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화•문학 속 여성의 다매체적 변용 - 변용 콘텐츠 상세보기

<롤리타 Lolita>

기본
정보
아티스트 라나 델 레이 (Lana Del Rey)
매체 음악(대중가요)
생성년도 2012년
인물
변용
설명

<롤리타> 라나 델 레이 (2012)
대중가요의 롤리타는 원형콘텐츠와 유사하게 조숙하며 유혹적인 소녀로 등장하지만 보다 더 대담하고 정열적인 인물로 그려진다. 그러나 노래에서 롤리타가 사랑하는 대상이 구체적으로 명시되지 않는다는 차이가 있다. 롤리타는 자신의 의도와 욕망에 대해 확신하며 상대 남성과의 관계를 통해 자발적으로 또래집단에서 멀어지려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 노래는 원형콘텐츠 <롤리타>에서 양아버지 험버트 험버트를 유혹하던 조숙한 롤리타가 모티프가 된다. 롤리타는 밝은 햇살 속에서 과일 펀치에 젖은 입술로 ‘그’를 유혹한다. 어린 소년들이 그녀를 향해 ‘롤리타’라고 부르지만 그녀는 그들에겐 눈길도 주지 않은 채, 40층의 그의 집에서 그를 쓰러뜨린다. 그녀는 더 이상 어린 소년들과 놀지 않고, 해가 진 뒤에 그와 함께 열기를 느낀다. 햇볕에 그을린 얼굴로 긴 머리를 풀어헤친 채 짧은 치마를 입고 맨발로 거니는 그녀는 스스로를 문제덩어리로 여기지만, 그와의 관계가 사랑임을 확신하므로 남의 시선에 신경 쓰지 않는다. 어린 소년들이 그녀의 이름을 부르고, 남들이 자신을 향해 휘파람을 불어도 그녀는 상관하지 않으며 그가 자신을 행복하게 해준다고 믿는다.
인물
유형
유혹적인 여성, 정열적인 여성
매체
변용
설명
대중가요의 롤리타는 원형콘텐츠보다 더 도발적인 모습으로 이름이 명시되지 않는 ‘그’를 유혹한다. 이 곡은 현악기로 장중하게 시작되지만 강한 비트가 울리며 곧 어둡고 몽롱한 분위기를 구성하는 트립합 장르에 가깝다. 미국의 가수 라나 델 레이의 가사, 멜로디, 목소리로 표현되는 롤리타는 가녀리고 사랑스럽지만 동시에 대범하게 유혹할 줄 아는 소녀다. 이 곡의 후렴구는 독백이 아닌 남들이 부르는 자신의 이름으로, 이는 그녀가 소년들에게 받는 관심과 그와의 관계로 인해 받을 사회적인 비난을 동시에 뜻하지만 그녀는 그 무엇에도 신경 쓰지 않는다. 또한 후렴구에서 그녀는 “더 이상 줄넘기는 하지 않”는다고 밝히는데 줄넘기는 또래집단의 순수성을 뜻한다. 그 뒤에 이어지는 구절에서 “해가 지고 나면”이라는 표현을 통해 성적인 조숙함을 드러낸다. 덧붙여 이 곡이 속한 앨범 (2012)에서 라나 델 레이는 전체적으로 롤리타의 영향을 받은 페르소나를 연기하며, 원형콘텐츠보다 더한 섹슈얼리티, 마약 등 타락한 생활과 야성적 아름다움, 그리고 파행적인 관계를 나타낸다. 앨범 재킷에서도 라나 델 레이는 하트 모양의 선글라스로 큐브릭이 영화화한 <롤리타>에 영향 받았음을 드러내고, 강렬한 액세서리와 진한 화장으로 더 성숙하고 위험한 이미지의 롤리타를 만들어낸다. \r\n관련자료: http://www.youtube.com/watch?v=O_OwcCU3DIQ
키워드
<롤리타> 원형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