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베이스 소개
  한국복식은 1960년대부터 독립된 전공분야로 연구되기 시작하여 지난 50여 년 동안 전국대학의 의류직물학과, 의상학과, 의류학과, 의생활학과, 가정학과 등에서 많은 박사와 석사, 학사의 인력을 배출하여 많은 학문적 업적을 이루어왔으며, 모든 의상관련 학과에서 한국복식사 및 한복구성 강좌가 열리고 있고 최근에는 많은 대학에서 관련 교양문화 강좌도 개설되고 있다.
2005년 선정 사전편찬지원사업의 결과인 『한국복식사전』(KRF-2005-031-G00004)은 2000여 년간에 사용된 한국복식 용어들을 대상으로 쓰개, 머리양식, 염색, 남자 관복, 여자 예복, 남자 겉옷, 군복, 일상복, 어린이옷, 상장례복, 정재복식, 내의, 신발, 직물, 문양, 봉제, 자수, 장신구, 매듭, 색채의 20개 부문에서, 각 부문별 관련 용어를 선정하여 총 1500여개의 용어에 대한 내용을 축적하였다. 발췌된 용어들은 조선왕조실록, 문집, 어휘집 등을 통해 내용을 규명하고자 했는데, 그 내용은 용어의 정의, 종류 및 형태, 역사, 관련용어를 구체적으로 정리하였고, 최근 새롭게 규명된 여러 학설을 내용에 추가시키는 등 다른 복식 사전과는 차별되는 접근 방법을 시도하였다. 용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문헌에 기록된 도식자료와 유물 자료 등을 참고하고자 하였고, 복식 자료의 특성상 필요한 경우에는 복식유물사진이나 이를 도식화한 일러스트 등의 자료뿐만 아니라 회화․조각 등 근거가 확실한 도판자료를 첨부하였다.
이 밖에 각 용어에 대한 영문표기(한국식 발음 표기, 풀이식 표기)와 간단한 영문 정의를 추가․정리함으로써 외국인들의 복식 용어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특히 외국인을 위한 발음 표현은 국립국어원의 표기법을 기준으로 하여 영문 용어 표준화 작업을 실시하였다.
각 용어 내용은 통시적으로 시대의 흐름에 따라 분석하였고, 용어들은 분야별로 크게 분류한 후 각 분야 내에서 ‘가나다’ 순으로 정리하였다. 또한 복식명칭을 모르는 일반인들을 위해 관련 부을 근거로 찾아볼 수 있도록 쓰개, 머리양식, 예복, 관복, 일상복, 군복, 내의, 어린이옷, 상장례복, 신발, 직물, 문양, 염색, 색채, 장신구, 봉제, 규방공예의 세부 분야에 따른 색인어 분류도 수록하였다.
한국연구재단(구 학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도서류, 일반문서류, 사진/필름류, 영상/음성류, 박물류, 그림도면류 등을 대상으로 총 10,197건의 자료를 통합하여 축적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를 효율적으로 저장, 유지, 활용하기 위해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2011년 12월 ~ 2012년 6월까지 6개월에 걸쳐 한국복식사전 DB 구축 연구 위한 DB와 검색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직관적 내비게이션 및 웹 검색기를 통하여 다양한 용어에 대한 신속한 정보 제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사업명 : 사전편찬지원
연구과제명 : 한국복식사전 [기초학문자료센터(KRM)과제 정보]
연구책임자 : 강순제
연구수행기관 : 한국복식학회
연구기간 : 2년 (2005년 9월 1일 ~ 2007년 8월 31일)
 
사업명 : 토대기초연구 연구결과물 추적 및 DB구축 [연구자 제공 검색사이트로 바로가기 ]
연구과제명 : 한국복식사전 DB 구축 연구 [기초학문자료센터(KRM)과제 정보]
연구책임자 : 조우현
연구수행기관 : 성균관대학교
연구기간 : 6개월 (2011년 12월 30일 ~ 2012년 06월 29일)
dfas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