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복식사전 DB 구축연구 상세보기

연화대무복식 蓮花臺舞服飾 Yeonhwa-dae-mu, A type of Korean traditional dance

성별
시대
연령
성인,청소년
신분
태그
상(裳),혜(鞋),단삼(單衫),흑피화(黑皮靴),비두리,연화대무복식(蓮花臺舞服飾),단의(單衣),학무복식(鶴舞服飾),한삼(汗衫),포(袍)
두 동기(童妓)가 내려와 연화(蓮花)로 태어나 군왕의 덕화(德化)에 감격하여 추는 춤
Dance performed by two girl dancers pretending to be lotus blossoms exhibiting their impression and moral influence of the King
당악정재로서 이 춤은 탁발위(拓跋魏) 즉 후위(後魏)에서 기원한 것으로 당나라 현종(玄宗) 때 중국에 정해진 대곡(大曲) 중의 하나이며, 송대(宋代)에도 유행한 것이 고려에 전입되었다. 발생연대는 고려시대이나 정확한 연대를 알 수 없고, 조선말기 까지 오랫동안 전승되어 온 춤 중의 하나이다. 연화무의 정화라고 할 수 있는 동기의 제모(制帽)는『송서(宋書)』악지에 호모(胡帽)라 하였고, 고려사악지(高麗史樂志)』에는 합립(蛤笠)이라고 하였으며, 전자는 지역에 따른 이름이고 후자는 그 형태를 부른 것이다. 특히 모자에는 쇠방울을 달아 장단에 맞춰 움직이면서 소리가 나게 한다. 성종조『악학궤범(樂學軌範)』에 기록된「연화대복식도설(蓮花臺服飾圖說)」에는 합립(蛤笠)에 유소(流蘇)를 늘어뜨리고, 황홍장미(黃紅薔薇)를 꽂는다. 홍라단의(紅羅丹衣)ㆍ홍초말군(紅綃襪裙)ㆍ홍라상(紅羅裳)을 입으며, 금화홍라대(金花紅羅帶)를 띤다. 금화홍라(金花紅羅)로 만든 결신(結紳)을 하는데, 이후의 진찬의궤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순조 기축년(己丑年, 1829) 진찬의궤 복식도에 기록된 연화대무 동기복식은 구성에 있어서는 악학궤범과 동일하나 홍라단의(紅羅丹衣) 대신 초록단의(草綠丹衣)를 입고 백한삼(白汗衫)을 하고 진홍단혜(眞紅緞鞋)를 신는다. 기축년 연화대무 동기복식에서 초록도류불수문갑사(草綠桃榴佛手紋甲紗)에 홍화주(紅禾紬)로 안감을 댄 직령형 단의가 처음 보인다. 고종 정축년(丁丑年, 1877)ㆍ정해년(丁亥年, 1887)ㆍ임진년(壬辰年, 1892)의 연화대무 동기는 기축년과 동일하나 백한삼 대신 옥색한삼(玉色汗衫)을 한다. 순조 무자년(戊子年, 1828) 진작의궤 부편의 무동은 합립(蛤笠)과 금주모(金珠帽)를 쓰고, 녹라포(綠羅袍)ㆍ백질흑선중단의(白質黑縇中單衣)에 학정대(鶴頂帶)를 띠며, 아래에는 홍질흑선상(紅質黑縇裳)을 착용한다. 비두리(飛頭履)를 신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