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베이스 소개
 이 데이터베이스는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토대연구단이 2012년부터 2015년까지 3년 동안 다학제간(多學際間, multidisciplinary) 연구를 통하여 진행한 “동서양 고전과 현대과학을 아우르는 마음비교용어사전 DB구축”(이하 마음개념비교사전) 토대연구의 결과로 산출된 마음개념비교사전이다. 이 사전은 언어별, 문화별, 그리고 학문별로 각각 다른 방식과 구조로 형성된 마음 이해를 상호 비교 서술하고 그 차이를 객관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사전은 상이한 마음 이해들의 통전(統全)적 비교와 더불어 그 차이점을 검토할 수 있도록 해주는 중심 기준으로서 통합마음모형(Integrated Mind Model)을 제시하는 데 특징이 있다.

  여기서 통합마음모형이란 ① ‘마음의 구조와 작동’, ② ‘마음의 변화 성장 퇴화’, ③ ‘마음의 존재와 영역’, ④ ‘마음의 관찰 평가 진단’, 그리고 ⑤ ‘마음의 작용과 효과’의 5대 범주로 마음에 대한 용어를 분류하여, 마음 이해를 통합적이고 구조적으로 제시하는 모델이다. 이 모델은 마음 이해별 개념군의 구조적 분포를 뚜렷이 드러내어, 각 유형이 지니는 독특성을 선명하게 한다. 이러한 구조적 대조는 마음 이해별로 상이하거나 유사한 개념들의 비교 및 체계적 이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마음개념비교사전에서는 위와 같은 통합마음모형을 기준으로 총 10개 분야(유학, 불교, 도가, 인도철학, 서양고중세철학, 서양근대철학, 서양현대철학, 심리학, 정신의학, 사회학)에서 37개의 개별적인 마음 모형을 선정하여 사전의 기본적인 틀을 구성하였다. 이러한 틀에 따라서 마음에 대한 표제어로 총 430개(총론 1개, 각 모형 간에 공통 핵심 개념 281개, 각 모형에서 개별적으로 주목되는 세부 개념 107개, 공통 핵심 개념을 중심으로 비교서술 32개, 각 분야에서 부각되는 이슈 9개)가 서술되었다.

  이 마음개념비교사전은, 일반적으로 마음 이해가 언어・문화・학문에 따라서 각각 언어 의존적이고 맥락 의존적인 까닭에 각 마음 이해 상호간에는 통약불가능성이 있어서 객관적으로 마음 이해들을 상호 비교하는 작업은 곤란하다는 기존의 통념을 넘어선 데에서 그 중요성을 찾을 수 있다. 이 사전에서는 그러한 통념을 넘어서서 마음 이해들을 객관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틀로서 ‘통합마음모형’을 수립하였다. 이 통합마음모형을 비교의 준거로 삼아서 각 마음 모형의 특성이 서술되었다. 그 통합마음모형에 입각하여 마음모형별 상호 유사한 표제어가 비교 서술된 점 역시 주목할 만하다..

  따라서 이 사전을 유용하게 활용하려면 우선 총론에 제시된 통합마음모형의 취지와 구조를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에 각 분야마다 마음모형에 관한 서술을 읽어보면 그 마음모형의 형태와 내용의 특징을 개관할 수 있다. 이러한 개관을 숙지한 뒤에 모형별로 선정된 핵심 표제어 혹은 세부 표제어를 읽으면 각 마음모형 별로 마음 이해의 차이를 분명히 알 수 있을 것이다.
기대효과/활용방안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마음 관련 개념들을 체계적으로 상호 비교하고 상호 관련성을 밝혀서 집약해 놓은 한국어로 이루어진 사전을 찾아보기 어려운 현 상황을 타개하고자 추진된 본 연구는 다양한 연원의 마음 개념과 용어에 대한 한국어 기준과 범례를 제시하여, 분야별로 나날이 확장되고 있는 마음 연구의 상호 이해와 융합의 토대를 확립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 산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이 다양한 차원에서 사회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1. 학문적 기여
[관련 학문 용어 통일에 기여] 마음을 주요 연구대상으로 삼는 동서양의 여러 철학분과, 심리학, 정신의학, 인지과학 등은 물론 그 외 언어학, 교육학, 신학, 의학 등의 관련 학문에서 마음 관련 용어들의 통일적 사용에 본 연구의 결과물은 중요하게 활용될 것이다.
[한국어 변천과정의 이해에 기여] 한국어 마음 관련 용어들의 역사적 변천과정을 이해하고 이질적 계보의 혼재상황에 대한 정리에 본 연구의 결과물은 중요하게 기여를 할 것이다.
[전통적 마음이해의 현대화] 전통적 마음이해를 경험 과학의 연구 성과와 모순되지 않게 발전시켜 전통의 현대화에 대하여 하나의 방향을 제시하는 지남의 역할을 할 것이다.
[과학적 마음이해의 인문학적 보완] 전통 마음이론들과의 비교를 통해 가치중립적 과학에서 미비한 점들을 (마음에 대한 당사자 관점, 실천 지향성, 마음의 윤리적 차원 등을) 드러내어 보완하는 데 본 연구의 성과는 중요한 기여를 할 것이다.
[문화간·학제간 학문적 소통과 통합 모색] 동양과 서양의 그리고 인문학과 과학의 소통과 통합적 관점 모색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 데 본 연구의 성과는 중요한 기여를 할 것이다.
[인문학과 제과학간 통섭 연구의 모델 제시] 마음 연구와 관련된 주요 분야에서 전문가들의 학제 간 연구, 비교 문화적 연구, 비교 시대적 연구를 통하여 본 연구는 인문학과 제 과학 간 통섭 연구의 실질적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한국의 참신한 학문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2. 사회적 기여
[사회 발전에 중요한 인문적 토대 제공] 다양한 마음 이해의 차이를 설명함으로써 우리 사회의 상호 불신과 대립, 다문화 집단들의 상호 몰이해를 극복하고 사회의 건전한 소통과 신뢰의 장 마련에 본 연구는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종교간 소통과 협력의 활성화] 종교별로 독자적인 마음 이해의 틀을 드러냄으로써 종교간 대화와 상호 이해의 인문적 토대를 마련하는 데 본 연구는 중요한 기여를 할 것이다.
[문화 간 협력과 상호 이해의 증진] 문화별로 오랜 시간에 걸쳐 형성된 전통적 마음개념들과 그 개념들 사이의 차이를 설명함으로써 문화 간 상호 이해의 증진에 본 연구는 중요한 기여를 할 것이다.
[번역의 표준 제시] 문학, 시사, 교양,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지는 마음 관련 외국어 번역에 본 연구의 성과는 하나의 대안적 표준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인의 실제적 ‘마음 씀’에 기여] 마음에 대한 과학적·제삼자적 접근과 인문학적·당사자적 접근의 종합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일반인의 실제적 ‘마음 씀’(마음 사용)에 본 연구는 중요한 기여를 할 것이다.

  3. 교육과의 연계활용 방안
비교마음학, 인문학과 과학의 대화 등을 주제로 한 전공 및 교양 강좌를 개설하고, 교차 독해 세미나(과학에 비추어 고전 읽기, 고전에 비추어 심리학 읽기 등)를 개최하는 것을 통하여 본 연구는 중요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4. 사전 자료의 활용 방안
[사전자료 활용] 본 연구의 결과물인 사전 DB의 서비스를 통해 다양한 교육적 효과를 확산시킬 수 있을 것이다.
[사전을 통한 동양과 서양 및 인문학과 과학의 소통] 동양과 서양 그리고 현대사상을 교차 비교하여 정리하고, 시각적인 관련성을 제시하는 사전으로서 본 연구의 결과물은 하나의 개념을 제시하는 사전과는 달리 대화와 소통의 코드로서 중요하게 활용될 것이다.
[웹 공개를 통한 쌍방향 피드백] 학제간 비교 연구라는 한계를 넘어 본 연구의 결과물은 웹 공개를 통하여 연구자와 일반인 간 쌍방향 소통에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사업명 : 인문사회연구분야 토대기초연구지
연구과제명 : 동서양 고전과 현대 과학을 아우르는 마음 비교용어사전 DB 구축 [기초학문자료센터(KRM)과제 정보 ]
연구책임자 : 유권종
연구수행기관 : 중앙대학교
연구기간 : 3 년 (2012년 09월 01일 ~ 2015년 08월 3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