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복식사전 DB 구축연구 상세보기

방한모 防寒帽 Banghanmo, Winter cap

성별
시대
연령
성인,아동
신분
태그
조바위,풍차(風遮),볼끼,남바위,만선두리(滿縇頭里),방한모(防寒帽),액엄(額掩),아얌,휘항(揮項),난모(暖帽),모관(毛冠),삼산건(三山巾),호항(護項),이엄(耳掩)
방한을 위해 쓰는 모자의 총칭
A general term that refers to any type of winter cap also called nanmo
난모(煖帽, 暖帽)라는 용어와 구별 없이 쓰이기도 한다. 추위와 바람으로부터 머리와 뺨을 보호하기위해 사용하는 우리나라의 방한모는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등에 ‘난모(暖帽)’, ‘모관(毛冠)’의 명칭에서부터 그 사용례를 확인할 수 있다. 조선시대에는 쓰임새, 형태 등에 따라 다양한 방한모의 명칭이 등장하는데, 한자어 명칭에는 이엄(耳掩), 피견(披肩), 액엄(額掩), 풍차(風遮), 삼산건(三山巾), 휘항(揮項), 만선두리(滿縇頭里) 등이 있고, 외래어 명칭에는 우리말의 이엄에 해당되는 뇌포(腦包), 난자(暖子), 점견(苫肩)과 우리말의 볼끼에 해당되는 차검피(遮臉皮)․피마호(皮馬虎)․자포(䐉包), 풍령(風領)이 있으며, 고유어에는 볼끼, 굴레, 아얌 등이 있다. 또한 개화기에 남바위, 조바위, 풍뎅이 등이 있다. 방한모의 재료는 대체로 검은색의 명주, 단(緞) 등의 견직물이 이용되었고, 초피(貂皮), 서피(鼠皮) 등의 모피를 전체, 혹은 부분적으로 사용하였는데, 모피의 경우, 당상관은 초피를 사용하고 당하관은 서피를 사용하는 등, 품계에 따라 재료를 달리하였다. 우리나라 방한모의 형태는 대체로 머리, 귀, 목 부분을 감싸고 정수리 부분은 뚫려 있는 특징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