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복식사전 DB 구축연구 상세보기

무산향복식 舞山香服飾 Mu-sanhyang, A type of Korean traditional dance

성별
시대
연령
청소년
신분
태그
상(裳),리(履),대(帶),괘자[褂子],무산향복식(舞山香服飾),한삼(汗衫)
비단으로 만든 아모(砑帽)에 붉은 꽃을 꽂고 대모반(玳瑁盤) 위에서 추는 독무
Solo dance performed by a dancer wearing silk hat decorated with red flower on dae-mo-ban, stage made of tortoiseshell
향악정재로서 조선조 순조 29년(1829) 기축년에 효명세자가 창제한 것으로 당나라의 여남왕(汝南王) 진(璡)은 항상 아견모(砑絹帽)를 쓰고 곡을 탔다. 머리 위로 저절로 붉은 근화(槿花, 무궁화)가 떨어졌는데, 모자 위에 그대로 둔 채 이 한 곡을 연주하였다.『도서집성(圖書集成)』에는 소동파(蘇東坡)의 이도자(李陶子) 시에 “뉘와 함께 아광모(砑光帽)를 쓰고, 무산향(舞山香) 한곡을 탈거나”라는 구절이 있다. 대모반(玳瑁盤)을 설치하여 참상과 같이 만들고 무기(舞妓) 1인이 반(盤)에 올라가 춤춘다. 순조 무자년(戊子年, 1828) 진작의궤의 무동은 아광모(砑光帽)를 쓰고, 홍라착수의(紅羅穿袖衣)ㆍ금가자(金訶子)ㆍ백질흑선상(白質黑縇裳)ㆍ녹라괘자(綠羅掛子)를 착용한다. 녹사한삼(綠紗汗衫)을 매고, 학정야대(鶴頂也帶)를 띠며, 능파리(凌波履)를 신는다. 『조선후기 궁중연향문화』권2 무산향복식에 “홍라착수의는 단령깃과 수구에 다른 색의 옷감으로 대어주었다. 녹라괘자는 고구려 무동의 직령포 형태의 회색괘자로 형태가 짐작되며, 단령의 중단용으로 착용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학정야대는 보조대가 달려 뒷자락이 늘어져 입체감을 연출한다.”라고 설명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