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데이터베이스 소개 |
|
일본군‘위안부’, 원폭피해자, 사할린한인 문제는 한일 간의 과거사 처리에 큰 걸림돌로 남아 일찍이 1965년의 국교정상화가 풀어내지 못한 3대 미해결 과제라 일컬을만하다. 관련연구가 상당 수준 진척되어있지만 대부분 전시사료의 수집과 전후 소송관련 논의에 치중하고 있어, 정작 이 세 개의 쟁점이 국제적 현안으로 공론화한 시기, 특히 1990년대 이후 일본 각계의 움직임을 망라하는 데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물론 옛 사료의 발굴을 통한 진상조사는 계속 진행되어야겠지만 현대에 이르러 쟁점이 어떻게 접근되어왔는지 정리하는 것 또한 그 해법을 모색하는데 있어 중요한 자료적 가치를 가질 수밖에 없다. .
2012년부터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3년간 수행된 본 프로젝트(과제명: ‘한일회담 미해결 과제의 해법 마련을 위한 일본 측 1차 자료 수집, 해제 및 DB 구축사업: 일본군위안부, 원폭피해자, 사할린한인 문제를 중심으로’)는 일본의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 시민사회, 나아가 국제사회가 남긴 기록을 폭넓게 추출하여 분류, 번역, 요약, 해제함으로써 해당 이슈가 시대의 변화에 따라 어떻게 다루어져왔는지를 파악하는 데 주력하였다. 본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자료 중 일부는 기존의 자료집에서도 찾아볼 수 있으나 원문 그대로 그리고 파편적으로 방치된 경우가 많았다.
본 연구팀은 자체적으로 제작한 연표를 축으로 수집한 자료의 번역 및 요약을 우선 완료하고 프로젝트 진행 시점의 최신 동향도 시야에 넣어 국회 및 정부요인과 영향력 있는 단체의 대응을 행위자별, 연대별로 추적하였다. 시민사회의 경우, 일본의 관련단체를 직접 방문, 교섭 끝에 협약을 맺고 기관지를 번역하는 등, 당초 제안한 과제범위를 넘어 관련 동향을 지속적으로 반영하였다. 3년간 축적된 번역, 요약, 해제 작업의 양과 짜임새를 보건대 매우 포괄적인 자료집성을 이뤄냈다고 믿는다.
본 데이터베이스는 필드정리된 자료를 표제어에 따라 통합하고 행위자 코드로 자료를 분류함으로써 실체관계유형도의 얼개를 잡아 구성하였고, 키워드검색은 기본 분류(‘일본군위안부’, ‘원폭피해자’, 또는 ‘사할린한인’)에 이어, 행위자(‘행정부’, ‘국회’, ‘사법부’, ‘시민사회’, 또는 ‘국제사회’)에 따라 좁혀가며 자료를 찾아내도록, 그리고 브라우징검색은 각 분류항목 하의 모든 행위자의 통합된 자료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원자료에 기초한 연표도 함께 제공하여 3대 미해결 과제에 대한 행위자별 정책행위와 담론의 변화를 연대별로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했다.
|
|
|
기대효과/활용방안 |
|
1. 기초자료 축적에 의한 연구역량 제고 ▶ 쟁점의 전개양상 파악 ▶ 역사학, 정치학, 법학 등 학제적 접근 촉진 2. 과거사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적 정보 제공 ▶ 일본 측 관련행위자의 입장 파악 ▶ 한일 간 대응방식 ▶ 해석 및 접점 모색
3. 한일관계에 대한 대중의 이해 증진 ▶ 일본 각계 과거사 인식의 다양성 이해 ▶ 한국사회 탈식민 담론의 성숙
|
|
|
사업명 : 인문사회연구분야 토대기초연구지원 |
|
연구과제명 : 한일회담 미해결 과제의 해법 마련을 위한 일본측 자료 수집, 해제 및 자료해제집
[기초학문자료센터(KRM)과제 정보
]
연구책임자 : 김석연
연구수행기관 : 국민대학교
연구기간 : 3 년 (2012년 09월 01일 ~ 2015년 08월 31일)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