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복식사전 DB 구축연구 상세보기

초무복식 初舞服飾 Cho-mu, A type of Korean traditional dance

성별
시대
연령
청소년
신분
태그
상(裳),대(帶),부용관(芙蓉冠),흑피화(黑皮靴),단의(單衣),초무복식(初舞服飾),단령(團領),보(補)
‘이제부터 춤을 아룁니다.’하고 고하는 서무(序舞)로서 정재의 기본이 되는 춤
Dance that announces the opening of royal banquet
향악정재로서 창제된 것으로 그 출처는 숙종 기해년(己亥年, 1719) 진연의궤에 의하면 칠작 중 제3작부터 춤이 상연되고, 제3작을 올릴 때 보허자령(步虛子令)의 연주에 따라 무동이 초무를 추는데 창사는 부르지 않는다고 한다. 처음에는 원무(元舞) 2인에 협무(挾舞) 18인이 추었는데 고종 때에는 4인이 추기도 하였다. 고종 임인년(壬寅年, 광무 6, 1902)『진연의궤(進宴儀軌)』악장조에 주나라 때 예악(禮樂)을 가르치던 스승 유렴(劉濂)이 소무(小舞)를 만들어, 춤을 처음 배우는 사람을 두 줄로 세워 놓고 족도(足蹈)하며 드나드는 걸음걸이를 매우 엄하게 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조선시대 숙종 때에 춤을 처음 배우는 무동들을 지도하기 위해 정재의 기본 춤을 새롭게 만들었는데 이름을 초무라 불렀다. 이 춤은 손과 발의 기능을 연마시키는 춤으로서 독립된 춤이라기보다는 이름 그대로 ‘이제부터 춤을 아룁니다.’하고 고하는 서무의 역할을 하였다. 순조 기축년(己丑年, 1829) 진찬의궤의 무동은 부용관(芙蓉冠)을 쓰고 백질흑선중단의(白質黑縇中單衣)ㆍ홍질남선상(紅質藍縇裳)에 화화방보(畵花方補)한 남색단령(藍色團領)착용하며 두석녹정대(豆錫綠鞓帶)를 띠고 화화흑화(畵花黑靴)를 신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