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거린더 차다
|
|
영화인명 |
|
거린더 차다 |
|
권역명 |
|
영미권 |
|
직능(직업) |
|
영화감독 |
|
국적 |
|
영국 |
|
작품 목록 |
|
<난 영국인이지만...>(I’m British But..., 영국, 1989, TV 단편 Documentary) <훌륭한 협상>(A Nice Arrangement, 영국, 1990, 단편영화) <우리 시대의 연기>(Acting Our Age, 영국, 1991, 단편 Documentary) <고통, 열정, 그리고 이익>(Pain, Passion and Profit, 영국, 1992, Video Documentary) <해변의 이슬람교도>(Bhaji on the Beach, 영국, 1993) <웃기는 인도여자를 무어라고 부를까?>(What Do You Call an Indian Woman Who’s Funny, 영국, 1994, 단편 Documentary) <부유한 사기꾼>(Rich Deceiver, 영국, 1997, TV Movie) <무슨 요리야?>(What’s Cooking?, 영국/미국, 2000) <슈팅 라이크 베컴>(Bend It Like Beckham, 영국/독일/미국, 2002) <신부와 편견>(Bride & Prejudice, 영국/미국, 2004) <파리 내 사랑>(Paris, je t’aime, 프랑스/리히텐슈타인/스위스/독일, 2006) Olivier Assayas 외 공동연출 <앵거스, 통스, 완벽한 애무>(Angus, Thongs and Perfect Snogging, 영국/미국/독일, 2008) <놀라운 사후세계>(It’s a Wonderful Afterlife, 영국, 2010) |
|
소개 |
|
거린더 차다 Gurinder CHADHA (1960 - ) 케냐 출신의 영국 영화감독. 거린더 차다(Gurinder Chadha)는 1960년 1월 10일 케냐의 수도 나이로비(Nairobi)에서 태어났다. 차다는 그녀의 가족이 1961년 영국의 런던 사우스홀(Southall)로 이주를 하는 바람에 런던에서 성장을 했다. 이스트앵글리아 대학(University of East Anglia)에서 공부를 한 차다는 졸업 후 BBC 라디오 방송에서 방송기자로 일을 하기도 했다. 차다는 BBC에서 그녀가 연출한 몇 편의 다큐멘터리들이 수상을 하면서 주목을 받았는데, 특히 그녀의 첫 연출작인 <난 영국인이지만...>(1989)이 초기 대표작이다. 이 영화는 네 명의 젊은 인도계 영국인들을 인터뷰 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오늘날 영국 다문화 사회의 복잡성을 아름답게 포착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1990년대 들어서도 그녀는 다큐멘터리 작업을 계속했는데, <우리 시대의 연기>(Acting Our Age, 1991)는 그 대표적인 작품이다. 이 작품은 사우스홀에 사는 원로 아시아인들의 체험담을 다루고 있다. 그녀가 그전에 찍은 단편영화인 <훌륭한 협상>(A Nice Arrangement, 1990)에서도 영국에서 교육을 받은 인도인들의 생활상을 묘사하고 있다. 이 작품은 칸영화제 비평가주간에 초청되기도 했다. 차다는 <해변의 이슬람교도>(Bhaji on the Beach, 1993)에서도 영국-아시아 공동체(British-Asian Community) 가운데서도 특히 여성 집단의 삶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그녀의 전형적인 스타일을 잘 보여주고 있다. 차다가 국제적인 지명도를 얻게 된 것은 <슈팅 라이크 베컴>(Bend It Like Beckham, 2002)이라는 영화가 상업적으로나 비평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면서 부터였다. 이 영화는 가문의 반대와 인종적 편견을 무릎 쓰고 축구선수가 되기를 갈망하는 한 인도여학생의 좌충우돌 분투기를 매우 따뜻한 시선으로 다룸으로써 국제적으로도 큰 호응을 받았다. 그녀의 다음 작품인 <신부와 편견>(Bride & Prejudice, 2004)은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제인 오스틴(Jane Austen)의 원작을 약간 비틀어서 발리우드(Bollywood) 형식의 뮤지컬로 변형한 것이다. 차다는 이 작품에서 따뜻한 유머와 현대적 이슈를 결합함으로써 관객에게 즐거움을 선사하는데 성공을 거두고 있다.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