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복식사전 DB 구축연구 상세보기

일반정재여령복식 一般呈才女伶服飾 Ilbanjeongjae-yeo-ryeong-bok-sik, Dancer’s costume

성별
시대
연령
성인
신분
태그
상(裳),혜(鞋),단삼(單衫),화관(花冠),수대(繡帶),일반정재여령복식(一般呈才女伶服飾),한삼(汗衫),삼(衫)
진연(進宴) 등 일반 정재 시에 여령이 착용한 복식
Female dancer’s costume worn for royal banquet
각 의궤별 복식도(服飾圖)의 여령 복식은 화관(花冠)ㆍ황초삼(黃綃衫)ㆍ홍초상(紅綃裳)ㆍ오색한삼(五色汗衫)ㆍ수대(繡帶)ㆍ혜(鞋) 일습으로 구성된다. 현전 의궤 가운데 처음 확인되기는 을묘년(1795)부터이다. 정조 19년(1795)『원행을묘정리의궤(園幸乙卯整理儀軌)』권5 공령에 기록된 각무정재여령복식은 화관(花冠)ㆍ황초단삼(黃綃單衫)ㆍ홍초상(紅綃裳)ㆍ흑단금루수대(黑緞金縷繡帶)ㆍ오채한삼(五彩汗衫)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순조 29년(1829)『기축진찬의궤(己丑進饌儀軌)』 권3 공령에 기록되어 있는 각무정재여령은 화관(花冠)ㆍ초록단의(草綠丹衣)ㆍ황초단삼(黃綃單衫)ㆍ안은 남색상(藍色裳)ㆍ겉은 홍초상(紅綃裳)ㆍ홍단금루수대(紅緞金縷繡帶)ㆍ오채한삼(五彩汗衫)ㆍ초록혜(草綠鞋)로 구성되어 있다. 기축년(己丑年, 1829) 여령복식에서 직령형 초록단의에 대한 기록이 처음 나타나고 있으며, 을묘년(乙卯年, 1795)에 착용했던 흑단금루수대 대신 홍단금루수대를 착용한다. 영조 갑자년(甲子年, 1744)에는 황초상 5건 수리에 대한 기록이 있고, 기축년 복식도에 홍초상과 황초상에 관한 기록을 함께 담고 있어 기축년까지는 황초상과 홍초상을 표상으로 함께 착용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무신년(戊申年, 1848)에는 화관의 운두가 낮아지는 모양 변화가 있으며, 무진년(戊辰年, 1868) 여령복식은 기축년과 동일하나 체구화관에 흑혜를 신었고, 임진년(壬辰年, 1892)에는 다시 초록혜로 일습을 갖춘다. 신축년(辛丑年, 광무5, 1901)ㆍ임인년(壬寅年, 광무6, 1902)의 여령은 기축년 여령복식과 동일하나 황초단삼(黃綃單衫) 대신 녹초단삼(綠綃單衫)을 착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