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복식사전 DB 구축연구 상세보기

광수무복식 廣袖舞服飾 Gwang-su-mu, A type of Korean traditional dance

성별
시대
연령
청소년
신분
태그
상(裳),중단의(中單衣),부용관(芙蓉冠),흑피화(黑皮靴),광수무복식(廣袖舞服飾),단령(團領)
넓은 소매로 새가 나는 것처럼 너울너울 추는 춤
Dance performed while wearing wide-sleeved clothes resembling a flying bird
향악정제로서 출처는 창제된 것으로 숙종 기해년(己亥年, 1719) 『진연의궤(進宴儀軌)』에 의하면 제 3작에 초무(初舞), 제 4작에 아박(牙拍), 제 5작에 향발(響鈸), 제 6작에 무고(舞鼓), 제 7작에 광수무(廣袖舞)를 추고 이어 처용무(處容舞)가 연행되었다고 한다. 순조 『무자진작의궤(戊子進爵儀軌)』에 광수무는 “패문운부(佩文韻府) 이백(李白)의 시, 넓은 소매로 너울너울 춤추는 것이 동쪽 바다로부터 오는 새와 같네. 두 무동이 북쪽을 향하고 서로 마주 춤춘다.”라고 기록되어 있으며, 『기축진찬의궤(己丑進饌儀軌)』에 의하면 광수무는 원무(元舞) 2명에 협무(挾舞) 20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윤용구(尹用求)의 『국연정재창사초록』(광무 5, 신축 7월 1901))에 “이 이하는 정재만 있고 창사를 드리지 않으므로 싣지 않는다.”라고 소개되어 있다. 전술된 기록을 살펴보면 광수무는 숙종 이후부터 시작하여 1900년대까지 전승되었음을 알 수 있다. 순조 무자년(戊子年, 1828), 기축년(己丑年, 1829) 진찬의궤의 무동은 홍질남선상(紅質藍縇裳)ㆍ녹단령(綠團領)에 화화방보(畵花方補)를 한다. 관대(冠帶)ㆍ중단의(中單衣)ㆍ화자(靴子)는 초무(初舞) 무동과 같은 것으로 부용관(芙蓉冠)을 쓰고, 백질흑선중단의(白質黑縇中單衣)에 두석록정대(豆錫綠鞓帶)를 띠며, 화화흑화(畵花黑靴)를 신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