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복식사전 DB 구축연구 상세보기

장생보연지무복식 長生寶宴之舞服飾 Jang-saengbo-yeonji-mu, A type of Korean traditional dance

성별
시대
연령
성인,청소년
신분
태그
대(帶),흑피화(黑皮靴),각건(角巾),단의(單衣),장생보연지무복식(長生寶宴之舞服飾),포(袍)
임금의 만수무강과 은택을 하례하고, 나라와 백성이 평안하기를 기원하는 내용의 춤
Dance to pray for the king's long life
당악정재로서 출처는 순조 29년 기축년(己丑年, 1829) 때 효명세자의 예제(睿製)로 창제되었다. 장생보연지무는 죽간자(竹竿子)와 구호를 도입하는 등 당악정재의 양식을 모방하고 있으며, 춤의 형태가 9번씩이나 변하며 펼쳐지는 것이 특징이다. 제일변(第一變)에서 제구변(第九變)까지 일변상대무(一變相對舞)ㆍ이변수수무(二變垂手舞)ㆍ삼변상배무(三變相背舞)ㆍ사변산작화무(四變散作花舞)ㆍ오변수수무(五變垂手舞)ㆍ육변오방무(六變五方舞)ㆍ칠변염수무(七變殮手舞)ㆍ팔변사선무(八變四仙舞)ㆍ구변염수무(九變殮手舞)로 진형(陣形)과 동작의 변화가 다양하며 죽간자 2인, 선모(仙母) 1인, 협무(挾舞) 4인으로 구성된다. 이 춤의 이름은 순조 29년 기축(己丑, 1829)에는 장생보연지무(長生寶宴之舞), 헌종 14년 무신(戊申, 1848)에는 장춘보연지무(長春寶宴之舞)라고 고쳤다가 고종 14년 정축(丁丑, 1877)에 다시 장생보연지무(長生寶宴之舞)라고 바꾸었다. 순조 기축년(己丑年, 1829) 진찬의궤 부편의 무동은 각건(角巾)를 쓰고, 홍포(紅袍)ㆍ백질흑선중단의(白質黑縇中單衣)에 남야대(藍也帶)를 띠며, 흑화(黑靴)를 신는다. 고종 신축년(辛丑年, 광무5, 1901) 정재도(呈才圖)에 보이는 장생보연지무 여령복식은 각무정재여령과 동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