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 연구자
성명 김세건
소속 강원대학교 문화인류학과
연구논저

저서

⦁ 김세건, 2014, 『강원도 산간문화: 홍천지역을 중심으로』, 지식산업사. (공저) ⦁ 김세건, 2015, 『강원도 강촌문화: 홍천강변 사람들의 이야기』, 지식산업사. (공저)

논문

⦁ 김세건, 2011, “횡성읍 지역 시장체계의 특징과 변화양상: 저자를 중심으로,” 『민속학연구』 28: 103-134. ⦁ 김세건, 2012, “겨리연장의 사용과 소모는 소리의 특성: 강원도홍천군북부지역을 중심으로,” 『민속학연구』 31: 45-71. ⦁ 김세건, 2014, “멕시코 무니시삐오 정부의 위상과 조직원리: 법적 근거를 중심으로,” 『라틴아메리카연구』 27(4): 153-186. ⦁ 김세건, 2014, “소통로로서의 홍천강의 특징과 적응방식- 강따라 흐르고 가로지르기,” 『한국민속학회』 60: 7-49. ⦁ 김세건, 2014, “강원도 산간지역의 ‘쟁기’의 발달과 특징: 겨리쟁기인가 아니면 겨리연장인가?,” 『사회과학연구』 53(2): 3-52. ⦁ 김세건, 2015, “소양댐과 지역주민들의 일상: 흐르기를 멈춘 강 그리고 정처없이 흐르는 삶,” 『사회과학연구』 54(2): 3-42. ⦁ 김세건, 2016. “강원도 겨리소의 길들이기 방식과 특징,” 『사회과학연구』 55(2): 39-86. ⦁ 김세건, 2017. “강원도 산간 겨리농경지역의 소겨리 구성과 특징,” 『한국민속학』 65: 7-70.

공동 연구자
성명 강명혜
소속 강원대학교 기초교육원
연구논저

저서

⦁ 강명혜, 2005, 『제주도 해녀 노젓는 소리의 본토 전승양상에 관한 조사․연구』, 민속원. (공저) ⦁ 강명혜, 2006, 『강원인의 생산민속』, 민속원. ⦁ 강명혜, 2013, 『한국고전문학의 심층적 연구』, 학고방. ⦁ 강명혜, 2013, 『한국문학, 문화와 문화콘텐츠』, 지식과 교양. ⦁ 강명혜, 2014, 『강원도 산간문화: 홍천지역을 중심으로』, 지식산업사. (공저) ⦁ 강명혜, 2015, 『강원도 강촌문화: 홍천강변 사람들의 이야기』, 지식산업사. (공저)

논문

⦁ 강명혜, 2012, “지역 설화의 의미, 특성 및 스토리텔링화- 태백지역을 중심으로,” 『퇴계학논총』 20: 271-308. ⦁ 강명혜, 2014, “사직의 기원 및 원형적 특성,” 『온지논총』 38: 35-67. ⦁ 강명혜, 2014, “문화적 프리즘을 통해서 살핀 한강의 정체성 연구,” 『온지논총』 40: 161-195. ⦁ 강명혜, 2015, “홍천 지역의 男神과 女神 대비연구,” 『사회과학연구』 54: 3-30.

성명 박관수
소속 민족사관고등학교
연구논저

저서

⦁ 박관수, 2013, 『초·중등학생들의 놀이문화』, 민속원. (공저) ⦁ 박관수, 2014, 『싸시랭이의 향유론적 연구』, 민속원. ⦁ 박관수, 2014, 『어러리의 향유론적 연구』, 민속원. ⦁ 박관수, 2014, 『강원도 산간문화: 홍천지역을 중심으로』, 지식산업사. (공저) ⦁ 박관수, 2015, 『강원도 강촌문화: 홍천강변 사람들의 이야기』, 지식산업사. (공저)

논문

⦁ 박관수, 2012, “홍천 지역 <곱새치기>의 유희 지향,” 『한국민요학』 34: 67-86. ⦁ 박관수, 2012, “민요 용어의 설정 재고 - ‘향토민요’와 ‘통속민요’를 중심으로,” 『남도민속연구』 24: 63-80. ⦁ 박관수, 2014, “경쟁형놀이의 탈일상성,” 『실천민속학연구』23: 165-191. (공저) ⦁ 박관수, 2014, “민요사설과 향유이야기의 결합,” 『한국민요학』 40: 33-56. ⦁ 박관수, 2014, “<새흉내내는소리>의 일상생활에서의 역할,” 『구비문학연구』 3: 349-375. ⦁ 박관수, 2014, “홍천 지역 기우 풍속의 존재 양상: 홍천강 지역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53(2): 113-143. ⦁ 박관수, 2017, “<어러리>와 <자진어러리> 관련양상연구의 재검토,” 『한국민속학』 65: 139-164.

성명 이정연
소속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연구논저

저서

⦁ 이정연, 2012, 『여성주의 역사쓰기: 구술사 연구방법』, 서울: 아르케. (공저) ⦁ 이정연, 2015, 『도서관, 문화로 온기를 나누다: 도서관문화복지서비스』, 경기도사이버도서관.

논문

⦁ 이정연, 2009, “방송기획과정 분석을 통한 방송콘텐츠 창작자의 정보활동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4): 59-81. ⦁ 이정연, 2009, “웹 구술사료(口述史料) 아카이브 정보시스템의 설계 및 평가용 가이드라인 개발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6(4): 277-298. (공저) ⦁ 이정연, 2011, “여성구술생애기록물 맥락표현을 위한 메타데이터 구조화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30: 57-88. (공저) ⦁ 이정연, 2011,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도서관의 문화복지 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2(2): 27-39. ⦁ 이정연, 2013, “인도네시아 도서관의 역사적 고찰과 공공성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4(4): 181-195. ⦁ 이정연, 2015, “동아시아 공공도서관 태동과 정체성에 관한 연구,”『한국비블리아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65-83. ⦁ 이정연, 2016, “디지털 휴매니티스와 연구도서관,” 문헌정보학 3개 학회 공동학술대회 발표논문. ⦁ 이정연, 2016, “Understanding Scientific Collaborations in the Research Life Cycle: Bio- and Nano-Scientists’ motivations, Information Sharing and Communication practices and Barriers to Collaborations.”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JASIST) 67(8): 18-36.

전임 연구원
성명 유명희
소속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연구논저

저서

⦁ 유명희, 2013, 『한국구비문학대계-강원도 평창군 편』, 한국학중앙연구원. (공저) ⦁ 유명희, 2013, 『한국민속문학사전-민요편』, 국립민속박물관. (공저) ⦁ 유명희, 2014, 『한국구비문학대계-강원도 홍천군 편』, 한국학중앙연구원, (공저) ⦁ 유명희, 2014, 『강원도 산간문화: 홍천지역을 중심으로』, 지식산업사. (공저) ⦁ 유명희, 2014, 『민요와 소리꾼의 세계』, 민속원. (공저) ⦁ 유명희, 2015, 『강원도 강촌문화: 홍천강변 사람들의 이야기』, 지식산업사. (공저)

논문

⦁ 유명희, 2015, “아리랑 공연 단체의 성격과 민요 전승의 방향,” 『공연문화연구』 31: 205-225. ⦁ 유명희, 2014, “홍천 지역의 지리적 조건과 민요권역 고찰,” 『동아시아고대학』 33: 407-436. ⦁ 유명희, 2014, “홍천 지역 사람들의 가창유희요에 대한 인식과 대응-아라리와 외지소리를 중심으로,” 『한국민요학』 40: 95-115. ⦁ 유명희, 2014, “노동요 상실에 따른 소리꾼의 역할 변화,” 『민속연구』 28: 93-115. ⦁ 유명희, 2013, “홍천 산간 지역의 <논매는소리> 교섭 양상,” 『역사민속학회』 41: 143-163.

성명 유형동
소속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강원산촌문화연구센터
연구논저

논문

⦁ 유형동, 2012, “조사자가 이야기판에 미치는 영향,” 『민속연구』 24: 131-157. ⦁ 유형동, 2013, “일시적 이야기꾼의 이야기 연행양상과 의의,” 『민속연구』 26: 233-255. ⦁ 유형동, 2014, “호남 인물 유자광 이야기의 전승양상과 의식,” 『어문론집』 59: 177-206. ⦁ 유형동, 2014, “임방의 기이수용과 『천예록』,” 『동아시아고대학』 34: 171-199. ⦁ 유형동, 2015, “<짐가제굿>무가의 서사 지향과 기능,” 『동아시아고대학』 39: 89-112. ⦁ 유형동, 2016, “<허웅애기본풀이>의 구조와 의미,” 『어문론집』 68: 129-148. ⦁ 유형동, 2016, “『鶴山閑言』에 나타난 辛敦復의 奇異 認識과 談論的 性格,” 『우리문학연구』 50: 63-89.

성명 이영식
소속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연구논저

저서

⦁ 이영식, 2014, 『증편 한국구비문학대계 2-13 강원도 고성군』, 역락. (공저) ⦁ 이영식, 2014, 『강원의 민속문화』, 국립민속박물관. (공저) ⦁ 이영식, 2014, 『강원도 산간문화: 홍천지역을 중심으로』, 지식산업사. (공저) ⦁ 이영식, 2015, 『강원도 강촌문화: 홍천강변 사람들의 이야기』, 지식산업사. (공저) ⦁ 이영식, 2017, 『증편 한국구비문학대계 2-14 강원도 철원군』, 역락. (공저)

논문

⦁ 이영식, 2012, “홍천군 산간지역 유희요의 세대별 존재 양상- 다리뽑기하는소리, 고무줄하는소리, 말꼬리잇는소리를 중심으로-,” 『한국민요학』 35: 197-221. ⦁ 이영식, 2013, 『증편 한국구비문학대계 2-11 강원도 정선군』, 역락. (공저) ⦁ 이영식, 2013, “<땅다지는소리>와 <묘다지는소리>의 존재양상-다짐의 친연성과 풍수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민요학』 37: 167-192. ⦁ 이영식, 2014, “홍천강 지류별 마을제의 존재양상: 성산천, 풍천천, 성동천, 굴지천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54(1): 31-54. ⦁ 이영식, 2014, “강원도 홍천군 동면과 서석면 지역의 마을제의 변화양상-제일과 제물 그리고 제례관을 중심으로-,” 『동아시아고대학』 34: 227-253. ⦁ 이영식, 2015, “화천 지역 노동요의 전승과 비전승 양상: 『강원의 민요』와『증편 한국구비문학대계』 비교를 통하여,” 『민요연구』 30: 7-30. ⦁ 이영식, 2016, “영평정 지역 <아라리>의 지명 구성 양상,” 『한국민요학』 47: 157-182.

성명 최명환
소속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강원산촌문화연구센터
연구논저

저서

⦁ 최명환, 2013, 『양리마을 사람들의 삶과 문화』, 삼척시립박물관. (공저) ⦁ 최명환, 2013, 『산양마을 사람들의 삶과 문화』, 삼척시립박물관. (공저) ⦁ 최명환, 2014, 『향교, 서원과 용인사람들』, 선인. (공저) ⦁ 최명환, 2014, 『강원도 산간문화: 홍천지역을 중심으로』, 지식산업사. (공저) ⦁ 최명환, 2015, 『강원도 강촌문화: 홍천강변 사람들의 이야기』, 지식산업사. (공저) ⦁ 최명환, 2015, 『영주의 전통마을』, 영주문화유산보존회. (공저) ⦁ 최명환, 2015, 『한국 민간요법 발굴조사보고서-강원도편』, 한국한의학연구원. (공저) ⦁ 최명환, 2017, 『하나 되는 약속의 상차림』, 한식재단. (공저)

논문

⦁ 최명환, 2012, “홍천군 산간 지역 인물설화의 지역적 특징,” 『동아시아고대학』 29: 113-143. ⦁ 최명환, 2015, “마을제의의 형성과 공연화 과정,” 『공연문화연구』 31: 179-204. ⦁ 최명환, 2015, “구전을 통한 동족마을 세거성씨와 지역과의 상관성,” 『사회과학연구』 54(2): 89-110. ⦁ 최명환, 2016, “강원도 양양군 상복골 드장날 ‘밤가이’ 구조와 의미,” 『한국민속학』 63: 7-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