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복식사전 DB 구축연구 상세보기

처용무복식 處容舞服飾 Cheo-yongmu, A type of Korean traditional dance

성별
시대
연령
성인,청소년
신분
태그
상(裳),군(裙),흑피화(黑皮靴),말군(襪裙),단의(單衣),천의(天衣),금대(金帶),백피혜(白皮鞋),백한삼(白汗衫),처용무복식(處容舞服飾),단령(團領),사모(紗帽),흉배(胸背)
처용설화에서 비롯된 불가(佛歌)를 곁들인 가면무
Masked dance performed with Buddhist songs which originate from the tale of Cheo-yong
향악정재로서 출처는 신라 헌강왕(憲康王, 875-885)때의 처용설화에서 비롯된 가면무이며, 현재 중요무형문화재 제39호로 지정되어 있다. 조선시대 세종(世宗, 1418-1450)이 그 곡절(曲折)로 가사를 개찬(改撰)하였고 세조(世祖, 1455- 1468)가 그 제도를 늘여 대합악(大合樂)으로 주(奏)하였다. 『삼국유사(三國遺事)』권2 처용랑(處容郞) 망해사(望海寺)조에 의하면, 신라 헌강왕이 지금의 울주(蔚州)에 출유(出遊)했을 때 갑자기 운무(雲霧, 구름과 안개)가 지척을 분간하기 어려울 정도로 끼어 일관(日官)에게 물은즉, 동해 용소(龍所)의 변(變)이오니 가까운 곳에 불사(佛寺)를 짓도록 하면 운무가 걷힐 것이라 했다. 그래서 왕이 망해사란 절을 짓도록 명하니 운무가 개고 처용의 일곱 아들이 왕의 가마 앞에 나와 노래와 춤을 추었다는 설화에서 비롯된 것이 처용무이다. 세종 25년(1443) 정월조(세종실록 권99)에 금일(今日) 이후로 처용무는 여기(女妓) 대신 남부(男夫)를 쓰도록 하였다.『악학궤범(樂學軌範)』에는 처용무에 전도(前度)와 후도(後度)가 있어 두 번 추는데, 후도에서는 처용무를 춘 다음 학무와 연화대의 순으로 합설되고, 이어서 미타찬(彌陀讚)ㆍ본사찬(本師讚)ㆍ관음찬(觀音讚)과 같은 불가(佛歌)를 곁들인다고 한다. 그러나 조선시대 후기에서 말기 즉 숙종(肅宗)ㆍ영조(英祖)ㆍ순조(純祖)에 이르는 역대 진연(進宴)에서 상연된 처용무는 처용무ㆍ학무ㆍ연화대의 종합 연출이 아니고, 이 세 가지의 춤이 각각 독립되어 상연되었다. 성현(成俔, 1439-1504)의『용재총화(傭齋叢話)』권1에 의하면 처용무는 처음에는 한 사람이 흑포(黑袍)와 사모(紗帽)를 하고 춤추었다가 그 후에는 오방(五方) 처용(處容)이 생겼다고 한다. 처용무복의 오방색은 동양철학사상인 음향오행설에 근거를 둔 것으로 동(東)은 청(靑), 서(西)는 백(白), 남(南)은 홍(紅), 북(北)은 흑(黑), 중앙은 황(黃)을 가리킨다. 『악학궤범(樂學軌範)』권9에 기록된 처용무복을 살펴보면 머리에는 2송이 모란과 복숭아ㆍ복숭아나무 가지를 장식한 사모(紗帽)를 쓰고, 얼굴은 피나무를 조각하여 만들거나 옻칠한 포(布)로 껍데기를 만들어 채색한 가면을 쓴다. 의(衣)는 오방의 색에 따라 청(靑)ㆍ황(黃)ㆍ홍(紅)ㆍ백(白)ㆍ흑단의(黑段衣)로 만드는데, 앞자락이 짧고 뒷자락이 길며, 목깃은 둥글고 넓으며, 가슴은 모나고 길며, 앞뒤와 양 소매에 만화(蔓花)를 그린다. 상(裳)은 5인 모두 황초상(黃綃裳)을 입고, 군(裙)은 동ㆍ북방은 청ㆍ흑단의에 홍말군(紅襪裙)ㆍ흑단방슬(黑段方膝), 서ㆍ남방은 백ㆍ홍단의에 흑말군(黑襪裙)ㆍ홍단방슬(紅段方膝), 중앙은 황단의에 남말군(南襪裙)ㆍ홍단방슬을 쓰는데 무릎 방슬에는 모두 녹단(綠緞)으로 선을 댄다. 5인 모두 녹단에 만화를 그린 천의(天衣)를 하고 동ㆍ서ㆍ북ㆍ중앙은 홍초(紅綃)로 만든 길경(吉慶)을 하며, 남방은 흑초(黑綃)로 만든 길경을 한다. 백초한삼(白綃汗衫)에 금대(金帶)를 띠고 백피혜(白皮鞋)를 신는다. 처용무는 일반적으로 남성에 의해 상연되었으나 조선시대 말에는 여령(女伶)에 의해서도 추어졌으며, 복식은『악학궤범(樂學軌範)』권9에 기록된 내용과 유사하다. 순조 기축년(己丑年, 1829) 진찬의궤의 무동 5인은 각각 사모와 가면을 쓰고 단령(團領) 형태인 청ㆍ홍ㆍ황ㆍ흑ㆍ백단의에 흉배를 부착하였으며, 초록천의(草綠天衣)ㆍ홍초길경(紅綃吉慶)ㆍ남말군(南襪裙)ㆍ홍방슬(紅方膝)ㆍ황초상(黃綃裳)에 금동혁대(金銅革帶)를 띤다. 백한삼(白汗衫)을 매고 백피혜(白皮鞋)를 신는다. 헌종 무신년(戊申年, 1848) 진찬의궤의 여령복식은 순조 기축진찬의궤와 같으나 백피혜 대신 흑화(黑靴)를 신는 점이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