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정보 |
감독 | 코리 에드워즈 (Cory Edwards) |
매체 | 영상(애니메이션) | |
생성년도 | 2005년 | |
인물 변용 설명 |
![]()
원형콘텐츠의 빨간모자는 퍼킷 할머니(원형콘텐츠의 할머니)가 만든 최고의 케이크를 온 마을에 배달하는 착한 소녀이면서 먼 곳을 동경하고 모험과 자유를 갈구하는 용감하고 주체적인 소녀로 변용된다. 원형콘텐츠에 비해 많은 인물이 등장하며, 줄거리도 복잡하게 변용되었다. 숲 속 마을의 요리법이 모두 도난당해 경찰은 도둑을 찾고 있는 중이다. 이야기는 늑대가 할머니로 변장해 침대에 누워있는 장면부터 시작된다. 빨간모자는 속지 않고 늑대에게 맞선다. 도끼맨(원형콘텐츠의 사냥꾼), 빨간모자, 퍼킷 할머니, 늑대는 모두 용의자로 체포되어 조사를 받는다. 이들은 차례대로 자신의 관점에서 사건을 이야기한다. 숲 속에서 늑대를 만난 빨간모자가 낯선 사람과는 이야기하지 않는다고 말하며 경계심을 보이자 늑대는 똑똑하다고 칭찬한다. 빨간모자는 무술을 사용해 늑대에게서 벗어난다. 늑대는 허술한 탐정기자로 변용된다. 늑대는 빨간모자도 범인일 가능성이 있다며 망토뿐만 아니라 속도 빨간 거짓말쟁이라고 의심한다. 토끼는 원형콘텐츠에는 없는 인물로 이야기의 반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늑대에 대한 선입견을 깨고 결국은 중독성 있는 케이크를 만들어 숲을 지배하려는 토끼가 범인임이 드러난다. 도끼맨은 배우의 꿈을 갖고 있는 인물로 변용된다. 케이크를 잘 만드는 퍼킷 할머니는 리플 G.라는 이름으로 몰래 익스트림 스포츠를 즐기는 이중생활자로 변용된다. 이러한 할머니의 비밀에 마음의 상처를 입은 빨간모자는 할머니의 자유로운 삶과 숲 밖으로 나가고 싶은 자신의 욕망을 비교하며 빨간 망토를 벗어 버린다. 하지만 할머니는 빨간모자가 아직 어린애라고 생각하고, 어려운 순간마다 빨간모자를 도와준다. 결국 모두가 힘을 합쳐 악당 토끼와 싸우고, 빨간모자는 토끼를 잡는데 큰 공을 세운다. 사건이 해결된 후 ‘행복 만들기 에이전시’를 만든 폴짝이 탐정은 빨간모자, 할머니, 늑대에게 온갖 사건을 해결해 이 세상을 해피엔딩으로 만들자고 제안하고 모두 이에 찬성한다. 결국 원형콘텐츠의 주요 세 인물은 정의를 위해 서로 협력하는 관계를 맺는다.
|
|
인물 유형 |
도전적 여성, 용기 있는 여성, 자유로운 여성, 정의로운 여성, 효녀형 여성
|
|
매체 변용 설명 |
![]()
애니메이션 <빨간모자의 진실>은 추리기법을 사용하여 원형콘텐츠의 서사구조를 완전히 뒤엎고 있다. 첫 장면은 공포스럽고 비밀스러운 분위기의 배경음악과 함께 동화책 속 삽화가 펼쳐지면서 시작된다. 그 삽화에는 숲속에서 커다란 이빨을 드러내며 빨간모자를 위협하는 늑대 앞에서 겁에 질려 있는 빨간모자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이때 “빨간모자! 이 얘기 모르는 사람은 없다. 하지만 모든 이야기에는 숨겨진 무언가가 있는 법. 빨간모자 역시 예외가 아니다. 진실을 알고 싶다면 두 눈 크게 뜨고 책장을 넘겨보자.”라는 내레이션이 나오며 기존에 우리가 알던 이 이야기에 어떤 비밀이 숨겨져 있다는 생각을 하도록 만들어 관객의 호기심을 불러일으킨다. <빨간모자의 진실>은 이야기의 빠른 전개와 많은 동작들, 박진감 넘치는 빠른 테크노 음악을 사용해 원형콘텐츠의 단선적인 교육적인 의도를 복잡한 서사구조와 함께 현대적인 감각으로 바꾸어 놓고 있다. 원형콘텐츠의 공간적 배경인 숲은 여전히 주요공간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토끼가 지배하는 케이블카와 기계로 조작되는 세계가 등장함으로써 자연과 문명의 대립관계를 위해 사용되고 있다. 빨간모자는 트레이드마크인 빨간 망토를 여전히 쓰고 다니지만, 치마 대신 바지를 입고 자전거를 타고 다닌다. 큰 눈의 얼굴 표정은 영리하고 신중해 보인다. 한 마디로 자연과 문명, 전통과 현대의 이미지를 혼합하여 원형콘텐츠의 전통적인 동화의 요소를 애니메이션이라는 매체를 이용해 적절하게 현대적 이미지로 변용시키고 있다. \r\n\r\n관련자료: https://www.youtube.com/watch?v=RGV-cTSr6zg
|
|
키워드 |
|
|
<빨간모자의 진실> 원형 콘텐츠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