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복식사전 DB 구축연구 상세보기

보상무복식 寶相舞服飾 Bo-sang-mu, A type of Korean traditional dance

성별
시대
연령
성인,청소년
신분
태그
상(裳),대(帶),중단의(中單衣),무우리(無憂履),포구락복식(抛毬樂服飾),보상무복식(寶相舞服飾),포(袍)
보상반통(寶相盤桶)에 채구를 던져 넣어 승부를 겨루며 즐기는 놀이 형식의 춤으로, 보상이란 불상의 장엄한 자태를 이르는 것이며 불교에 연원을 둔 춤
Dance performed while throwing balls into a pot placed in the center of bosangban, a round-shaped table bosangrefers to magnificent figure of Buddha; it originated from Buddhism
『법원주림(法苑珠林)』에 “긴다라왕 둔륜마가 금(琴)을 타며 노래를 부르면서 여러 법보로서 찬불하니 대가섭 등이 모두 춤을 추었다.”라고 한다.『도서집성(圖書集成)』당악지(唐樂志)에 이르기를 “한(漢)나라 때에는 반무(盤舞)가 있었는데, 진(晋)나라 때에는 배반무(杯盤舞)라 일컬었다.”하였으며, 순조 때 효명세자가 그 내용과 명칭을 빌려 창제하였다. 향악정재로 7언 한시로 된 창사(唱詞)는 순조 28년(1828)『무자진작의궤(戊子進爵儀軌)』부편에 전한다. 보상무는 보상반 중앙에 연화(蓮花) 항아리를 놓고 여기(女技) 1인이 봉화(奉花)를 들고 반(盤) 동쪽에 서고, 봉필(奉筆)을 든 여기 1인이 서쪽에 서면 춤추는 6인이 2사람씩 짝지어 3대(隊)로 나누어 선다. 이와 같이 편을 갈라 채구를 반(盤) 가운데 넣으면 상으로 꽃을 주고, 넣지 못하면 벌로 점묵(點墨)을 하며 추는 것이 마치 포구락의 모습과 같다. 춤은 연향의 성격과 참연자에 따라 여령(女伶) 또는 무동(舞童)에 의해 추어졌으며, 여령은 각무정재여령복식을 착용하고, 순조 무자년(戊子年, 1828) 진작의궤의 무동은 아광모(砑光帽)를 쓰고, 벽라포(碧羅袍)ㆍ백질흑선중단의(白質黑縇中單衣)ㆍ홍질남선상(紅質藍縇裳)에 학정대(鶴頂帶)를 띠며, 무우리(無憂履)를 신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