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복식사전 DB 구축연구 상세보기

일반정재무동복식 一般呈才舞童服飾 Ilbanjeongjae-mu-dong-bok-sik, Dancer’s costume

성별
시대
연령
청소년
신분
태그
상(裳),대(帶),의(衣),화관(花冠),부용관(芙蓉冠),흑피화(黑皮靴),단의(單衣),중단(中單),혁대(革帶),주의(紬衣),일반정재무동복식(一般呈才舞童服飾),화(靴)
진연(進宴) 등에서 정재 시에 무동이 착용한 복식
Dancer’s costume worn for royal banquet
조선시대 무동은 다양한 영역에서 활동하였는데, 초기에는 주로 기우제(祈雨祭)를 많이 지냈으며, 회례연(會禮宴)ㆍ양로연(養老宴)ㆍ사연(賜宴)ㆍ사신연(使臣宴)과 진연(進宴)에서 춤을 담당한 8세에서 15세 이하의 동남(童男)을 가리킨다. 무동복식은 여령(女伶)처럼 일반정재 무동복식과 정재별 무동복식으로 구분된다. 일반정재 무동복식은『악학궤범(樂學軌範)』무동관복(舞童冠服)의 기본구성을 따른 것으로 시대에 따라 관모를 비롯하여 의색(衣色)에 변화를 보인다.『악학궤범(樂學軌範)』에 기록된 무동관복(舞童冠服)은 동연화관(銅蓮花冠), 회례연 시 부용관(芙蓉冠), 공연시 부용관(芙蓉冠), 의(衣)ㆍ중단(中單)ㆍ상(裳)ㆍ금동록혁대(金銅綠革帶)ㆍ화(靴)로 구성되어 있다. 순조 28년(1828)『무자진작의궤(戊子進爵儀軌)』에 기록된 무동복식은 부용관(芙蓉冠)ㆍ홍화주의(紅禾紬衣)ㆍ백단의(白單衣)ㆍ홍화주상(紅禾紬裳)ㆍ두석록정대(豆錫綠鞓帶)ㆍ오화(烏靴)로 구성되어 있으며, 순조 29년(1829)『기축진찬의궤(己丑進饌儀軌)』에 기록된 무동복식은 부용관(芙蓉冠)ㆍ홍화주의(紅禾紬衣)ㆍ백단의(白單衣)ㆍ홍화주상(紅禾紬裳)ㆍ두석록정대(豆錫綠鞓帶), 흑화(黑靴)로 구성되어 있다. 고종 29년(1892)『임진진찬의궤(壬辰進饌儀軌)』이후 기록된 무동복식은 화관(花冠)ㆍ홍화주의(紅禾紬衣)ㆍ색동주의(色同紬衣)ㆍ백단의(白單衣)ㆍ홍화주상(紅禾紬裳)ㆍ홍남야대(紅藍也帶)ㆍ흑화(黑靴)로 구성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