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 연구자
성명 송규진
소속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연구논저

저서

⦁ 송규진, 『日帝下의 朝鮮貿易硏究』, 高麗大學校 民族文化硏究院, 2001.3. ⦁ 송규진·변은진·김윤희·김승은, 『통계로 본 한국근현대사』, 아연출판부, 2004.7. ⦁ 홍성구, 송규진, 강경락, 박정현, 『근대 중국 대외무역을 통해 본 동아시아』(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08.3.24

논문

⦁ 송규진, 「함경선 부설과 길회선 종단항 결정이 지역경제에 끼친 영향-나진・웅기・청진을 중심으로-」, 『韓國史學報』 57, 고려사학회, 2014.11. ⦁ 송규진, 「유럽과 비교를 통한 동북아의 ‘역사화해’의 가능성 : 독일-폴란드와 한국-일본을 중심으로」, 『사총』86, 2015.09. ⦁ 송규진, 「조선총독부의 통계행정기구 변화와 통계자료 생산」, 『사림』44, 수선사학회. 2015.10. ⦁ 송규진, 조선총독부의 사회경제조사 내용분석: <조선총독부통계연보>를 중심으로, 『역사와 담론』80, 호서사학회, 2016.10. ⦁ 송규진, 「조선무역협회통보』를 통해본 중일전쟁시기 조선의 對中貿易」, 『한국민족운동사연구』93, 2017.12

공동 연구자
성명 이헌주
소속 국사편찬위원회
연구논저

저서

⦁ 이헌주, 『강위의 개화사상 연구』(선인, 2018), 한국근현대사학회 편, 2013, 『한국근현대사강의』(한울, 2013) ⦁ 이헌주․조재곤 공저, 『한국군사사9(근․현대1)』(육군본부, 2012) ⦁ 이헌주 외, 『개항기의 재한 외국공관 연구』(동북아역사재단, 2009) 외

논문

⦁ 「姜瑋의 燕行과 對中國 認識의 변화」(『아세아연구』 60, 2017) ⦁ 「개항 직전 강위의 현실인식」(『한국사상사학』 35, 2010) ⦁ 「1880년대 전반 조선 개화지식인들의 ‘아시아 연대론’ 인식 연구」(『동북아역사논총』 23, 2009) 외

성명 허광무
소속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연구논저

저서

⦁ 『강제동원을 말한다: 일제강점기 조선인 피징용 노무자 미수금문제』, 선인, 2015 ⦁ 『일제 강제동원 Q&A』, 선인, 2015(공저) ⦁ 『히로시마이야기』, 선인, 2013(저서) ⦁ 『일본제국주의 구빈정책사 연구』, 선인, 2011(저서) ⦁ 『帝国日本の再編と二つの「在日」』, 明石書店, 2010(공저) ⦁ 『재외동포사총서10 일본 한인의 역사(상)』, 국사편찬위원회, 2009(공저) ⦁ 『패전 전후 일본의 마이너리티와 냉전』, JnC, 2006(공저) ⦁ 『교양으로 읽는 일본사회와 문화』, JnC, 2006(공저) ⦁ 『강제연행 강제노동 연구 길라잡이』, 선인, 2005(공저)

논문

⦁ 「일제말기 강제동원 조선인 노무자의 미불금 실태」, 『동북아역사총서』제45호, 동북아역사재단, 2014 ⦁ 「전시기 조선인 노무자 강제동원과 원폭피해」, 『한일민족문제연구』제20호, 2011 ⦁ 「전시기조세이(長生)탄광과 조선인 노무동원」, 『한일민족문제연구』제13호, 2007 ⦁ 「한국인 원폭피해자에 대한 제연구와 문제점」, 『한일민족문제연구』제6호, 2004 ⦁ 「전후 일본의 공적부조체제의 재편과 재일조선인」, 『일본학보』제58집, 2004 ⦁ 「전전 일본의 사회정책과 방면위원제도」, 『일본학보』제51집, 2002 ⦁ 「1920~30년대 일본의 사회정책-일본거주 조선인에 대한 사회정책을 중심으로」, 『한일민족문제연구』제6호, 2002 ⦁ 「戦前京都の都市下層社会と朝鮮人の流入-朝鮮人の部落への流入がもつ歴史的意義をめぐって-」, 『コリアン・マイノリティ研究』第4号, 2000 ⦁ 「戦前日本における朝鮮人対策の転換と朝鮮人保護救済の形骸化-協和事業における朝鮮人保護救済問題を中心に-」, 『在日朝鮮人史研究』第30号, 2000 ⦁ 「戦前貧困者救済における朝鮮人差別-『二重基準』の背景を中心に-」,『歴史学研究』733号, 2000

성명 최선웅
소속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기록보존소
연구논저

저서

⦁ 『한국근현대사를 움직인 아산 신항리 인물』(공저), 아산학연구소, 2017 ⦁ 『대한민국선거사 제7집』(공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16 ⦁ 『대한민국정당사 제6집』(공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16 ⦁ 『지리산의 저항운동』(공저), HK지리산권문화연구단, 2015 ⦁ 『1930년대 조선학운동 심층연구』(공저), 민세안재홍선생기념사업회, 2015 ⦁ 『식민지라는 물음』(공저), 소명, 2014

논문

⦁ 「1910년대 조선에서 자유주의의 두 가지 유형과 성격」『역사와 담론』 75, 2015 ⦁ 「14연대 반군의 지리산을 향한 진군」『남도문화연구』 28, 2015 ⦁ 「일제시기 사회주의 진영의 동학농민전쟁 인식」『역사문제연구』 33, 2015 ⦁ 「한국민주당의 미소공동위원회 대응방안과 활동」『한국사학보』 54, 2014 ⦁ 「제1차 당대회 시기 조선공산당의 전남 동부지역 조직과 활동」『아시아문화연구』 33, 2014 ⦁ 「식민지 조선에서 일제의 전향전행 도입과 변화 과정」『사총』 81, 2014

성명 조경희
소속 성공회대학교 열림교양대학
연구논저

저서

⦁ 권혁태, 이정은, 조경희 편, 『주권의 야만: 밀항, 수용소, 재일조선인』, 한울, 2017. ⦁ 이정은, 조경희 편, 『나를 증명하기: 아시아에서 국적, 여권, 등록』, 한울, 2017. ⦁ 권혁태, 조경희 편, 『두 번째 ‘전후’: 1960-70년대 아시아와 마주친 일본』, 한울, 2017. ⦁ 배지원, 조경희 편, 『재일조선인과 조선학교』, 선인, 2018. ⦁ 백영서(역서), 『共生への道と核心現場:実践課題としての東アジア』法政大学出版局, 2016.

논문

⦁ 「전후 일본 '대중'과 '시민'의 교차와 길항: 1960년 반안보투쟁을 둘러싼 서사를 중심으로」,『사이間SAI』12, 2012.5 ⦁ 「'조선인 사형수'를 둘러싼 전유의 구도: 고마쓰가와 사건과 일본/'조선'」『동방학지』 158, 2012.6. ⦁ 「도쿄 우에노의 로컬리티 형성과 이동하는 하층민들: 우에노 공원 일대를 중심으로」『사회와 역사』97, 2013.3 ⦁ 「전후일본 '대중'의 안과 밖: 암시장 담론과 재일조선인의 생활세계」,『현대문학의 연구』, 2013.6 ⦁ 「남북분단과 재일조선인의 국적: 한일 정부의 조선적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통일인문학』, 2014.6 ⦁ 「한일협정 이후 재일 조선인의 국적과 분단정치」,『역사문제연구』2015.10. ⦁ 「불안전한 영토, '밀항'하는 일상: 해방 이후 70년대까지 제주인들의 일본 밀항」, 『사회와 역사』2015.06 ⦁ 「전후일본 70년과 복수의 평화주의: SEALDs의 운동과 정동」,『사이間SAI』2016.04. ⦁ 「1920년대 식민지조선사회사업의 성격과그한계;‘방빈(防貧)’의좌절에서 노동사업으로」『역사와 담론』2016.10. ⦁ 「荒野で平和を構想する:岡野八代『フェミニズムの政治 学』を読む」『アジア太平洋研究』2017.2 ⦁ 「아시아적 신체'의 각성과 전형(転形):일본 신좌익운동과 쓰무라 다카시」『한국학연구』2017.2 ⦁ 「관동대지진(1923)과 식민지/제국의 사회사업 사상」『대구사학』2017.8.

전임 연구원
성명 김명구
소속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강사
연구논저

저서

⦁ 송규진외, 『동아시아 근대 네이션개념의 수용과 변용』, 고구려연구재단, 2005. (공저)

논문

⦁ 「일제시기 사회사업의 전개와 대구사례」『대구사학』 128, 2017.8 ⦁ 「중일전쟁기 조선에서 ‘내선일체론’의 수용과 논리」, 『한국사학보』 33, 2008.11.

성명 방광석
소속 (현)동국대학교 대외교류연구원 (전)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연구논저

저서

⦁ 『근대일본의 국가체제 확립과정』, 혜안, 2008. ⦁ 『한국과 이토 히로부미』, 선인, 2009.(공저)

논문

⦁ 「근대 일본의 ‘통계’ 수용과 통계기관의 추이」, 『역사와담론』80, 호서사학회, 2016.10. ⦁ 「일본의 근대입헌체제 수립과 서양체험-야마가타 아리토모의 제2차 유럽시찰을 중심으로-」, 『사총』92, 고려대역사연구소, 2017.09. ⦁ 「메이지유신 시기의 서양체험과 입헌제 수용」, 『역사와담론』84, 호서사학회, 2017.10.

성명 송병권
소속 (전)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현)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연구논저

저서

⦁ 『東アジア地域主義と韓日米関係』, 東京: クレイン, 2015.- 논문 ⦁ 『한국 근대 공설일용품시장의 사회적 기능과 민족별 시장 분리에 대한 고찰』, 『대구사학』 128, 2017. ⦁ 『식민지 통치권력 재해 조사를 둘러싼 일반과 특수의 간극-1928년 경북지역 가뭄 조사를 중심으로』, 『사림』 54,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