大帶)는 적백단(赤白緞) 2색으로 겹으로 된 것이다. 적초의, 상, 폐슬, 대대의 형태는 1품에서 9품까지 동일하였다. 혁대(革帶), 수(綬), 패옥(佩玉)은 품계에 따라 소재나 무늬가 달랐다. 말(襪)은 흰색 천으로 만들었고, 각품(各品)이 동일하였다. 혜는 모두 검정색 가죽으로 만들었다. 『대전회통(大典會通)』에는 목화(木靴)로 대신하였다. 홀(笏)은 일품에서 사품까지는 상홀(象笏)이었고, 오품에서 구품까지는 목홀(木笏)이었다.
참고문헌 『經國大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