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 연구자
성명 채웅석
소속 가톨릭대학교
연구논저

저서

⦁ 『高麗時代의 國家와 地方史會』,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 『중세사회의 변화와 조선 건국』, 혜안, 2005.(공저) ⦁ 『『高麗史』 刑法志 譯註』, 신서원, 2009. ⦁ 『월령과 국가』, 민속원, 2010.(공저)

논문

⦁ 「고려 인종대 ‘惟新’정국과 정치갈등」, 『한국사연구』 161, 한국사연구회, 2013. ⦁ 「고려중기 외척의 위상과 정치적 역할」, 『한국중세사연구』 38, 한국중세사학회, 2014. ⦁ 「고려시대의 杖流刑과 黥配刑」, 『韓國文化』 70,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15. ⦁ 「한국고대 香徒의 조직과 역할」, 『韓國古代史硏究』, 한국고대사학회, 2016. ⦁ 「고려전기 사회적 분업 편성의 다원성과 신분ㆍ계층질서」, 『한국중세사연구』 45, 한국중세사학회, 2016. ⦁ 「고려전기 지방지배체제의 다원성과 계서성」, 『한국중세사연구』 47, 한국중세사학회, 2016. ⦁ 「고려 최씨집권기의 輔政과 정치운영」, 『韓國文化』 79,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17.

공동 연구자
성명 박종기
소속 국민대학교
연구논저

저서

⦁ 『새로 쓴 500년 고려사』, 푸른역사, 2010. ⦁ 『고려의 부곡인, <경계인>으로 살다』, 푸른역사, 2012. ⦁ 『고려사의 재발견』, 휴머니스트, 2015. ⦁ 『고려사 지리지 역주』,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6. ⦁ 『동사강목의 탄생』, 휴머니스트, 2017.

논문

⦁ 「고려 다원사회의 형성과 기원」, 『한국중세사연구』 36, 한국중세사학회, 2013. ⦁ 「고려 尹瓘의 墓碑片과 墓所」, 『한국학논총』 42,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 「필사본 동사강목의 자료 가치와 성격–연세대 소장본을 중심으로」, 『동방학지』 171,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5. ⦁ 「고려 다원사회론의 과제와 전망」, 『한국중세사연구』 45, 한국중세사학회, 2016. ⦁ 「고려시대 강진지역의 군현변동과 도시성격」, 『다산과 현대』 9,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016. ⦁ 「조선시기 관찬 지리지의 섬 인식과 변화」, 『한국학논총』 48,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 「고려시기 至高神의 존재와 神格의 다층위성」, 『한국중세사연구』 50, 한국중세사학회, 2017.

성명 김재홍
소속 국민대학교
연구논저

저서

⦁ 『韓國 古代 農業技術史 硏究 : 鐵製 農具의 考古學』, 삼강문화재연구원, 2011. ⦁ 『울진 봉평리 신라비와 한국 고대 금석문』, 울진군ㆍ한국고대사학회, 2011.(공저) ⦁ 『한국 고대사 2 : 사회 운영과 국가 지배』, 푸른역사, 2016.(공저) ⦁ 『유적과 유물로 본 신라인의 삶과 죽음』,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2016.(공저) ⦁ 『한국고대사산책』, 역사비평사, 2017.(공저)

논문

⦁ 「新羅 王京 출토 銘文土器의 생산과 유통」, 『한국고대사연구』 73, 한국고대사학회, 2014. ⦁ 「신라 중고기 道使의 운영과 성격변화」, 『한국학논총』 44,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 「生業으로 본 韓과 濊의 종족적 특성」, 『한국고대사연구』 79, 한국고대사학회, 2015. ⦁ 「고대 상어의 고고 환경과 문화권」, 『한국학논총』 46,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 「고려시대 鐵製 農具와 농경의례」, 『한국중세사연구』 46, 한국중세사학회, 2016. ⦁ 「태안 침몰선 高麗 木簡의 문서양식과 운송체계」, 『한국중세사연구』 47, 한국중세사학회, 2016. ⦁ 「博物館 속의 古代史」, 『한국고대사연구』 84, 한국고대사학회, 2016. ⦁ 「고대 南海 도서의 유적과 특성」, 『한국학논총』 48,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 「고대 목간, 동아시아의 문자 정보 시스템」, 『내일을 여는 역사』 67, 내일을 여는역사, 2017. ⦁ 「고대 국가를 바라보는 시각, 자율과 통합」, 『한국상고사학보』 98, 한국상고사학회, 2017. ⦁ 「고려 출수 목간의 비역별 문서양식과 선적방식」, 『목간과 문자』 19, 한국목간학회, 2017.

성명 홍영의
소속 국민대학교
연구논저

저서

⦁ 『高麗末 政治史 硏究』, 혜안, 2005. ⦁ 『개경의 생활사』, 휴머니스트, 2007.(공저) ⦁ 『북한의 문화유산 연구』, 양사재, 2013.(공저) ⦁ 『고려의 국왕 : 帝王과 개인으로서의 삶』, 경인문화사, 2015.(공저) ⦁ 『麗元代의 農政과 農桑輯要』, 동감폼, 2017.(공저)

논문

⦁ 「고려시대 지역성과 문화권-12목을 중심으로」, 『한국학논총』 41,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 「고려시대 명문(銘文) 기와의 발굴성과와 과제」, 『한국중세사연구』 41, 한국중세사학회, 2015. ⦁ 「한국역사상 島嶼(苫) 관련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한국학논총』 46,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 「고려 금속제 佛具類 銘文에 보이는 京·外 匠人의 제작활동」, 『한국중세사연구』46, 한국중세사학회, 2016. ⦁ 「고려말 李成桂의 婚姻關係와 경제적 기반-포천 滓 洞과 鐵峴의 田莊을 중심으로」, 『한국학논총』 45,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 「한국 중세고고학의 시작과 연구 동향, 그리고 과제」, 『역사와 현실』 103, 한국역사연구회, 2017. ⦁ 「이방실 장군의 생애와 군사활동」, 『군사』 103,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17. ⦁ 「고려시대의 도서(섬)의 인식과 개발」, 『한국학논총』 48,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 「고려시대 금속제 기물 및 기와의 ‘연호’명 검토–대중국 ‘연호’의 시행과 고려의 다원적 국제관계」, 『한국중세사연구』 50, 한국중세사학회, 2017.

성명 한준수
소속 국민대학교
연구논저

저서

⦁ 『신라중대 율령정치사 연구』, 서경문화사, 2012. ⦁ 『신라 국학과 인재 양성』, 민속원, 2015.(공저) ⦁ 『서울 2천년사⑦』, 서울역사편찬원, 2015.(공저) ⦁ 『신라 천년의 역사와 문화⑤』,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2016.(공저)

논문

⦁ 「울릉도의 고분을 통해서 본 신라 중대의 지방통치」, 『한국학논총』 41,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 「신라 중대 國學의 설치와 운용」, 『한국고대사탐구』 17,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4. ⦁ 「신라 통일기 新三千幢의 설치와 운용」, 『한국고대사연구』 78, 한국고대사학회, 2015. ⦁ 「신라하대 軍鎭세력의 대두와 율령질서의 이완」, 『한국고대사탐구』 20,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5. ⦁ 「신라 통일기 三邊守幢의 성립과 의미」, 『한국고대사탐구』 22,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6. ⦁ 「나말려초 금석문에 나타난 불교사원과 승려의 교류와 소통」, 『한국중세사연구』47, 한국중세사학회, 2016. ⦁ 「신라 통일기 罽衿幢·二罽幢의 설치와 확대」, 『한국학논총』 47,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 「고려전기 연등회·팔관회의 기능과 의례적 특징」, 『한국중세사연구』 50, 한국중세사학회, 2017. ⦁ 「香徒를 통해서 본 신라 中·下代 지방사회의 변동」, 『한국학논총』 49,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8.

전임 연구원
성명 신안식
소속 건국대학교
연구논저

저서

⦁ 『高麗 武人政權과 地方社會』, 경인문화사, 2002. ⦁ 『개경의 생활사』, 휴머니스트, 2007.(공저) ⦁ 『왜 무신정변이 일어났을까?』, 자음과 모음, 2010. ⦁ 『언더그라운드 슈퍼스타 - 대중을 사로잡은 역사 속 비주류의 목소리』, 동녘, 2011.(공저) ⦁ 『13세기 고려와 김취려의 활약』, 혜안, 2011.(공저) ⦁ 『한국군사사⑪ - 강역』, 경인문화사, 2012.(공저)

논문

⦁ 「고려시기 개경 都城의 범위와 이용」, 『한국중세사연구』 28, 한국중세사학회, 2010. ⦁ 「고려 江都時期 도성 성곽의 축조와 그 성격」, 『군사』 76,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10. ⦁ 「고려 고종초기 거란유종의 침입과 김취려의 활약」, 『한국중세사연구』 30, 한국중세사학회, 2011. ⦁ 「고려전기의 麗宋 교통로와 교역」, 『한국중세사연구』 33, 한국중세사학회, 2012. ⦁ 「고려시대의 三京과 國都」, 『한국중세사연구』 39, 한국중세사학회, 2014. ⦁ 「고려후기의 영토분쟁」, 『군사』 99,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16. ⦁ 「고려중기 삼국부흥운동의 ‘地域性’과 ‘抵抗性’」, 『한국중세사연구』 47, 한국중세사학회, 2016. ⦁ 「고려전기의 북방 영토의식과 이민족 인식」, 『한국중세사연구』 50, 한국중세사학회, 2017. ⦁ 「고려초기의 영토의식과 국경 분쟁」, 『군사』 105,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17.

성명 최봉준
소속 한림대학교
연구논저

논문

⦁ 「이제현(李齊賢)의 성리학적 역사관과 전통문화인식」, 『한국사상사학』 31, 한국사상사학회, 2008. ⦁ 「李穀의 箕子 중심의 국사관과 고려·원 典章調和論」, 『한국중세사연구』 36, 한국중세사학회, 2013. ⦁ 「정도전의 箕子 중심의 역사관과 급진적 문명론」, 『한국사학사학보』 29, 한국사학사학회, 2014. ⦁ 「여말선초 箕子 중심의 역사계승의식과 조선적 문명론」, 『한국사학사학보』 31, 한국사학사학회, 2015. ⦁ 「원간섭기 근친금혼 관념의 강화와 수계혼(收繼婚) 도입 시도」, 『역사와 현실』 99,한국역사연구회, 2016. ⦁ 「이승휴의 단군 중심의 역사관과 다원문화론」, 『한국사상사학』 52, 한국사상사학회, 2016. ⦁ 「고려 태조~현종대 다원적 사상지형과 왕권 중심의 사상정책」, 『한국중세사연구』 45, 한국중세사학회, 2016. ⦁ 「고려전기 역사계승의식과 이중적 자아인식」, 『한국중세사연구』 50, 한국중세사학회, 2017.

성명 한혜선
소속 이화여자대학교
연구논저

저서

⦁ 『高麗陶瓷新論』, 학연문화사, 2009.(공저)

논문

⦁ 「始興 芳山洞 陶器窯址의 運營時期」, 『湖西史學』 48, 호서사학회, 2007. ⦁ 「고려시대 陶器扁甁의 시기구분과 특징」, 『충북문화재연구』 5, 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 2011. ⦁ 「문헌기록을 통해 본 瓦器·陶器·甕器의 用例와 상호관계」, 『역사와 담론』 64, 湖西史學會, 2012. ⦁ 「조선시대 왕실 소용 도기의 제작 시고」, 『동아시아의 궁중미술』, 한국미술연구소, 2013. ⦁ 「고려후기 분묘 출토 陶器의 지역적 차이와 그 배경」, 『한국중세사연구』 45, 한국중세사학회, 2016. ⦁ 「고려전기 분묘 출토 자기해무리굽완의 확산과 소비양태」, 『한국중세사연구』 47,한국중세사학회, 2016. ⦁ 「羅末麗初 陶器扁球甁의 연원과 자기로의 번안」, 『한국중세고고학』 1, 한국중세고 고학회, 2017. ⦁ 「한양도성 내 조선전기 문화층 출토 매납도기의 종류와 특징」, 『도예연구』 26, 이화여대 도예연구소,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