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 연구자
성명 박태원
소속 울산대학교 철학과
연구논저

저서

⦁ 『원효의 화쟁철학』(세창출판사, 2017) ⦁ 『돈점 진리담론 – 지눌과 성철을 중심으로 -』(세찰풀판사, 2016) 등

논문

⦁ 「원효 화쟁철학의 형성과 발전 – 문門 구분의 사유를 중심으로」(2017) ⦁ 「본각이란 무엇인가? - 궁극적 관심사를 둘러싼 두 가지 사유방식과 관련하여」(2018) ⦁ 「깨달음은 ‘순수실재와의 만남’인가, ‘현상과 만나는 새로운 지평의 열림’인가?」(2019) ⦁ 「원효의 일심一心 - 본체론적 해석에 대한 비판과 대안」(2019) ⦁ 「원효와 차이 통섭通攝의 철학 - 『금강삼매경론』을 중심으로」(2021) 등

공동 연구자
성명 조은수
소속 서울대학교 철학과
연구논저

저서

⦁ (단독) Eun-su Cho, Language and Meaning: Buddhist Interpretations of “The Buddha’s Word” in Indian and East Asian Perspectives (Berkeley: IBS and BDKAmerica,2020 ⦁ (공저) Eun-su Cho, Buddhist Feminism(s) and Femininities (SUNY Press, 2019). ⦁ (대표저자/공저) 조은수 외, 『불교과문집』, (씨아이알, 2018). ⦁ (공저) 조은수, 『묘엄명사의 계율관과 비구니 승가의 율학전통』 (서울: 보리수잎, 2017).

논문

⦁ (A&HCI) Eun-su Cho, “Chŏng Suok’s Tour of Imperial Japan and its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the Nuns’ Order in Korea,” Religions Volume 10, Issue 6, 385 (2019)· ⦁ (KCI) 조은수, 「대승불교적 무아설의 입장에서 본 행복 - 유마경을 중심으로」, 『철학논집』 53 (2018.05): 41-67. ⦁ (KCI) 조은수, 「고엥카 리더십- 국제적 불교 리더십의 모델을 찾는다」, 『불교학보』 82 (2018.03): 169-189. ⦁ (A&HCI) Eun-su Cho, “Wŏnhyo’s Theory of “One Mind”: A Korean Way of Interpreting Mind,”Diogenes (2017 07)· ⦁ (A&HCI) Eun-su Cho, “Towardsa Buddhist Ethics of Emptiness: Wŏnhyo on Transgression and Repentance in The Mahayana Repentance of the Six Senses,” Journal of Korean Religions, Volume 8 Number 1 (2017 April) 31-46. ⦁ Eun-su Cho, “Pak Chong-hong’s Philosophical Analysis of Korean Buddhism and his Steps towards Establishing an Eastern Philosophy,” International Journal of Buddhist Thought and Culture 26-1(2016 06): 75-98.

성명 석길암
소속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불교학부
연구논저

저서

⦁ **교육과 한국불교**(공저, 학지사, 2017), **동아시아불교에서 대승기신론관**(공저, 여래, 2016) ⦁ **동아시아종파불교: 역사적 현상과 개념적 이해**(공저, 민족사, 2016)

논문

⦁ 「 **대승기신론**을 읽어온 문헌학과 교학의 시선들 - 『대승기신론』의 성립을 둘러싼 논의의 진전 혹은 성립논쟁의 탈피를 위한 -」(**한국불교학**93, 2020) ⦁ 「백련결사의 화엄사상 포섭의 사상적 연원에 대한 검토」(**남도문화**40, 2020) ⦁ 「근대 화엄사의 화엄학 전승과 도광·도천 대종사의 화엄행」(**남도문화**39, 2020) ⦁ 「중국불교 대승화에 대한 이해의 한 측면」(**동아시아불교문화**35, 2018) ⦁ 「동아시아 불교사상사 연구의 한 반성」(**한국불교학**87, 2018) ⦁ 「동아시아 해항(海港)문화 전파경로와 불교의 한국전래」(**동아사아불교문화**33, 2018) ⦁ 「화엄종에서 바라보는 깨달음의 유형과 방식」(**불교학연구**54, 2018) 외

성명 권서용
소속 부산대 철학과
연구논저

저서

⦁ 『깨달음과 자유』(메타노이아, 2019) ⦁ 『다르마키르티와 불교인식론』(그린비, 2010)

논문

⦁ 「연기에 관하여」, 『철학논총』, 2003. ⦁ 「다르마끼르띠와 화이트헤드 사상의 접점」, 『인도철학』, 2007. ⦁ 「다르마끼르띠의 존재와 인식의 본질에 관한 고찰」, 『보조사상』, 2007. ⦁ 「인식의 과정-다르마끼르띠의 지각론을 중심으로」, 『동아시아불교문화』, 2009. ⦁ 「다르마키르티와 화이트헤드 사상의 접점(1)」, 『화이트헤드연구』, 2010. ⦁ 「불교의 인식론과 서양의 인식론에 관한 비교연구」, 『동아시아불교문화』, 2012. ⦁ 「대상인식과 자기인식으로서의 지각과 추리에 관한 다르마키르티의 논증」, 『인도철학』, 2012. ⦁ 「의상과 화이트헤드」, 『불교학보』, 2012. ⦁ 「다르마키르티와 화이트헤드 사상의 접점(3)」, 『동아시아불교문화』, 2015. ⦁ 「다르마키르티의 의지각과 화이트헤드의 현시적 직접성의 양태로서의 지각에 관한 연구」, 『동아시아불교문화』, 2015. ⦁ 「다르마키르티의 인과이론—외계실재론과 유식론을 중심으로」, 『인도철학』, 2017. ⦁ 「유식(唯識)과 기억[念]에 관하여—『유식이십론』과 『양평석』을 중심으로」, 『동아시아불교문화』, 2017. ⦁ 「화이트헤드의 파악(prehension)과 다르마키르티의 인식(pramāṇa)에 관한 비교연구」, 『인도연구』, 2017. ⦁ 「다르마키르티의 기억에 관한 소고」, 『인도철학』, 52, 2018. ⦁ 「앎[識]의 구조에 대한 논쟁—법칭과 원효를 중심으로」, 『한국불교학』, 89집, 2018. ⦁ 「원효와 화이트헤드사상의 접점에 관한 비교연구」, 『코기토』, 2018. ⦁ 「원효의 불확정[不定] 원리와 법칭의 선험적 원리에 관한 연구」, 『동아시아불교문화』, 2018. ⦁ 「다르마키르티와 화이트헤드의 종교철학에 관한 고찰」, 『동아시아불교문화』, 2019.

성명 김성철
소속 금강대학교
연구논저

저서

⦁ 『열반종요』, 공역, 세창출판사, 2019 ⦁ 『깨달음 논쟁 : 깨달음이란 무엇인가?』, 공저, 운주사, 2018 ⦁ 『잊혀진 한국의 불교사상가』, 공저, 동국대학교출판부, 2017 ⦁ 『원효, 불교사상의 벼리 : 원효사상의 새로운 성찰, 인도 및 중국 불교와의 만남』, 운주사, 2017 ⦁ 『돈황사본 『대승기신론소』 연구』, 공저, 씨아이알, 2017 ⦁ 『라싸 종교회의 : 8세기 말 티벳불교의 돈점논쟁』, 공역, 씨아이알, 2017

논문

⦁ 「초기 유가행파 문헌에 인용된‘5지정 정형구’와 신념처」, 『불교학연구』 59, 불교학연구회, 2019. ⦁ 「정려의 구성요소를 둘러싼 여러 학파의 해석 (1)-행복의 실체 논쟁을 중심으로-」, 『인도철학』55, 인도철학회, 2019. ⦁ 「원효 『기신론』 주석서에 나타난 『능가경』 인용 양상 」, 『불교학리뷰』 25, 불교문화연구소, 2019. ⦁ 「 유가행파의 해탈적 인식-**대승장엄경론**을 중심으로 」 , 『 불교학연구 』 55, 불교학연구회, 2018. ⦁ 「『유가사지론』 「성문지」의 ‘종성지’에 대해」, 『인도철학』 49, 인도철학회, 2017.

성명 박보람
소속 충북대학교 철학과
연구논저

저서

⦁ 『華嚴敎의 一切智 硏究』(2016) ⦁ 『지론종 연구』(2017, 공저) ⦁ 『문화로 읽는 신라·고려 시대 인물』(2019, 공저) 외

논문

⦁ 「법장 육상원융설의 새로운 이해」, 불교학연구 61호(2019) 외

성명 이영진
소속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동서사상연구소
연구논저

저서

⦁ Critical Edition of the First Abhisamaya of the Commentary on the Prajñāpāramitā Sūtra in 25,000 Lines by Ārya-Vimuktiṣeṇa, based on Two Sanskrit Manuscripts preserved in Nepal and Tibet, Napoli: Università degli Studi di Napoli L'Orientale, 2017

논문

⦁ 「연기(Pratītyasamutpāda)=공성(Śūnyatā)=중도(Madhyamā pratipat): 공'사상의 정당성 확보를 위한 나가르주나와 초기대승불교도의 노력」, **불교학연구**60호, 2019.

성명 최원호
소속 한국외국어 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연구논저

저서

⦁ East and West as Centers in the Centerless World, Okura, 2019. 출간. 공동 저자

논문

⦁ 2019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umanistic Studies at HUFS "East and West as Centers in the Centerless World" ⦁ A review of Maurice blanchot's 'Iléité' as sen through 'Tathatā released from language 離言眞如' shown in Wonhyo's "THE COMMENTARY ON THE AWAKENING OF MAHAYANA FAITH" ⦁ "원효의 대승기신론의 이언진여 離言眞如를 통해 본 모리스 블랑쇼의 일레이떼에 관한 고찰" 발표

전임 연구원
성명 강찬국
소속
연구논저

저서

⦁ **태허조사 일대사인연을 말하다**(공저, 도서출판 범성, 2010)

논문

⦁ 「삼론 초장의 이제상즉의」(**선학**, 한국선학회, 2014)

성명 김순미
소속 한국국학진흥원
연구논저

저서

⦁ 국역 『비지선생문집』, 한국국학진흥원, 2019. ⦁ 국역 **봉선잡의**, 민속원, 2016. ⦁ 국역 **가례증해** 간행, 민속원(공동), 2011. ⦁ 국역 **天地冥陽水陸齋儀梵音刪補集**, 양사재, 2011.

논문

⦁ 『釋氏要覽』에 관한 연구, 『퇴계학논총』36, 2020. ⦁ 「<가잠> 편에 투영된 송암의 가족윤리 의식」, 『동양한문학연구』54, 2019. ⦁ 「柳健休의 **異學集辨**에 나타난 천주학 비판에 관한 연구」, **한국교회사연구**45, 2015. ⦁ 「晦齋 李彦迪의 **奉先雜儀** 연구」, **민족문화**43집,2014. ⦁ 「柳健休의 **異學集辨**에 나타난 불교 비판 의식」 , **동아시아불교학회**10집, 2012. ⦁ 「**석문가례초**의 오복도 연구」, **영남학**18호, 2010. ⦁ 「불가의 상례와 승상복도」, 『동양한문학연구』, 2005. ⦁ 「불교의식에서 불찬류 시가의 기능」, 『동양한문학연구』, 2004.

성명 김준호
소속 울산대 원효학토대연구소
연구논저

저서

⦁ **깨달음 논쟁**(공저), 운주사, 2018.11

논문

⦁ 초기 아비달마 문헌에 나타난 사마타/위빠사나의 위상(**철학논총**85.3, 2016.07); ⦁ 원효의 **대승기신론소/별기**의 구문대조와 <신회본(新會本)> 편찬의 필요성(**한국불교학**80, 2016.12); ⦁ 초기불교의 해오(解悟)(**불교학연구**54, 2018.03).

성명 배경아
소속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연구논저

저서

⦁ 『중론-용수의 사상.저술.생애의 모든 것』2018. 불광출판사

논문

⦁ 「쁘라즈냐까라굽따(Prajñākaragupta)의 언어의미론」2017.『인도철학』50.

성명 장순용
소속 울산대학교
연구논저

저서

⦁ <도솔천에서 만납시다> ⦁ <허공법문> ⦁ <십우도>(이상 편저) ⦁ <수능엄경통의> ⦁ <한위양진남북조불교사> ⦁ <설무구칭경> ⦁ <신화엄경론> ⦁ <화엄론절요> ⦁ <티베트 사자의 서> ⦁ <장경일람집>(이상 역서)

성명 조상현
소속 현)울산대학교 국어국문학부 객원교수 전)울산대학교 원효학토대연구소 연구교수
연구논저

저서

⦁ 공저, **내가 좋아하는 한시**, 태학사, 2013 ⦁ 공역, **역주(譯註) 경상좌병영 관련 문헌 집성**, 울산광역시 중구, 2014. ⦁ 공역, **열반종요**, 원효학토대연구소, 2019. ⦁ 공역, **대승기신론소·별기** 상/하권, 원효학토대연구소, 2020. ⦁ 공역, **금강삼매경론** 상/하권, 원효학토대연구소, 2021.

논문

⦁ 「선불교(禪佛敎)의 "실상(實相)"의 의미와 시적(詩的) 구현」, 한국한시연구, 2009. ⦁ 「禪佛敎의 상징어에 대한 비판적 재해석」, 어문연구 37권, 2009. ⦁ 「禪師의 위풍과 그 시적 구현」, 한국선학 26권, 2010. ⦁ 「禪詩를 통한 깨달음의 계합」, 한국한시연구, 2010. ⦁ 「禪師의 ‘여유로움’과 한국 禪詩에서의 구현」, 한국한문학연구, 2011. ⦁ 「**鏡巖集**에 나타난 儒佛交流觀의 특징」, 동아시아불교문화, 2015. ⦁ 「한국 禪詩에서 ‘晩唐九僧’과 ‘蔬筍氣’를 통한 품평」, 동아시아불교문화,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