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화•문학 속 여성의 다매체적 변용 - 변용 콘텐츠 상세보기

<로리콘 ロリコン Lolicon>

기본
정보
작가 와다 신지, 와타시야 카오루
대표작품 <디지캐럿>, <아이들의 시간>
매체 만화(만화)
생성년도
인물
변용
설명

와타시야 카오루의 만화 <아이들의 시간>
로리콘이란 아동 및 미성년 소녀에게 성적으로 끌리는 경향을 말한다. 미국 작가인 러셀 트레이너가 1966년에 쓴 <롤리타 콤플렉스>에서 영향을 받았으나 콤플렉스가 남성이 가질 수 있는 심리학적 성향을 의미하는 반면 일본어의 줄임말 ‘로리콘’은 그러한 성향을 가진 사람 자체를 가리킨다는 차이가 있다. 와다 신지가 1974년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를 패러디한 만화 <양배추 밭에서 걸려 넘어지다>에서 등장한 이후에 ‘로리콘’이라고 명명되고 장르적으로 퍼지기 시작한 건 1980년대다. 로리콘의 대상이 되는 소녀들 ‘로리’는 일반적으로 만 8세에서 13세가량의 여아를 뜻하지만 17~ 18세 정도로 범위가 넓어지기도 한다. 애니메이션과 망가의 하위 장르에서 코드를 이용한 다양한 콘텐츠가 출판되고, 이 뿐 아니라 소설, 영화, 그리고 포르노그라피에도 많이 등장한다. 그 외에도 동인지, 팬아트(기성 작가의 작품에 대한 패러디 물), 드라마CD 등 관련 콘텐츠는 다양하다. 이러한 코드의 만화와 애니메이션은 귀엽고 어린 미소녀가 등장하되 성적인 수위나 이야기의 범위는 넓다. 로맨스 장르의 경우 ‘로리’는 대체로 관계에서의 희생자이며, 주로 이루어지기 힘든 낭만적인 관계에 빠지만, 종종 성인 남성과의 관계에 주도적인 역할이 되기도 한다.
인물
유형
미성년의 나이에 어른들에게 성적인 대상이 되고 그런 관계에 빠지는 나이 어린 여성
매체
변용
설명
일본어 발음표기에 따라 롤리타에서 ‘로리타’가 되고, 콤플렉스와 합쳐져 로리콘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리는 이러한 코드이자 하위 장르는 나보코프의 문학적 언어로 소녀적인 아름다움이 묘사된 원작과 달리, 시각적인 특성이 부각되고 소녀성이 일본 만화의 언어로 재해석된 경우다. 원작에서 롤리타는 귀엽고 사랑스러운 동시에 발칙하고 성적 매력이 은연중에 나오지만, 이러한 성적 특징이 보다 노골적으로 드러나는 것이 특징이다. 일본 만화라는 장르 상 신체적인 외양의 변화가 가장 두드러진다. 큰 눈, 작은 코 등 일본 망가의 소녀 만화, 순정만화의 작화의 기본적인 특징을 가진다. 사춘기 소녀의 몸이지만 유아적인 신체 비례를 지니며, 유아적인 얼굴과 성적으로 발달된 육체를 동시에 그린다. 목소리도 성인 성우가 내는 목소리. 비현실적인 묘사와 극단적인 이야기를 통해 로리 소녀들은 단면적으로 묘사되어 캐릭터 유형에 가깝다. 역시 일본의 공공연한 하위문화 중 하나지만 종종 논란의 대상이 되며, 이에 대한 법적인 분쟁도 진행된다. 그런 만큼 로리콘 콘텐츠들은 언더그라운드 커뮤니티에서 음지문화에 포함되기도 하고, 기성 작품들에 대한 2차 창작행위로 제작된 동인지, 팬아트, 팬픽 등으로 나타난다. 이를 창작하고 즐기는 사람들은 아마추어 만화가들과 만화 팬들이며 점차 전 세계적으로 향유되고 있다. 로리콘은 다양한 장르와 매체, 시대적인 작화 양식 등을 거치며 변형되어 공통된 틀을 정의하기 어렵지만, 롤리타라는 이름은 성애에 대상이 되는 소녀 뿐 아니라 그러한 장르, 그리고 그를 즐기는 사람들까지 모두 아우르는 큰 개념이 된다. 로리콘의 일러스트나 그림들에서 소녀들은 다소 외설적인 자세를 취하며, 순진무구하거나 공포에 사로잡힌 표정, 혹은 고통스럽거나 환희에 젖은 표정을 하고 있다.또한 이러한 로리콘의 콘텐츠는 코미디 물이나 학원물의 주인공으로 등장하기도 하며, 판타지 등 다른 장르와 함께 많이 변용된다는 특징이 있다.
키워드
<로리콘> 원형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