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베이스 소개
 20세기 북한예술문화사전은 북한연구의 토대를 닦는 기초작업의 하나로서, 단어에 대한 언어적 정보를 제공하는 좁은 의미의 사전(DICTIONARY)이 아니라 충분한 지식정보를 담은 온라인 백과사전(EN-CYCLOPEDIA)이다.

 북한 예술문화에 대한 기본 개념과 이론, 정책, 단체와 조직 및 그들의 활동, 교육 등에 관한 기초적 정보부터 문학, 미술, 음악, 공연예술, 영상예술 등의 대표적인 작가와 작품에 이르기까지 체계적인 정보와 자료를 갖춘 백과사전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대효과/활용방안
 본 연구팀의 ‘20세기 북한 문화 예술 사전’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지니고 있다.
(1) 포괄적이고 충분한 지식정보를 담은 백과사전의 특징 구현: 본 사전은 북한 예술문화 관련 기본 개념과 이론, 정책, 단체 조직 및 활동, 교육 등에 관한 기초적 정보부터 문학, 미술-건축, 음악, 공연예술, 영상예술 각 장르의 대표 작가와 작품에 이르는 방대한 정보와 자료를 체계적으로 조사, 분석하여 포괄성과 체계성을 갖추었다.
(2) 북한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 제공: 본 사전은 탈북 예술가들의 집필 참여를 비롯해 적극적인 학제 간 연구를 이끌어냄으로써 협력적 연구체계를 구축하였다. 북한 예술문화 전반, 북한사회에 대한 종합적・체계적인 이해를 돕고, 인문학과 사회과학의 협동연구 시너지를 실증할 수 있었다.
(3) 온라인 사전으로서 다면적인 접근성이 용이하도록 최적화: 본 사전은 북한 예술문화 영문번역을 비롯해 관련 멀티미디어 자료를 풍부하게 제공함으로써 콘텐츠의 세계화와 북한 예술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교육적 측면도 고려하였다.
(4) 검색 편의성 최대화: 본 사전은 장르별 검색과 가나다 검색, 동의어 검색과 관련어 검색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분야를 국지적으로 고찰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대분류-중분류-소분류 검색, 장르별 세부 검색, 내용분류를 통해서도 검색할 수 있다. 연구자는 키워드 검색을 통해 구조화된 접근을 할 수 있으며, 일반인은 자신의 흥미나 관심 사항에 따라 검색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온라인 사전의 특장점을 최대한 살렸다.
(5) 동의어 사전 구축: 본 사전이 구축한 북한 예술문화 동의어는 남북한의 언어통합과 문화통합을 위한 중요한 출발점이 될 수 있다.
(6) 융합적 학문 연구를 위한 토대 자료 제공: 본 사전은 북한 예술문화 전반의 기초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문화번역을 실현하고, 북한 예술문화의 사회적 맥락과 컨텍스트적 맥락, 예술문화 학술 가이드로서 종합적 이해를 돕는다. 더 나아가 관련 언어의 통합을 위한 기초 연구 및 남북한 사회문화 통합의 기초 연구의 의의를 지닌다.

 20세기 북한 예술문화의 주요 용어와 현상을 기술한 본 사전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방면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1) 북한학 연구의 준거 제공: 북한 예술문화의 기본 토대자료가 구축됨으로써 북한의 예술과 사회문화를 이해하고, 예술문화의 키워드를 통해 북한의 작동원리를 이해하는 데 신뢰할 수 있는 참조 준거를 제공한다.
(2) 학문적 성과를 대중적으로 확산할 수 있는 기초 마련: 본 연구의 결과물은 웹사이트에서 공개함으로써 북한 예술문화에 대한 폭넓은 정보를 제공한다. 멀티미디어 자료를 함께 제공하여 북한과 북한 예술문화에 대한 관심과 이해도를 배가시킬 수 있다.
(3) 자료이용의 편의성 제고: 본 사전은 북한의 예술문화의 핵심 내용을 선별・정리・평가하고, 멀티미디어 자료를 제공하는 데이터 구조물이다. 또한 동의어 사전으로서 관련어 링크 연결은 자료 이용의 효용성과 편의성을 높이고, 용어의 확산 방식과 연계 구조를 파악할 수 있다.
(4) 남북비교 또는 통합연구 촉진: 본 사전의 동의어 데이터베이스는 분야별 남북문화비교 등의 연구의 기초 키워드가 될 수 있다. 영문번역은 해외의 북한 예술문화연구를 촉진하는데 일정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예술문화 사전 구축을 토대로 새로운 분야의 용어 사전 등의 사업이 진행될 수도 있다.
(5) 각종 파생 연구 촉진: 동의어 사전으로 네트워크화된 DB 자료들은 파생적인 연구를 촉진할 수 있다. 예컨대 연도별 작품의 생산 경향을 북한의 정치사회적 상황과 연관시킨 분석이나, 작가와 작품 성향과의 관계 변화 추이에 대한 연구 등이 가능해질 수 있다.
(6) 남북한 사회문화 통합 및 통일에 대한 관심 제고: 사회적 차원에서 북한 예술문화 사전은 남북한 교류의 걸림돌 중 하나였던 문화적 이질감을 상호이해의 출발점으로 전환할 계기가 될 수 있다.일반 시민들과 언론인은 물론이고 북한 예술문화 교육에도 활용할 수 있다.
(7) 전문인력 양성에 기여: 연구기간 동안 함께 연구를 수행한 본 연구팀의 연구보조원들은 북한 사회, 문화, 예술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영역에서 활동할 역량을 키웠다. 현재 참여하고 있는 연구진들은 북한의 예술문화의 장르별 전문가가 망라되어 있으며, 문화전문 연구자 및 북한사회연구자들이 포함되어 있어 이들과의 공동작업 자체가 학문후속세대인 대학원생들의 연구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사업명 : 인문사회연구분야 토대기초연구지원
연구과제명 : 20세기 북한 예술 문화 사전 [기초학문자료센터(KRM)과제 정보 ]
연구책임자 : 구갑우
연구수행기관 : 북한대학원대학교
연구기간 : 3 년 (2012년 09월 01일 ~ 2015년 08월 31일)