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베이스 소개
 인문학의 주요 연구 대상은 문헌이다. 문헌을 통하여 전통적 문화 유산에 녹아있는 선조들의 정신을 고찰하고 이를 통하여 현재와 미래의 나아갈 바를 성찰한다. 전통 문화 유산은 대부분 한자로 기록되어져 있고 텍스트의 대부분이 正字자형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아니라 언뜻 보아서는 무슨 글자인지 알기 어려운 異體字, 즉 독음과 의미는 완전히 동일하면서 자형만 다른 한자로 쓰여져 있고 거기에 시기적인 유행이 가미된 글자체로 쓰여진 경우가 대다수여서 자료 접근에 어려움을 더하고 있다. 그예로 大藏經을 正字로 옮긴 日本의 新修大藏經에서 “或商賈博”의 ‘ ’字를 ‘貨’字로 적었던 것을 들 수 있다. 하지만, 이 글자 상단부의 편방 자형이 ‘卯’의 異體字인 ‘ ’와 유사하고 ‘留’의 異體字에도 ‘ ’라는 자형이 있었고, 윗 문장에서 ‘商賈’는 주어,‘博’는 술어에 해당되는데 이 ‘ ’字를 ‘貨’字로 보면 문장을 해석하기가 어려우므로, 이 글자는 ‘貨’字가 아니라 ‘貿’字이다. 단지 한 글자의 오류가 전체 일본 대장경의 가치를 평가절하하게 만드는 사안이 될 수 있고, 정신문화의 잘못된 계승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한 글자에 국한된다 하더라도 결코 가볍게 넘어갈 수 없는 일이다. 따라서 문헌의 정확한 판독과 전승을 위해 이체자 연구는 필수적이다.

 한국연구재단(구 학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2002년 ~ 2005년까지 3년에 걸쳐 수집 축적한 자료는 기존에 연구되지 않은 실물 異體字資料로서, 중국에서의 東漢이후부터 宋代까지의 碑文에서 발견된 正字와 異體字, 그리고 한국의 三國시대부터 高麗초기까지의 碑文에서 발견된 正字와 異體字이며,총 字種은 약 5000여자에 달한다.이들 자료는 한국과 중국의 碑文약 2천 종에서 직접 채취한 한자의 正字 및 異體字자료로서, 시기적으로는 중국의 東漢, 魏晉, 隋唐, 宋代, 그리고 한국의 三國, 統一新羅,高麗시기에 걸치는 자료들이며 총 2700페이지에 대한 내용을 축적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를 효율적으로 저장, 유지, 활용하기 위해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2011년 12월 ~ 2012년 6월까지 6개월에 걸쳐 "한자정형화 이론 구축" 성과물의 DB 및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직관적 내비게이션 및 웹 검색기를 통하여 다양한 용어에 대한 신속한 정보 제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사업명 : 인문사회분야지원일반연구
연구과제명 : 漢字 定型化 理論 構築(한자 정형화 이론 구축) [기초학문자료센터(KRM)과제 정보]
연구책임자 : 이규갑
연구수행기관 : 연세대학교
연구기간 : 3년 (2002년 8월 1일 ~ 2005년 7월 31일)
 
사업명 : 토대기초연구 연구결과물 추적 및 DB구축
연구과제명 : “한자 정형화 이론 구축” 성과물의 DB구축 [기초학문자료센터(KRM)과제 정보]
연구책임자 : 이규갑
연구수행기관 : 연세대학교
연구기간 : 6개월 (2011년 12월 30일 ~ 2012년 06월 2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