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정보 |
작가 | 제임스 서버 (James Thurber, 1894-1961) |
매체 | 문학(쇼트스토리) | |
생성년도 | 1939년 | |
인물 변용 설명 |
||
인물 유형 |
용기 있는 여성, 정의로운 여성, 주체적 여성
|
|
매체 변용 설명 |
원형콘텐츠의 동화라는 매체는 쇼트스토리의 매체로 변용된다. 미국의 만화가이자 뛰어난 유머작가인 서버의 가장 유명한 쇼트스토리 중 하나로 삽화와 함께 매우 간략하면서도 강렬한 방식으로 다음과 같이 묘사되고 있다. “어느 오후 커다란 늑대 한 마리가 어두운 숲 속에서 할머니께 갖다드릴 음식바구니를 들고 오는 어린 소녀를 기다리고 있다. 마침내 정말로 그런 소녀가 다가왔다. 늑대는 소녀에게 할머니께 음식 바구니를 갖다 드리려고 하냐고 물었고 소녀는 그렇다고 대답했다. 그러자 늑대는 할머니가 어디에 사시는지를 묻고 대답을 들은 후 숲속으로 사라진다. 소녀가 할머니 집에 도착해 문을 열자 어떤 사람이 할머니 잠옷을 입고 침대에 누워있다. 소녀는 더도 덜도 말고 침대로부터 25피트 간격을 두고서 보았더니 그 사람은 할머니가 아니라 늑대였다. 아무리 늑대가 할머니 옷을 입고 있다 해도 할머니처럼 보일 수는 없다. 소녀는 바구니에서 권총을 꺼내 늑대를 쏴 죽인다. One afternoon a big wolf waited in a dark forest for a little girl to come along carrying a basket of food to her grandmother. Finally a little girl did come along and she was carrying a basket of food. \"Are you carrying that basket to your grandmother?\" asked the wolf. The little girl said yes, she was. So the wolf asked her where her grandmother lived and the little girl told him and he disappeared into the wood./ When the little girl opened the door of her grandmother\'s house she saw that there was somebody in bed with a nightcap and nightgown on. She had approached no nearer than twenty-five feet from the bed when she saw that it was not her grandmother but the wolf, for even in a nightcap a wolf does not look any more like your grandmother than the Metro-Goldwyn lion looks like Calvin Coolidge. So the little girl took an automatic out of her basket and shot the wolf dead. \r\n(Moral: It is not so easy to fool little girls nowadays as it used to be.)“ “커다란 늑대 a big wolf”와 “어린 소녀 a little girl”가 대조를 이루면서 늑대가 소녀를 제압할 거라는 예감을 갖게 하지만, 후반부에서의 소녀의 신중하고 용감한 행동은 이러한 예상을 뒤엎어 버린다. 또한 아무리 할머니 옷을 입고 있더라도 늑대가 할머니로 보일 수는 없다는 어린 소녀의 생각은 유머를 자아내는 동시에 원형콘텐츠인 동화에서 어린 소녀를 얼마나 우매한 아이로 등장시켰는가를 상기시켜준다. 특히 바구니에서 다름 아닌 총을 꺼내 늑대를 곧장 쏴 죽이는 장면을 묘사한 마지막 한 문장이 주는 충격적인 반전은 매우 인상적이다. 마지막 괄호 안에 요즘 어린 소녀들을 바보취급하지 말라는 교훈을 직접적으로 명시하는 방식은 원형콘텐츠의 형식을 패러디하고 있다.
|
|
키워드 |
|
|
<어린 소녀와 늑대> 원형 콘텐츠 보기 |
<서버가 그린 어린소녀와 늑대 삽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