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 연구자
성명 배기동
소속 국립중앙박물관
학위 • Ph.D. /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캠퍼스 대학원 인류학과
연구논저

저서

⦁ 2018,『한국 대중고고학 개론』, 주류성(공저) ⦁ 2018,『Africa : 부산박물관 개관 40주년 / 아프리카개발은행AfDB 연차 총회 기념 특별전』, 부산박물관(공저) ⦁ 2018,『박물관을 이용하는 사람들』, 아카데미프레스(공저) ⦁ 2017,『전곡 구석기 유적과 축제 : 문화유산보존과 활용 전략의 새로운 역사의 시작』, 학연문화사2015,『대한민국 박물관 기행』, 성안당 ⦁ 2013,『인간이 된다는 것의 의미』, 주류성 ⦁ 2011,『전곡리 구석기 유적』, 전곡선사박물관 ⦁ 2011,『고고학 발굴과 연구 : 50년의 성찰』, 주류성(공저) ⦁ 2010,『대한민국 국격을 생각한다』, 올림(공저) ⦁ 2009,『천 번의 붓질 한 번의 입맞춤』, 진인진(공저)

논문

⦁ 2017, 「국내소재 해외문화유산 DB구축 연구의 성과와 과제」, 『박물관학보』 33, 한국박물관학회 ⦁ 2016, 「주먹도끼의 진화과정에 대한 근동지방과 동아시아지역의 비교고고학」, 『한국구석기학보』 33, 한국구석기학회 ⦁ 2016, 「한국의 고고학과 박물관」, 『한국고고학보』 100, 한국고고학회 ⦁ 2015, 「한국고고학과 현대사회 : 새로운 비전의 한국고고학을 위하여」, 『한국고고학전국대회발표문』, 한국고고학회 ⦁ 2014, 「한국 옛 사람뼈 자료에 대한 생물고고학적 연구」, 『대한체질인류학회』 27(1), 대한체질인류학회지 ⦁ 2013, 「지속가능발달의 관점에서 보는 21세기의 대학박물관, 대학과 박물과 그리고 사회교육」, 『한국대학박물관협회 학술대회』 69, 한국대학박물관협회 ⦁ 2011, 「강원 및 경북지역의 석회암동굴 고고학조사 예보」, 『제사기학회지』, 15(1) 한국제4기학회 ⦁ 2009, 「유네스코 인류기원과 진화에 관한 유적의 세계문화유산 등재전략회의 결과」, 한국구석기학회 학술대회 발표집』, 한국구석기학회 ⦁ 2008, 「이란 카스피해 연안지역의 구석기문화와 고인류의 동아시아로의 확산경로에 대한 추론」, 『한국구석기학회 학술대회 발표집』, 한국구석기학회

공동 연구자
성명 안신원
소속 한양대학교
학위 • Ph.D. / 북경대학 고고학과
연구논저

저서

⦁ 2018,『신화의 역사화(한국 상고사 재정립을 위한 동북아와 유럽의 역사학 및 고고학의 학제적 연구 01)』, 진인진(공저) ⦁ 2015,『한국 상고문화와 중국 동북지방』, 고려대학교출판원(공저) ⦁ 2011,『2011매장문화재법의 두가지 현안과 조사원 자격기준의 문제점』, 혜안(공저) ⦁ 2004,『하남의 문화유산』, 하남역사박물관총서2(공저) ⦁ 2002,『인문학 교수의 길과 삶』, 한양대학교 출판부(공저) ⦁ 2000,『유물은 스스로 말하지 않는다』, 푸른역사(공저)

논문

⦁ 2018,「지역문화의 정체성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고고역사유적 활용방안 - 경기 하남 이성산성의 예를 중심으로」,『인문콘텐츠』48. 인문콘텐츠학회 ⦁ 2017,「중국의 문명과 국가기원론에 대한 고고학적 고찰-고고학과 역사학과의 관계를 중심으로-」,『선사와 고대』52. 한국고대학회 ⦁ 2014,「한반도 청동기시대의 토기문화와 중국 동북지방」,『백산학보』100. 백산학회 ⦁ 2013,「하대 도성의 고고학적 고찰 - 이리두유적과 상대 전기도성과의 비교를 중심으로」,『고고학』12-2, 중부고고학회 ⦁ 2013,「고대 동아시아 선관장에 대한 소고 - 중국의 예를 중심으로」,『고조선단군학』28, 고조선단군학회 ⦁ 2013,「商代中期都城考」,『선사와 고대』38, 한국고대학회 ⦁ 2010,「최근 한강 이남에서 발견된 고구려계 고분」,『고구려발해연구』36, 고구려발해학회 ⦁ 2008,「중국 매장문화재제도의 비판적 검토」,『중국문화연구』, 중국문화연구학회 ⦁ 2008,「초기 동경의 기원과 확산과정에 대한 연구」,『단군학연구』, 단군학회 ⦁ 2006,「商代前期都城考」,『선사와 고대』44, 한국고대학회 ⦁ 2006,「猿拂村淺茅野舊日本陸軍飛行場强制連行犧牲遺骨發掘調査」,『2006年度 北海道考古 學會 遺跡調査報告會資料集』, 北海道考古學會 ⦁ 2006,「상족의 기원과 선상문화」,『고고학:시간과 공간의 흔적』, 학연문화사 ⦁ 2005,「중국 사천지방 고고학의 연구현황과 과제」,『사천문화』제1집, 사천연구회 ⦁ 2005,「청동기를 통해 본 한·중관계」,『한국선사고고학보』11, 한국선사고고학회 ⦁ 2004,「중국 위구묘의 기원과 기능」,『한국상고사학보』44, 한국상고사학회

성명 김경택
소속 한국전통문화학교
학위 • Ph.D. / University of Oregon 인류학과
연구논저

저서

⦁ 『동북아 청동기시대 문화 연구』공저 ⦁ 『한국 복합사회 연구의 비판적 검토와 전망』 ⦁ 『Emergence of Sociopolitical Differentiation in Korean Prehistory』 ⦁ 『한성시대 백제와 마한』 공저 ⦁ 『고고학의 이론과 방법론』 역서 ⦁ 『족장사회의 정치권력』 역서 ⦁ 『구미고고학의 관점에서 본 한국고고학』 역서

논문

⦁ 「전남지방의 마한·백제시대의 주거지 연구」 ⦁ 「A Critical Review of on Korean Archaeological and Historical Literature on Socio-political Development in Ancient Korea」 ⦁ 「한국 지석묘사회 연구의 이론적 배경」 ⦁ 「한국 복합사회 연구의 비판적 검토와 전망」 ⦁ 「A critical review of discussions on the complex society in Ancient Korea」 ⦁ 「송국리 54지구 고상건물의 형식추론」 ⦁ 「부여 송국리유적 수혈의 기능」 ⦁ 「泗沘都城의 排水體系 變遷에 대한 試論的 檢討」 외 다수

성명 이관호
소속 국립민속박물관
학위 • Ph.D. / 연세대학교 한국학과
연구논저

저서

⦁ 『홍성 수룡동 당제』(민속원, 2010) ⦁ 『양주군의 역사와 문화유적』(공저, 1998), 양주군․토지박물관) ⦁ 『남양주시의 역사와 문화유적』(공저, 1999), 남양주시․토지박물관 ⦁ 『양평군의 역사와 문화유적』(공저, 1999), 양평군․토지박물관) ⦁ 『연천군의 역사와 문화유적』(공저, 2000), 연천군․토지박물관 ⦁ 『우리민속 바로알기』(공저, 2006), 국립민속박물관 ⦁ 『세시풍속겨울가고 봄이 오고』충청남도 사람들은 어떻게 살아왔나 2, (공저,2011), 국립민속박물관. ⦁ 『민간신앙산신과 성주 그리고 경쟁이』충청남도 사람들은 어떻게 살아왔나 4,(공저, 2011) 국립민속박물관. ⦁ 『합죽선』, (공저, 2012) JB 전북은행. ⦁ 『내포의 민속문화》내포문화총서7, (공저, 2016) 충청남도․충청남도 역사문화연구원. ⦁ 『홍성군지』3(전통과 현대생활), (공저, 2016) 홍성군. ⦁ 『홍동면지』, (공저, 2017), 홍동면지 편찬위원회.

논문

⦁ 「마을공동체 신앙의 구조체계 분석 연구」『민속학연구』4(국립민속박물관, 1997) ⦁ 「볏가릿대고내포지역 사례를 중심으로」『생활문물』4(국립민속박물관, 2002) ⦁ 「전통문화 보급과 박물관교육」『Museum International무형문화유산의 의미와 전망』제221/222호, 한국어판 특집호(유네스코 한국위원회, 2005) ⦁ 「해학과 익살이 깃든 우리 조상들의 벽사의식」『웃는 도깨비』(한국문화재보호재단, 2006) ⦁ 「마을신앙 대상물로서의「신체(神体)」의 유형과 특징」『생활문물연구』21(국립민속박물관, 2007) ⦁ 「마을신앙에 있어서 희생제물의 선정과 처리방법」『한국민속학 일본민속학』Ⅴ,(국립민속박물관, 2009) ⦁ 『내포지역 마을신앙의 전승과 변이』(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 「서산지역 볏가릿대(禾竿) 신앙 연구」『서산문화춘추』6(서산문화발전연구원·서산시, 2010) ⦁ 「보령지역 마을신앙의 존재양상과 특징」『보령의 믿음』(공저, 보령박물관. 2013) ⦁ 「서산지역 볏가릿대(禾竿) 신앙의 전승양상과 특징」, 『서산문화춘추』합본집 4,(서산문화발전연구원.․서산시, 2015

성명 서종원
소속 도봉학연구소
학위 • Ph.D. / 중앙대학교 민속학과
연구논저

저서

⦁ 『한국의 근대놀이문화』 ⦁ 『그들은 왜 신이 되었을까』 등

논문

⦁ 「국내 소재 해외문화유산 DB구축 사업의 성과와 과제」 등

성명 김현아
소속 세계시민포럼
학위 • Ph.D. / 한양대학교 박물관교육학과
연구논저

논문

⦁ 20세기 이래 고려청자 그리고 고려다완, 왜 만들게 됐나 (일본연구 77), 2018 ⦁ 국내소재 해외문화유산 DB구축 연구의 성과와 과제 (박물관학보 33), 2017 ⦁ 박물관에서의 전시설명 매체가 가족단위 관람객들의 소통에 미치는 영향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 논문지 7-10), 2017 ⦁ 박물관에서 사용하는 도자공예 용어의 번역양상과 전문용어로서의 적합성 (한국문화연구 32), 2017 ⦁ (KCI등재 단독) 가상현실(VR)을 통한 박물관 전시공간의 확장 가능성과 아웃리치 프로그램에서의 효용성, 2017 ⦁ 일상어를 활용한 도자공예 전문용어의 학습 효용성 연구 (한국문화연구원 28), 2015 ⦁ 식민지시기 수용된 일본어 도자공예 용어가 現도자공예 용어에 미친 영향 (일본연구 62), 2014 ⦁ 박물관 관람객 관점에서 본 소통력 높은 도자공예 용어 연구 (고문화 84), 2014 ⦁ 도자공예 용어의 관람객 이해도와 소통력 향상 방안 (한국사전학 24), 2014 ⦁ 高麗時代 瓷器盤口長頸甁의 소비성격과 조형변천 (미술사학 22), 2008

성명 이연수
소속 한양대학교
학위 • Ph.D. / 한양대학교 박물관교육학과
연구논저

저서

⦁ 『박물관을 이용하는 사람들』(공저, 2018), 아카데미프레스 ⦁ 『박물관교육과 질적연구』(공저, 2015), 아카데미프레스 ⦁ 『박물관교육의 이론과 실제』(공저, 2009), 문음사

논문

⦁ “박물관 이용자 관람 형태 질적 연구 신뢰도 향상 방안”(2018), 『박물관교육』2호 (2018), 국립중앙박물관 ⦁ “국내소재 해외문화유산 DB구축 연구의 성과와 과제”(공저, 2017), 『박물관학보』33호, 한국박물관협회 ⦁ “어린이와 문화유산교육-문화다양성 교육 형태 및 접근에 관한 연구”(2014), 박물관교육연구 12호, 한국박물관교육학회 ⦁ “대학박물관 관람객을 통한 지역사회 역할 증대”(2014) 『고문화』 83호, 한국대학박물관협회 ⦁ “문화다양성을 통한 국립민속박물관의 사회적 역할”(2013), 『어린이와 박물관』 4호, 국립민속박물관 ⦁ “외국인 박물관 교육을 위한 전체적 접근”(2010), 『박물관학보』 18·19호, 한국박물관협회

전임 연구원
성명 신동욱
소속 한양대학교
학위 • Ph.D. / 한양대학교 문화인류학과
연구논저

논문

⦁ 2019, 「무형문화유산 가치 변화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17, 「국내소재 해외문화유산 DB구축 연구의 성과와 과제」, 『박물관학보』 33, 한국박물관학회 ⦁ 2014, 「고고유산 보존을 위한 체험교육의 활용방안」, 『박물관교육연구』, 한국박물관교육학회

성명 계영진
소속 동아시아고고학연구소
학위 • 한양대학교 문화인류학과 수료
연구논저

논문

⦁ (공저), 2015, 「국내 유적박물관의 체험교육프로그램 실태와 유적의 보존」『제7회 문화유산교육과 유적보존을 위한 국제워크샵』, 연천구석기축제추진위원회

성명 이병준
소속 한양대학교
학위 • M.A. / 한양대학교 문화안류학과
연구논저

논문

⦁ 「한국 스포츠 박물관의 전시 및 특성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성명 장원준
소속 인하대학교
학위 • M.Math. / St. Stephen's college
연구논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