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복식사전 DB 구축연구 상세보기

아박복식 牙拍服飾 A-bak, A type of Korean traditional dance

성별
시대
연령
성인,청소년
신분
태그
상(裳),혜(鞋),단삼(單衫),화관(花冠),흑피화(黑皮靴),단의(單衣),아박복식(牙拍服飾),화자(靴子),한삼(汗衫),단령(團領),보(補),포(袍)
상아(象牙)를 깎아 여섯 개의 판(板)을 엮어서 만든 아박을 치면서 추는 춤
Dance with playing a-bak, an instrument made of six plates of ivory
향악정재로서 순조 29년 기축년(己丑年, 1829)에 효명세자가 “원래 창사(唱詞)가 있었으나 모두 저속한 방언으로 되어 있어 알아듣기 어렵기 때문에 이 가사를 지어 노래하게 한다.”라고 하였으며, 아박의 창사를 한문창사로 바꾸어 재창제 하였다. 아박은 고려시대에는 동동(動動)이라 하였고, 동동에 대한 가사는『대악후보(大樂後譜)』권5와『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에 각각 전하고 있다. 조선시대 세종 31년(1449)『세종실록(世宗實錄)』에도 동동으로 소개되었는데,『악학궤범(樂學軌範)』에서는 아박으로 그 이름이 바뀌어져 조선시대 말까지 전승되었다. 원래의 이름인 동동은 가사 동동사(動動詞)의 후렴에 나오는 “아흐 동동다리”에서 지은 것이고, 아박이란 이름은 두 손에 상아로 만든 작은 박을 들고 치는데서 연유하여 무구에 붙여진 이름이라 할 수 있다. 송나라 때의 악무(樂舞) 중에 아박이라는 명칭이 있었는데, 이것을 우리 조정에서 향악정재에 사용하였다. 열두 달의 가사를 노래하되 매월 가사에 따라 춤을 변화시키며 물러난다. 무원(舞員)은 원래 2인이 추었으나, 조선말기에는 아박을 들고 추는 원무(元舞) 2인 외에 협무(挾舞)를 4인에서 20인까지 더하기도 하였다. 순조 무자년(戊子年, 1828) 진작의궤 부편의 무동은 아광모(砑光帽)를 쓰고, 홍라포(紅羅袍)ㆍ백질남선중단의(白質藍縇中單衣)ㆍ남질흑선상(藍質黑縇裳)에 학정대(珠鈿帶)를 띤다. 녹한삼(綠汗衫)을 매고 흑화(黑靴)를 신는다. 순조 기축년(己丑年, 1829) 진찬의궤 명정전 진찬 때의 무동은 홍질남선상(紅質藍縇裳)ㆍ흑색단령(黑色團領)에 화화방보(畵花方補) 한다. 관대(冠帶)ㆍ중단의(中單衣)ㆍ화자(靴子)는 초무(初舞) 무동과 같은데 부용관(芙蓉冠)을 쓰고 백질흑선중단의(白質黑縇中單衣)에 두석녹정대(豆錫綠鞓帶)를 띠며, 화화흑화(畵花黑靴)를 신는다. 동년(同年) 6월 자경전 진찬 때의 무동은 복두(幞頭)를 쓰고, 남포(藍袍)ㆍ백질흑선중단의(白質黑縇中單衣)에 홍야대(紅也帶)를 띠며, 흑화(黑靴)를 신는다. 자경정 진찬 때의 복식은 무고 무동 복식과 같다. 고종 신축년(辛丑年, 광무5, 1901) 정재도(呈才圖)에 보이는 아박 여령복식은 각무정재여령과 동일한 것으로 화관(花冠)을 쓰고, 녹초단삼(綠綃單衫)에 안은 남색상(藍色裳) 겉은 홍초상(紅綃裳)을 입으며, 홍단금루수대(紅緞金縷繡帶)를 띤다. 오색한삼(五色汗衫)에 초록혜(草綠鞋)를 신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