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복식사전 DB 구축연구 상세보기

각대 角帶 Gak-dae, Belt

성별
시대
연령
성인
신분
태그
각대(角帶)
관복(官服)에 두르던 띠의 총칭
A general term that refers to the belt worn with official robes.
허리에 두르는 것인데 신분과 계급에 따라 재료가 달랐다. 각대는 신라시대에 이미 제도화되어 처음에는 포대(布帶)를 만들어 쓰다가 나대(나대:비단띠)ㆍ혁대(革帶)로 발전하였고, 야금술(冶金術)의 발달에 따라 금대ㆍ은대ㆍ동대ㆍ옥대 등을 띠게 되었다. 고려에서는 계급에 따라 구분하여 대체로 3ㆍ4품의 근시(近侍) 이상은 금대, 5ㆍ6품의 조관(朝官)은 검은 가죽으로 만든 각대를 띠었다. 조선시대에는 계급에 따라 장식이 다양해졌으며 띠돈의 재료에 따라 띠의 종류가 여러 가지 있었다. 옥대(玉帶)는 왕·왕세자·왕비만 띠었고, 서대(犀帶)는 중국에서 생산되는 무소뿔(犀角)로 만들었으며, 세자가 공복을 착용할 때와 1품관이 관복을 착용할 때 띠었다. 비취대(翡翠帶)는 왕세자가 착용하던 띠이며, 수정대(水晶帶)는 왕세손이 착용하던 띠로 옥(玉)은 너무 중(重)하고 서(犀角: 무소뿔)는 너무 가볍다고 하여 인조 때 착용하도록 하였다. 금대(金帶)는 서대 다음으로 여겼으며 동(銅)에 금물을 입혀 만들었는데, 화조문(花鳥紋) 등을 새긴 삽금대(鈒金帶)와 문양을 새기지 않은 소금대(素金帶)가 있다. 삽금대는 정2품에게, 소금대는 종2품에게 착용하도록 하였다. 또, 왕자나 군(君)이 띠던 백택금대(白澤金帶)와 대군용(大君用)의 기린금대(麒麟金帶)가 있다. 여지금대(旣枝金帶)는 황색의 각(角)에 진홍점(眞紅點)을 찍어서 여지피(旣枝皮)의 황실홍(黃實紅)과 같게 한 것으로 종2품과 정3품의 공복에만 띠도록 하였다. 은대(銀帶)는 띠돈에 문양을 새긴 삽은대(鈒銀帶)와 문양을 새기지 않은 소은대(素銀帶)가 있는데, 정3품은 삽은대, 종3품은 소은대를 띠도록 하였다. 흑각대(黑角帶)는 3품 이하 관원의 공복과 5품 이하 관원의 조복에 띠었다. 『세종실록』에는 흑각대가 국휼복(國恤服)으로 국상 때 왕·왕세자·종친과 문무백관이 띠던 것이라 기록되어 있다. 포각대(布角帶)는 국상 때 관원들이 띠던 띠로 바닥의 겉과 안을 포(布)로 싸고 띠돈도 포로 싸서 띠에 붙였다. 형태는 가죽바탕에 비단을 싸고 그 위에 석줄이나 다섯줄의 금줄 혹은 검정줄을 그어 띠의 바닥(帶殺)을 만들었다. 그리고 양끝은 장방형의 띠돈(大敬)과 교구(鉸具)를 붙여 띠의 앞 중심에 오도록 하였다. 교구(鉸具)는 과대의 한 끝에 달린 얇은 구리판을 두겹으로 접어 뾰족한 끝을 다른 쪽에 끼워 넣은 것이다. 그 양옆은 작은 장방형의 띠돈(小敬)을 대고 다시 그 양옆은 심엽형(心葉形)의 띠돈을 간격을 두어 붙이고, 뒷면에는 장방형의 띠돈을 연결해 붙였다. 각대는 관복의 겨드랑 밑에 있는 고리에 끼워 앞가슴에 오도록 착용하였는데 뒤는 허리에 내려오도록 띠어 실용성보다 장식성이 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