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베이스 소개
 한글이 창제되기 전까지 한자는 우리 민족의 문자생활에서 절대적인 지위를 차지하였고, 한글이 널리 쓰인 후에도 여전히 한국 문화의 과거와 현재를 잇는 가교로서 그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왔다. 뿐만 아니라 한자는 한 나라의 울타리를 넘어 중국 일본, 더 나아가 베트남까지 아우를 수 있으므로,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의 공통 의사소통 도구로서 학술 및 문화교류 차원에서 가치가 드높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중국에서 지금도 강희자전 같은 고대 자전이 널리 쓰이고 디지털 아카이브까지 개발되는 것과는 달리, 우리나라에서 『전운옥편(全韻玉篇)』이니 『훈몽자회(訓蒙字會)』한자 자전은 이미 잊혀진 문화유산이나 교과서에나 가끔 등장하는 구시대적 유물로 인식된다. 그러나 중국에 버금갈 정도로 한자를 자유자재로 운용하고 한문학과 유학이 발전했던 우리나라에도 훌륭한 소학류 문헌이 다수 존재했다. 자전은 그 중 하나로, 지금은 사람들이 잘 주목하지 않는 낡은 옛날 책일 뿐이지만 동아시아 전체의 한자의 역사 속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유산이자, 앞으로도 얼마든지 연구할 만한 가치가 있는 학문이다. 이에 우리 연구팀은 우리나라의 우수한 자전을 발굴하고 그것을 우리나라라는 좁은 권역에 국한시키지 않고 21세기 현대 과학기술과 접목하여 중국과 일본의 고대자전까지 아우르는 디지털아카이브의 구축을 기획하게 되었다.

  2011년 11월부터 3년 동안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한중일 세 나라의 중요 자전을 주 대상으로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을 시작하였다. 우리나라의 자전으로는 『訓蒙字會』(崔世珍,1527),『全韻玉篇』(미상,1796),『校訂全韻玉篇』(池松旭,1913),『字類註釋』(鄭允容,1856),『字典釋要』(池錫永,1909),『신자전(新字典)』(朝鮮光文會,1915)등을,중국자전으로는『說文解字』(許愼,100),『玉篇』(顧野王,543),『康熙字典』(陳廷敬·張玉書,1716),일본자전으로는,『篆隸萬象名義』(釋空海,835),『新撰字鏡』(釋昌住,898~901)등을 가려 뽑아 모두 디지털화 하고 효율적으로 활용 할 수 있는 연구 플랫폼을 마련하였다.

  본 데이터베이스의 강점은 한국 조선 시대의 주요 자전자료를 중심으로 고대 중국과 일본의 대표자전에 출현하는 한자의 자종(字種),이체자(異體字)․자음(字音)․자석(字釋) 등을 공시적․통시적으로 정리하여, 세계 어디서나 접근 가능한 유니코드 기반하의 범세계적 전문가용 데이터베이스라는 점으로, 고대 한자 “자전”의 한자에 독음, 자의, 부수, 韻, 同字, 俗字, 和訓(한자의 일본어 훈석), 고유한자, 異體字 같은 학술연구에서 필요한 다양한 종류의 속성을 부여함으로써 조선 시대 자전 간의 통시적․공시적 연구가 가능할 뿐 아니라, 중국과 일본의 자전자료를 함께 연계시킴으로써 통합적인 통시적․공시적 연구도 가능하다.
기대효과/활용방안
첫째, 중국학, 한자학, 국문학, 역사 문화학 등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 한자의 독음이나 자형 변화, 한․중․일간의 한자전파와 전승 등 한자연구의 기초 비교자료를 제공
 - 한자 독음의 변화 양상과 한국 한자음의 표기 변화 등 성운학 및 국어학 연구의 기초 비교자료를 제공
 - 시대별로 자주 출현한 한자나 해당 시기에만 존재하는 한자자석 등은 한어사 및 국어사 연구에 기초 비교자료를 제공
 - 역사나 문화사에 필요한 단어의 선택 검색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한국의 역사문화뿐 아니라 한․중․일 삼국 간의 역사문화 비교 및 영향관계에 대한 연구에 기초·비교자료를 제공

 둘째, 한국을 세계에 알리고 우리 문화의 독창성 및 우수성을 알릴 수 있다.

 셋째, 일반인을 위해서도 한자의 시대별 사용현황, 한자의 자형 변천, 유래, 자석의 전승 등 한자 학습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다.
 - 일선 교육계에서 한자정책 수립에 활용
 - 상용한자 제정과 한자 급수시험의 과학적 근거를 마련
 - 다양한 한자관련 콘텐츠의 기초자료로 활용
사업명 : 한중일 고대 한자 자전(字典) 통합 DB 구축과 비교연구
연구과제명 : 한중일 고대 한자 자전(字典) 통합 DB 구축과 비교연구 [기초학문자료센터(KRM)과제 정보 ]
연구책임자 : 이화범
연구수행기관 : 경성대학교
연구기간 : 3년 (2011년 11월 01일 ~ 2014년 10월 3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