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 연구자
성명 이선우
소속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행정학과
연구논저

저서

⦁ 2021 『갈등연구방법론』, 에페스테메(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 2017 『협상조정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 2016 『행정사례연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 2015 『소통과 갈등관리-사례찾기』, 교보문고 ⦁ 2015 『국제정책 및 통상갈등』,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논문

⦁ 2020. 성공적 갈등관리를 위한 인공지능 활용 전략 연구. 한국비교정부학보, 24(2): 193-222. ⦁ 2020. 공무원연금법 개정에 따른 공무원정년 후 소득공백 문제 대응방안 연구. 한국공공관리학보, 34(1): 117-139. ⦁ 2019. 기후변화 및 에너지 안보 인식의 긍정적/부정적 판단에 따른 원자력 에너지 수용성 영향 분석.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9(2): 29-64. ⦁ 2019. 한국의 갈등관련 연구경향분석: 사회과학분야의 주요 학술지 수록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보. 33(2): 237-263. ⦁ 2019. 재난갈등의 발생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Crisisonomy. 15(5): 85-101. ⦁ 2019. 공공부문 Workforce Engament(WE) 측정도구 개발. 한국인사행정학회보. 18(1): 51-97. ⦁ 2018. 비선호시설 입지갈등 해소를 위한 인센티브 제도의 정책효과 분석: 원전 지역 지원정책을 중심으로. 행정논총, 56(3): 131-167. ⦁ 2018. 조직문화가 일ㆍ가정양립 갈등에 미치는 영향: 경쟁가치모형을 적용하여. 한국조직학회보, 15(2): 29-56. ⦁ 2018. 공공갈등관리를 위한 주민참여제도 개선방안 연구. 저스티스, 166: 257-300. ⦁ 2018. 갈등해소를 위한 대화협의체 형성 동인에 관한 연구: 합의형성적 대화협의체를 통한 갈등해소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보, 32(2): 237-265. ⦁ 2018. 주민투표의 숙의적 참여가 갈등관리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국가정책연구, 32(2): 23-45. ⦁ 2018. 공무원 공직가치 요인에 대한 실증 연구: 지방공무원과 중앙공무원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보, 17(2): 143-164. ⦁ 2018. 원자력수용성에 대한 메시지 프레이밍 효과 분석: 긍정/부정 프레임의 영향을 중심으로.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8(2): 185-220. ⦁ 2017.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간 재정갈등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누리과정을 둘러싼 예산편성 갈등을 중심으로.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7(4), 91-121. ⦁ 2017. 공공부문 Workforce Engagement에 관한 연구: 공공 및 민간부문 간 사례비교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보, 16, 115-142. ⦁ 2017. 지방자치단체 갈등관리시스템 분석-조례 및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학보 (KLAR), 14(2), 139-164. ⦁ 2017. 다중흐름모형 (Multiple streams model) 을 적용한 구룡마을 개발정책 형성과정 분석. 국가정책연구, 31(1), 127-155. ⦁ 2016. 인사행정 60년 연구분석: 정권 및 중앙인사관장기구의 변화에 따른 연구경향 분석. 한국인사행정학회보, 15, 1-29. ⦁ 2016. 지각된 직장-가정 갈등이 조직 구성원 간의 갈등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조절효과 검증. 국가정책연구, 30(3), 91-120. ⦁ 2016. 바람직한 갈등문화 형성을 위한 주민자율조정모델 발전방안 연구: 국내외 주민자율조정센터 비교를 중심으로.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6, 239-259. ⦁ 2016. 갈등내재화 위한 포용적 행정제도 구축전략. 한국비교정부학보, 20(2), 157-180. ⦁ 2016. 지방정부 효율적 갈등관리를 위한 제반요인: 지방 중· 고위직 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보, 15(2), 1-31. ⦁ 2016. 주민투표의 숙의적 참여수준과 원자력 갈등관리 효력에 관한 분석. 한국비교정부학보, 20(2), 75-100. ⦁ 2016. 공공갈등 진단 체크리스트 개선을 위한 연구: 서울시 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지방행정연구, 30(2), 63-85. ⦁ 2016. 공무원의 공직가치에 대한 실증 연구.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6(4), 265-286. ⦁ 2015. 공공갈등의 합의 형성을 위한 진단에 관한 연구. 공존협력연구, 1(1), 1-37. ⦁ 2015. 갈등영향분석의 개선방안에 대한 탐색.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6(2), 1-22. ⦁ 2015. 지방자치단체의 공직개혁: 지방자치단체 공직개혁의 주요 쟁점과 방향: 공무원 역량강화의 장애요인을 중심으로. 지방행정연구, 29(2), 3-29. ⦁ 2015. 갈등 체크리스트 작성을 위한 탐색적 연구.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7(2), 319-343. ⦁ 2015. 화력발전소 입지 갈등해소에 관한 연구-화력발전소 건설동의 확보절차개선을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보, 29(1), 21-45.

공동 연구자
성명 심준섭
소속 중앙대학교 공공인재학부
연구논저

저서

⦁ 2018. (book chapter) The Evaluation System for Key National Policies, In Government Performance Evaluation and Management in Korea, pp. 101-134. KIPA 한국행정연구원 ⦁ 2015. Next Standards. KSA 한국표준협회 ⦁ 2014. 소통과 갈등관리. 국민대통합위원회 ⦁ 2013. 한국사회 공공갈등 이렇게 풀자, 호두나무

논문

⦁ 2020. 사회적 기업가 정신(social entrepreneurship): 이중목표 패러독스와 균형. 한국정책학회보. 29(4). 199-228. ⦁ 2020. 설문조건에 따른 지불의사 차이분석: 신재생 에너지를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보. 34(3). 187-202. ⦁ 2020. 신고리 5・6호기 공론화 과정의 사회적 이슈 분석: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언론보도 분석. 국가정책연구. 34(4). 75-106. ⦁ 2020. 노인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사회활동. 정책분석평가학회보. 30(2). 1-17. ⦁ 2020. Government communication and public acceptance of policies in South Korea. International Review of Public Administration. ⦁ 2019. 정책분석평가의 다각화: 양적 방법과 질적 방법의 결합.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9(2). 143-166. ⦁ 2019. 기후변화 및 에너지 안보 인식의 긍정적/부정적 판단에 따른 원자력 에너지 수용성 영향분석. 정책분석평학회보. 29(2). 29-64. ⦁ 2018. 사회적기업 인증제도 하에서의 사회적 기업가정신(social entrepreneurship)에 대한 인식프레임 분석. 사회적기업연구. 11(2). 37-72. ⦁ 2018. 민·군 갈등관리와 협력적 로컬 거버넌스의 유효성에 관한 연구: 공군의 민관군 협의체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국방정책연구. 120: 111-138 ⦁ 2018. 갈등해소를 위한 대화협의체 형성 동인에 관한 연구: 합의형성적 대화협의체를 통한 갈등해소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보. 32(2): ⦁ 2018. 공론화 과정 참여자들의 숙의 경험: 프레임 분석의 적용. 한국정책학회보. 27(2): 193-219. ⦁ 2018. 기초지자체 조직진단 프레임워크 개발에 대한 시론적 논의. 한국행정논집. 30(1): 659-692. ⦁ 2017. Challenges in large-scale government-led sustainable development: the case of the Four Major Rivers Restoration Project, International Development Planning Review, 39(4). 399-421. (SSCI) ⦁ 2017. 공직내 경력만족 결정요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성별 비교를 중심으로. 행정논총. 55(3). 205-234. ⦁ 2017. 지역 금융 협동조합의 조합원 참여가 책임성을 매개로 신뢰에 미치는 효과 분석: 신용협동조합을 중심으로. 31(2): 325-348. ⦁ 2016. 갈등내재화 위한 포용적 행정제도 구축전략. 한국비교정부학보. 20(2): 157-180. ⦁ 2016. 비선호 시설 입지지역의 지역특성 분석. 한국지방행정학보. 13(3): 51-71. ⦁ 2016. 성역할 태도가 일-가정 양립갈등에 미치는 효과. 국가정책연구. 30(4): 323-347. ⦁ 2016. Public Participation and Trust in Government: The Case of the Korean Financial Regulatory Agency. Public Performance & Management Review. 40(1): 1-22. (SSCI) ⦁ 2016. 지역 사회적 기업의 경제적 성과와 사회적 성과 결정요인. 한국지방행정학보. 13(1): 47-69 ⦁ 2016.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fiscal impacts of changes in tax revenue multiplicity: Focusing on Florida county case. International Review of Public Administration. 24(1): 1-16. (SCOPUS) ⦁ 2015. PLS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갈등프레임 분석.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5(4): 1-27. ⦁ 2015. 개인간 갈등관리의 2차원 모형 및 갈등관리 유형에 대한 검증. 국가정책연구. 29(4): 1-28. ⦁ 2015. 홍콩의 ‘우산운동’ 갈등에 대한 중국과 홍콩 언론의 뉴스프레임 분석. 분쟁해결연구. 13(3): 187-224. ⦁ 2015. 원자력 신뢰의 다차원성 측정.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6(3): 201-226. ⦁ 2015. Identifying policy frames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an examination of nuclear energy policy across six countries, Policy Sciences. 48(1):51-83. (SSCI) ⦁ 2015. 행정학 연구에서 구조방정식모형 활용: 문제점 검토와 제언. 한국행정학보. 49(3): 453-485. ⦁ 2015. 지방선택세와 지방재정: 플로리다 카운티 지방선택세 사례를 중심으로. 국가정책연구. 29(3): 109-131. ⦁ 2015. 행정학 및 정책학 연구에서 확증적 요인분석의 경향과 쟁점: 탐색적 요인분석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5(2): 247-278. ⦁ 2015. 갈등 체크리스트 작성을 위한 탐색적 연구: 공공갈등의 예방과 진단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7(2): 319-343. ⦁ 2015. 공공갈등에 대한 대안적 분쟁해결(ADR) 프로세스의 장기화 요인 분석. 분쟁해결연구. 13(1): 33-62.

성명 김광구
소속 경희대학교 행정학과
연구논저

저서

⦁ 2014. 소통과 갈등관리 방법찾기. 국민대통합위원회•한국사회갈등해소센터. 교보문고. ⦁ 2013. 한국사회 공공갈등 이렇게 풀자 (경실련 갈등해소센터 현장리포트). 호두나무. ⦁ 2013. 공공갈등, 이렇게 타개하라. 지식의 날개.

논문

⦁ 2020. 설문조건에 따른 지불의사 차이분석 : 신재생에너지를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보 34(3) : 187-202 ⦁ 2020. 성공적 갈등관리를 위한 인공지능 활용 전략 연구. 한국비교정부학보 24(2): 193-222. ⦁ 2018. 도시재생공론화 과정 연구 : 서울로 7017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0(3): 87-116. ⦁ 2018. 공론화 과정 참여자들의 숙의 경험 : 프레임 분석의 적용. 한국정책학회보 27(2) : 193-219. ⦁ 2018. 갈등해소를 위한 대화협의체 형성 동인에 관한 연구: 합의형성적 대화협의체를 통한 갈등해소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보 32(2): 237-265. ⦁ 2018. 도시재생 시민참여과정 비교분석 : 서울시 서울로70174과 문화비축기지사업 사례. 한국비교정부학보 22(2): 165-189. ⦁ 2018. 공공갈등관리를 위한 주민참여제도 개선방안 연구. 저스티스 제166호: 1-44. ⦁ 2018. 문화예술교육 서비스전달체계에 관한 연구 : 학교예술강사 지원사업 갈등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보 32(1): 25-49. ⦁ 2018. 참여가 송전선로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위험 및 손익 인식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정책분석평가학보 28(1): 81-103. ⦁ 2017. 기초자치단체 갈등해소 전략: 금천구 주민참여연구단을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보 31(4): 43-68. ⦁ 2017. 지방자치단체의 갈등대응방식에 관한 연구 - 화력발전소 유치갈등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학회보 14(2) : 45-71.

성명 문혜정
소속 세종대학교
연구논저

저서

⦁ 2017. “빅데이터와 복권” 커뮤니케이션북스 ⦁ 2015. “세계의 복권” ILP ⦁ 2015. “한국 복권의 역사“ ILP ⦁ 2010. “Criteria to Winner: Security and Risk Management for Printed Lottery” ILP)

논문

⦁ 2019 “문화정책과 동양철학의 관점에서 본 복권게임”, 동방문화와 사상, 7, 293-327. ⦁ 2018 “조선왕조실록의 빅데이터분석을 통한 유교정치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7), 253-261. ⦁ 2018 “국내 공공데이터 관련 뉴스 의미망 분석을 통한 공공정책 연구”. 방송공학회논문지, 23(4), 536-548. ⦁ 2017 “한국 사행산업 관련 뉴스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인식 연구”. 방송공학회논문지, 22(4), 438-447. ⦁ 2017. “Ecosystem Design of Big Data through Previous Study Analysis in the World: Policy Design for Big Data as Public Goods”, IEEE BigData Congress. Hawaii, USA. ⦁ 2017. “Comparison of Gambling Industry through Study Analysis in the World”, IEEE BigData Congress. Hawaii, USA. ⦁ 2017. “Big data Analysis on Gambling related News in Korea”, IEEE BigData Congress. Hawaii, USA. ⦁ 2017. “Semantic Analysis of Transportation related Researches”, IEEE BigData Congress. Hawaii, USA. ⦁ 2017. “인터넷 복권의 거버넌스 형태와 위험대응정책”, Crisisonomy 13( 2), 17∼32. ⦁ 2016 “세계와 한국의 복권정책에 관한 연구”, 국가정책연구 30(4), 301∼321. ⦁ 2015. "인터넷저작물의 주권 행사에 관한 연구", 「한국위기관리논집」 11(3) :85∼103. ⦁ 2015. “The Change of Lottery Policy in Korea: Focusing on Policy Agenda Setting”, 201504 The Third Asia Pacific Conference on Gambling & Commercial Gaming Research and Summit on Lottery Development. BeiJing, China.

전임 연구원
성명 조은영
소속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논저

저서

⦁ 2021. 갈등연구방법론. 에피스테메(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 2019. 문화예술교육 현장과 정책. 컬쳐룩.

논문

⦁ 2020. 신고리 5․6호기 공론화 과정의 사회적 이슈 분석: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언론보도 분석. 국가정책연구, 34(4): 75-106. ⦁ 2020. 사무행정학과 학제 실용화 방안을 위한 정책제언: 미래사회에 대응하는 새로운 교과과정 모색. 한국정책연구. 20(3): 103-129. ⦁ 2020. 공공갈등 연구에서의 프레임 연구와 Q방법론의 결합. Crisisonomy. 16(7): 85-100. ⦁ 2018. 도시재생 공론화 과정 연구: 서울로7017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0(3): 87-116. ⦁ 2018. 정부사업의 중간조직 분석을 통한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 과정 연구: 서대문구 영천시장 사례를 중심으로. 공존협력연구. 4(2): 109-135. ⦁ 2018. 도시재생 시민참여과정 비교분석 연구: 서울시 ‘서울로7017’과 ‘문화비축기지’사업 사례, 한국비교정부학회 22(2): 165-189. ⦁ 2018. 문화예술교육 서비스전달체계에 관한 연구: 학교예술강사 지원사업 갈등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보 32(3): 25~49. ⦁ 2018. 입지갈등사례의 이슈생애주기 탐색연구. 한국행정학보 52(1): 45~72. ⦁ 2018. 민간위탁의 주관단체와 시민간의 의사소통 분석을 위한 집행연구-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시범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문화정책논총 32(1): 83-108. ⦁ 2017. 기초자치단체 갈등해소 전략: 금천구 주민참여연구단을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보. 31(4): 43-68. ⦁ 2017. 지방자치단체의 갈등대응방식에 관한 연구: 화력발전소 유치갈등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학보. 14(2): 455-71. ⦁ 2016. 도시의 기억을 어떻게 보존할까? -서울미래유산 사업의 사례연구-”. <문화예술경영학연구 9(2): 31-51. ⦁ 2016. 전통시장 현대화 과정의 정책 네트워크 분석: 자갈치시장과 노량진수산시장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학보. 13(3): 233-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