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복식사전 DB 구축연구 상세보기

참최복 斬衰服 Chamchoe-bok, Mourning clothes

성별
시대
연령
성인
신분
태그
상(裳),상복(喪服),개두(蓋頭),겁(袷),상관(喪冠),재최복(齋衰服),대공복(大功服),소공복(小功服),중의(中衣),교대(絞帶),오복(五服),시마복(緦麻服),수질(首巢),부판(負版),벽령(辟領),상장(喪杖),효건(孝巾),의(衣),리(履),전계(箭笄),행전(行纏),관(冠),요질(腰巢),최(衰),참최복(斬衰服)
오복(五服) 중 제일 중한 복(服)
Clothes worn when mourning for one's father or grandfather
아버지ㆍ남편ㆍ적장자(嫡長子)ㆍ시아버지의 상(喪)인 외간상(外艱喪)에 3년 동안 입는데, 그 친족을 참최친(斬衰親)이라 한다. 참(斬)이란 마르지 않는다는 뜻으로 참최복은 생포의 가장자리를 바느질하여 마무르지 않은 채 만든 상복을 말한다. 남자의 상복은 관(冠)ㆍ효건(孝巾)ㆍ의(衣)ㆍ상(裳)ㆍ중의(中衣)ㆍ행전(行纏)이고, 여자의 상복은 개두(蓋頭)ㆍ관(冠)ㆍ전계(箭笄, 비녀)ㆍ의상(衣裳)으로 되어 있다. 그 밖에 남녀공용으로는 수질(首巢)ㆍ요질(腰巢)ㆍ교대(絞帶)ㆍ장(杖, 지팡이)ㆍ리(履) 등이 있다. 의상(衣裳)은 아주 굵은 생포(生布, 가공하지 않은 베)를 사용하며, 옆과 아랫단은 꿰매지 않고 윗부분만 꿰맨다. 의(衣)의 길이는 상(裳)을 가릴 만하고 등에는 부판(負版), 가슴에는 최(衰)라는 포편(布片, 베 조각)을 달며, 양어깨에는 깃에 부착하는 포편인 벽령(辟領)이 있고, 앞 겨드랑이에는 겁(袷)이 있다. 상은 앞 3폭ㆍ뒤 4폭으로 안으로 향하여 꿰매고, 앞과 뒤는 서로 붙이지 않는다. 관(冠)은 의상(衣裳)에 비하여 조금 가는 베에 종이를 배접하여 싸서 앞뒤에 3개씩 주름을 잡고 모두 오른쪽을 향하여 가로로 꿰맨다. 너비 3촌에 길이는 정수리 앞뒤를 걸칠 정도이다. 머리에 얹는 수질(首絰)은 씨 있는 삼(麻)으로 만드는데 둘레가 9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