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복식사전 DB 구축연구 상세보기

활옷 闊衣 Hwarot, Princess’s ceremonial robe

성별
시대
연령
성인
신분
태그
대란치마[膝襴赤亇],화의(花衣),화의(華衣),대대,활옷[闊衣],장삼(長衫),삼회장저고리[三回粧赤古里],화관(花冠,華冠)
조선시대 공주․옹주의 대례복(大禮服).
Princess’s red ceremonial robe with embroidery; this robe was originally reserved for women of the upper class but was allowed as bridal attire for common classes in late Joseon periods
원래 궁중 예복이었으나, 나중에는 원삼과 마찬가지로 사대부 및 일반의 혼례복으로도 허용되었다. 염의(袡衣)가 숙종대 이후 홍장삼(紅長衫)으로 변모하여 활옷으로 발전하였다는 설이 있으며, 문헌에서 발견되는 화의(華衣), 화의(花衣) 등의 용어는 모두 활옷을 한자화하여 지칭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근대 국문 소설인『삼설기(三設記)』중「황주목사계자기(黃州牧使戒子記)」에서는 신부의 복식을 ‘슈할옷’이라고 표기하였고, 「노처녀가(老處女歌)」에서도 신부복으로 ‘할옷’의 기록이 있다. 할옷의 어근인 ‘할’의 어원은 ‘할아버지’의 어근인 ‘하(大)’와 같이 ‘크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어, 활옷이 ‘大衣’ 즉 ‘큰옷’의 의미를 가진 복식 명칭으로도 유추된다. 활옷의 형태를 살펴보면, 앞길이보다 뒷길이가 길며 무가 없이 옆선이 트이고 앞은 마주 여미도록 되어 있다. 겉과 안 사이에는 종이로 두껍게 심을 넣어 만들며, 수구에는 백색 한삼을 달았다. 다홍색 바탕에 장수와 길복, 다산을 의미하는 물결․바위․불로초․어미봉(鳳)․새끼봉(鳳)․호랑나비․연꽃․모란꽃․동자 등의 문양을 옷 전체에 화려하게 수놓았으며, 그 이외에 등에는 이성지합(二姓之合)․만복지원(萬福之源)․수여산(壽如山)․부여해(富如海) 등의 글씨를 수놓았다. 대란치마와 삼회장저고리를 입은 위에 활옷을 입으며 가슴에는 홍색 대대(大帶)를 매고, 머리에는 용잠(龍簪)을 꽂으며 칠보화관(七寶花冠)을 쓴다. 오늘날에도 혼례 시 신부의 폐백복으로 널리 입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