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복식사전 DB 구축연구 상세보기

무고복식 舞鼓服飾 Mu-go, A type of Korean traditional dance

성별
시대
연령
성인,청소년
신분
태그
상(裳),대(帶),혜(鞋),단삼(單衫),중단의(中單衣),괘자[褂子],화관(花冠),부용관(芙蓉冠),흑피화(黑皮靴),무고복식(舞鼓服飾),한삼(汗衫),단령(團領)
큰북을 둘러싸고 춤과 창을 하면서 추는 군무(群舞)
Group dance performed around a large drum
향악정재로서 발생연대는 고려 충렬왕(1274-1308) 때라고 추정한다. 한나라 때 비무(鞞舞, 중국 고대의 춤으로 비선무라고도 함)가 있었는데, 비(鞞)는 소고(小鼓)를 말한다. 대개 북을 쳐서 춤의 절주를 삼는다. 『고려사악지(高麗史樂志)』무고의 후주에 “고려의 문신인 시중(侍中) 이 혼(李 混)이 폄직되어 영해에 있을 때 바다에 뜬 나무토막을 얻어 그것으로 무고를 만들었는데, 그 소리가 웅장하였다. 그 춤은 빙글빙글 도는 것으로 한 쌍의 나비가 훨훨 날아 꽃을 감도는 것 같고, 두 마리의 용이 용감스럽게 구슬을 다투는 것 같다. 역대 악부(樂府)에서는 가장 기묘한 정재로 알아왔던 것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무고는 본래 두 사람이 추는 것으로 되었으나 『악학궤범(樂學軌範)』이후에는 이고무(二鼓舞)ㆍ사고무(四鼓舞)ㆍ팔고무(八鼓舞) 등 때에 따라 북수와 무원을 증감하였다. 진작의궤(進爵儀軌)와 진찬의궤(進饌儀軌)에 무고를 추는 다양한 그림이 전하는데 지금과는 달리 무복을 동서남북 방위의 빛깔에 따라 입은 것이 특징이다. 순조 무자년(戊子年, 1828) 진작의궤의 무동은 아광모(砑光帽)를 쓰고, 홍라포(紅羅袍)ㆍ백질남선중단의(白質藍縇中單衣)에 학정대(鶴頂帶)를 띠며, 아래에는 남질흑선상(藍質黑縇裳)을 착용한다. 녹한삼(綠汗衫)을 매고 흑화(黑靴)를 신는다. 순조 기축년(己丑年, 1829) 진찬의궤 명정전 진찬 때의 무동은 부용관(芙蓉冠)을 쓰고, 남질홍선상(藍質紅縇裳)ㆍ홍색단령(紅色團領)에 화화방보(畵花方補)를 한다. 자경전 진찬 때의 무동은 복두(幞頭)를 쓰고, 남포(藍袍)ㆍ백질흑선중단의(白質黑縇中單衣)에 홍야대(紅也帶)를 띠며, 흑화(黑靴)를 신는다. 순조 기축년(己丑年, 1829) 진찬의궤의 여령은 화관(花冠)을 쓰고 초록단의(草綠單衣)ㆍ황초단삼(黃綃單衫)에 홍단금루수대(紅緞金縷繡帶), 안은 남색상(藍色裳) 겉은 홍초상(紅綃裳)을 입는다. 오채한삼(五彩汗衫)을 매고, 초록혜(草綠鞋)를 신으며, 각각 청(靑)ㆍ적(赤)ㆍ흑(黑)ㆍ초록(草綠) 괘자를 덧입는다. 헌종 무신년(戊申年, 1848) 진찬의궤의 여령은 황초단삼(黃綃單衫)에 오색한삼(五色汗衫)을 매며, 각각 청(靑)ㆍ홍(紅)ㆍ흑(黑)ㆍ백(白)의 괘자를 입는다. 순조 기축년의 청ㆍ적ㆍ흑ㆍ초록과 비교하면 초록을 백색으로 바꾸어 사방색(四方色)에 맞추었다. 고종 임진년(壬辰年, 1892)의 여령은 황초단삼(黃綃單衫)에 청(靑)ㆍ적(赤)ㆍ흑(黑)ㆍ유록(柳綠) 괘자를 입으며, 고종 신축년(辛丑年, 광무5, 1901), 임인년(壬寅年, 1902)의 여령은 녹초단삼(綠綃單衫)에 청(靑)ㆍ적(赤)ㆍ흑(黑)ㆍ유록(柳綠) 괘자를 입고 오색한삼(五色汗衫)을 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